티스토리

언젠가 반드시 모모가
검색하기

블로그 홈

언젠가 반드시 모모가

momoman83.tistory.com/m

모모맨 이 정리 하는 머시닝 관련 자료 정보 교재 들 입니다.

구독자
94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가능한 PC환경에서 보시기 바랍니다. 모두보기
반응형

주요 글 목록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기존 곡면 가공경로 공통 파라미터 항목에 대하여-2 이번에는 마스터캠 기존 곡면 가공경로의 파라미터 중 공통으로 쓰이는 "곡면 파라미터"항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곡면 파라미터 곡면 파라미터는 선택한 가공대상 곡면 또는 체크 대상곡면, 공구중심영역 체인의 대한 링크 파라미터값 적용과 가공여유값, 가공영역 설정 방식의 정의 항목입니다.* 특이점은 일반 2D 가공정의 경우 링크 파라미터에는 가공깊이 (가공 시작에서 가공 끝까지의 깊이값)이 있지만 곡면 가공 링크 파라미터에는 이러한 깊이값을 해당 가공정의 절삭 파라미터 항목에서 정의합니다.* 또한 링크 파라미터의 높이값을 증분으로 적용 시 2D 가공경로처럼 가공물(체인 선택한) 기준값으로 되지만 곡면 링크 파라미터의 각각 생성된 가공경로의(시작과 끝) 높이값에 따라 증분 되어 적용됩니다. 링크 파라미터..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5. 11.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기존 곡면 가공경로 공통 파라미터 항목에 대하여-1 이번에는 마스터캠 기존 곡면 가공경로의 파라미터 중 공통으로 쓰이는 "가공경로 파라미터"항목과 "곡면 파라미터"항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기존 곡면 가공경로를 선택하여(해당 가공 대상곡면등 요소를 선택한 후) 처음 표시되는 가공경로 파라미터 항목인 "가공경로 파라미터"와 "곡면 파라미터" 그리고 해당 가공경로별 항목으로 표시됩니다. 이러한 공통 파라미터 항목의 각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가공경로 파라미터①공구 목록(Selecting a tool) 해당 가공경로에 적용될 공구의 목록 표시칸 입니다.* 기본적인 공통 내용이라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 해당 항목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momoman83.tistory.com/456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5. 8.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기존 곡면 등고선 가공경로에 대하여-1 이번에는 마스터캠의 3D 곡면 가공경로 중 기존의(곡면 고속가공경로 나오기 전) 곡면 가공경로 중 하나인 등고선 가공경로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등고선 가공경로는 곡면 대상 적용가능한 가공경로 이며 솔리드면 또는 곡면 대상으로 하는 가공경로입니다. 우선 마스터캠 2021에서 등고선 가공경로를 적용하는(실행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 입니다. 먼저 가공경로 관리자창에서 가공정의 입력칸에 마우스 우클릭으로 풀다운 옵션메뉴창을 표시후 "밀링가공경로 - 곡면황삭 - 등고선 (곡면정삭 - 등고선)"을 선택하여 등고선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구형 등고선 가공경로는 크게 3가지 입니다. (황삭경로 - 등고선, 정삭경로 - 등고선, 등고선잔삭)* 마스터캠 작업화면 상단 리본메뉴에서도 지원이 되나 순정 상태에서..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5. 6.
  • 마스터캠 2021 상단 리본 메뉴에 관하여 -5 (와이어프레임-1) 이번에는 저번 홈탭의 이어서 와이어프레임 탭의 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 와이어프레임 탭은 도형요소 작성에 관련된 설명이라 예제 설명이 많아 조금 늘어지는 설명이 되겠습니다. 와이어프레임은 와이어프레임(wireframe) 도형요소 생성, 수정에 대한 기능모음입니다. ① 점(point) 점형태 요소에 대한 생성기능과 보조기능을 제공합니다. * 점 생성방법은 기본적으로 별도 작업 없이 마우스 우클릭(위치지정)으로 간단히 생성됩니다. 위치 지정 현재 작업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으로 점 생성 위치를 지정하면 그 위치에 해당 점형태(점의 모양) 도형요소가 표시됩니다. * 기본적으로 마우스 우클릭으로 인한 자유로운 위치 지정도 가능하면 다른 도형요소에 위한 자동커서 기능(오토캐드의 Osnap기능)으로 위치 지정도 ..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5. 4.
  • 마스터캠 2021 상단 리본 메뉴에 관하여 -4 (홈-3)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 마스터캠 리본메뉴 홈탭의 메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⑤ 화면표시 (Display)㉣ 블랭크 현재 작업화면에 표시중인 도형요소 중 표시 & 선택이 안되도록 원하는 도형요소를 선택하여 표시가 안되게 하는 기능입니다.* 히든 기능과 틀림점은 히든은 독단적으로 표시되고 싶은 도형요소를 표시하고 블랭크는 지금 표시되고 있는 도형요소 중 표시 안되길(안보이길) 원하는 도형요소를 선택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히든 기능은 일시적인 기능(히든 취소 또는 열기 등)이고 블랭크는 별도로 언블랭크하여 선택한 도형요소만 다시 표시를 하는 영구적인 기능입니다.블랭크 / 언블랭크블랭크 : 현재 작업화면에 표시 중인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솔리드, 곡면, 도면요소)의 선택적인 표시 상태를 별도 언블랭크 하기전..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5. 1.
  • 알루미네이션님의 개인사용 목적의 포스트매니저(PostManager) "α버전" 소개 이번에는 네이버 카페 마캠뽀개기 카페에서 활동하셨던 알루미네이션님의 개인 작업용으로 개발 중인 포스트매니저(PostManager)의 알파버전(기능 확인용)을 소개합니다. 포스트매니저의 기능은 일반적인 가공프로그램(마스터캠 기준)의 포스팅 과정시 작업자의 성향 또는 작업환경에 따라 출력되는 가공프로그램(NC 데이터)의 출력형식을 변경하고자 할때 좀 더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통상의 경우는 포스트의 출력형식을 변경하려면 그 출력형태의 맞는 포스트를 골라서 쓰거나 아니면 그때그때 수기로 해당 포스트 파일 내용을 변경하여 적용 출력하는 형식을 취했지만. 다수가 한 개 컴시스템을 공유해 사용하거나 그때그때 작업상황에 맞게 포스트를 수정하는 것이 불편한 경우 또는 의도하지 않는 형태로 NC데이터.. 공감수 2 댓글수 10 2025. 4. 26.
  • 마스터캠 2021 상단 리본 메뉴에 관하여 -3 (홈-2)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 마스터캠 리본 메뉴의 홈탭의 기능을 설명하겠습니다. ③ 구성 (Composition) 현재 작업중인 작업평면에 대한 Z값 높이 설정값, 현재 적용 중인 레벨번호 변경에 대한 기능입니다. ㉠Z높이 설정(작업평면 기준) 현재 적용된 작업평면(Cplan)에 기준하여 생성되는 도형요소의 Z값 오프셋값을 설정합니다.* 작업화면 하단 정보바의 좌표값 표시중 Z값 입력칸에 Z높이값을 입력하여도 같은 기능을 합니다.* Z높이 설정값은 입력하면 수정전 까지 계속 유지하므로 다른 작업 시 반드시 다시 초기화(Z0.0)를 하여야 합니다. (마스터캠 파트 파일 종료(저장)해도 그 Z값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새로 만들기 또는 다은 파트 파일를 열기는 초기화됩니다.) 주의사항 이 Z높이 설정값은 현재..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4. 25.
  • 마스터캠 2021 상단 리본 메뉴에 관하여 -2 (홈-1) 이 번에는 리본 메뉴 중 홈탭의 포함되는 여러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① 클립보드 (Clipboard) 마스터캠 작업 화면상에서 입력을 요하는 부분에 한하여 윈도 클립보드 기능을 활용하여 어떠한 데이터(문자, 숫자 값, 이미지 데이터)를 복사, 잘라내기, 붙여 넣기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렇지만 실제 사용해 보면 작업상태(어떠한 값을 붙여 넣거나 복사하려고 하는 상황) 이 리본 메뉴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입력 요청창이 뒤로 가고 리본 메뉴가 앞으로 오는 바람에 실제로는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므로 사실상 이러한 기능은 마우스 우클릭으로 해당 기능(복사, 잘라내기, 붙여 넣기)을 실행하는것을 권합니다.㉠ 붙여 넣기 (Ctrl+V) : 원도우 클립보드에 있는 값을 현재 마우.. 공감수 1 댓글수 0 2025. 4. 23.
  • 마스터캠 2021 상단 리본 메뉴에 관하여 -1 (파일) 이번에는 마스터캠 상단 리본 메뉴의 여러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마스터캠 상단 리본 메뉴은 아래와 같은 것을 말합니다. 리본메뉴의 종류는 "홈", "와이어프레임", "곡면", "솔리드", "모델수정", "도면", "이동", "아트"(선택), " 머신", "뷰", "가공경로"를 말합니다. * "파일" 메뉴는 별도의 구분되는 메뉴로 정의합니다. 파일 메뉴의 선택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정보 마스터캠 보조기능에 대한 설명과 작업 중인 마스터캠 파일에 대한 속성정보와 마지막 수정날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프로젝트 관리자(Project File Manager)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활은 마스터캠 작업과정에서 해당파일(작업파일)의 주요 파일의 저장위치를 임의적(?)으로 지정이 가능합니다.1.. 공감수 0 댓글수 1 2025. 4. 21.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POST관련 정보(포스팅 공구목록 수정-2)-10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서 포스팅 시 출력되는 공구목록 표시형태 수정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저번 포스트 공구목록 표시 여부에 대한 설명을 되새겨보면 우선 MPFAN.pst을 기준으로 볼 때 일반 출력 관련 설정내용(General Output Settings) 항목의 "tool_info"항목 설정값에 따라 해당 공구목록이 다르게 표시되는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0"의 경우(Off - Do not output any tool comments or tooltable : 출력불가 공구 관련 항목 출력하지 않음)"1" 의경우(Tool comments only : 해당 공구의 적용 가공경로 선두에 해당 공구 목록만 출력)"2"의 경우(Tooltable in header - no tool comments.. 공감수 0 댓글수 3 2025. 4. 17.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POST관련 정보(포스팅 공구목록 출력-1)-9 이번에는 포스팅 과정에서 적용되는 공구목록 생성과 표시 관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포스트의 공구목록(Tool table)은 포스팅되는 가공정의에 적용된(마스터캠에서 관할) 공구에 대한 정보를 따로 모아 포스팅된 가공데이터(가공프로그램) 선두에 표시되는 것을 말합니다. 먼저 해당 포스트의 공구목록 형태를 살펴보겠습니다. * 예제로서 마스터캠 기본 제공 포스트(MPFAN.pst)와 외부 애드인 제작업체(IHS : 인하우스 솔리션)제공 포스트(MPMASTER.pst)를 예제로 사용하겠습니다. 2개의 포스트 파일를 사용하여 가공데이터(가공프로그램)를 출력해 보면 프로그램 선두에 다음과 같은 목록이 표시됩니다. - 마스터캠 기본 포스트(MPFAN.pst) - 인하우스 솔리션 제공 포스트(MPMASTER...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4. 10.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틸팅인덱스(3+2) 작업평면 적용방법-3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서 작업평면 설정방식과 실무에 적용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저번까지 설명에 의하면 WCS(원점 기준)평면을 선택하고 차후 각 각도별로 생성된 작업평면들을 WCS원점으로 이동한 후 2D 가공정의 경우 링크파라미터 선택을 증분값으로 하여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에는 크게 2가지 고려점이 있습니다. 1. WCS원점의 위치  저번 설명에서는 공작물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WCS평면을 배치하고 가공정의를 생성하는것을 설명하였습니다. 그런데 문제점은 이렇게 WCS평면을 배치하면 사실상 모든 좌표값 연산이 그 WCS원점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는 뜻이 됩니다.* (3+2)틸팅 인덱스 기준이므로 저 WCS평면 원점을 기준으로 해당 부가축(A, B, C)이 회전되어야 각 가..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4. 3.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틸팅인덱스(3+2) 작업평면 적용방법-2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틸팅인덱스(3+2) 장비에서 다각도 작업을 마스터캠에서 캠작업하는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이 게시글은 아는 지인분 요청으로 그분 상황에 맞게 작성한 것이라 다른 환경과는 작업 방식이 안 맞는 경우가 있습니다. * 직접적인 가공프로그램 생성(캠작업)이 아닌 활용방법에 대한 계념 지식으로 보아주시기 바랍니다.  우선 잠시 여기서 마스터캠에서 다각도(각도분활 작업) 작업 시 작업평면을 인식하는 과정을 잠시 알아보겠습니다. * 이론적인 애기 이라 좀...... 복잡합니다.  우선 저번 작업 평면 생성이 평면 원점을 X0.0, Y0.0, Z0.0으로 지정하는 이유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 사실 이부분은 기초 상식(?)으로 이해하고 실제 작업 시(실제 작업 시 소재원점위치가 장비 기계원점.. 공감수 0 댓글수 1 2025. 3. 23.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틸팅인덱스(3+2) 작업평면 적용방법-1 이번에는 3+2(틸팅인덱스)또는 5축 가공기(동시제어)를 활용한 다각도(정회전이 아닌) 면에 대한 마스터캠 가공평면 적용 및 좌표출력(가공프로그램)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계념만 알아보겠습니다.* 이 게시글은 아는 지인분 요청으로 그분 상황에 맞게 작성한것이라 다른 환경과는 작업 방식이 안 맞는 경우가 있습니다. * 직접적인 가공프로그램 생성(캠작업)이 아닌 활용방법에 대한 계념 지식으로 보아주시기 바랍니다.  일단 3+2(틸팅인덱스)로 각도분활 형태 가공방식을 따르겠습니다.   가공물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바닥면의 내부 포켓이 있지만 그것까지 설명하면 글이 너무 길어져서 생략합니다.  먼저 계념적으로 어떻게 가공프로그램을 생성하는지 정의합니다. 작업 방식은 동시제어 방식이 아닌 해당 가공면을 해당.. 공감수 0 댓글수 1 2025. 3. 16.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POST관련 정보(시퀀즈 번호 부여)-8 이번에는 포스트 정의에 따라 해당위치에 시퀀스 번호를 자동적(?)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이 방식은 마스터캠 9.1 버전에는 적용되는 방법이 아닙니다. X버전 이후 2021 버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른 버전 마스터캠 설정 및 입력창 화면과 버턴위치만 틀리고 기본적인 원리는 동일합니다.  먼저 마스터캠에서 시퀀스 번호에 대하여 일반적인 상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시퀀즈 번호(Sequence Number)는 연속적인 일정한 간격으로 정해진요소들의 나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단히 얘기 하여 각 지령문의 순번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프로그램 공부는 하시는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계속적으로 지령되는 지시문의 대한 순번(차례)을 알리기 위하여 표시되는 번호의 나열입니다.  마스터캠에서는 간혹.. 공감수 1 댓글수 0 2025. 3. 10.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POST관련 정보(포스트 내부 구조)-7 이번에는 마스터캠 포스트(post)에 대하여 다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여러 가지 이유로 포스트를 수정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 중 하나가 어디를 수정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입니다.  예로 만일 프로그램 초기 부분 또는 톨체인지 부분, 프로그램 종료 부분등 수정 하여야할 부분의 위치(포스트 내용 중 수정해야 하는 부분)를 몰라서  지인의 조언을 받아도 어딜 고쳐야 할지 몰라 수정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여기서 잠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여기서 설명하는것은 2000대 버전 마스터캠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마스터캠 9.1 버전에 해당되지 않는 내용이 많으며(거의...) 마스터캠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MPFAN.pst 와 인하우스 솔리션(IHS)의 MPMASTER.pst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공감수 0 댓글수 2 2025. 3. 4.
  •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7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이번에는 공작물 가공면 전체를 한번에 가공영역(바운더리) 설정하고 경로 생성 시 간단한 팁을 알아봅니다.  가공경로 제어 항목의 커브 기능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와이어프레임 체인 또는 솔리드 체인 적용이 가능하며 다수의 체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커브기능을 활용하여 스컬롭 경로 적용 시 설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1. 가공영역중 특정영역을 특정패턴(커브)으로 경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먼저 아래 같은 공작물을 전체 가공영역(바운더리) 설정 후 스컬롭 경로를 내면 스컬롭 경로는 전체 가공영역을 기준으로 그 영역 범위의 중앙부를 기점으로 경로를 생성합니다.  즉 가상의 평면상 생성된 스컬롭 경로(포켓형태)를 가공 ..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2. 26.
  •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6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 적용 예를 보겠습니다. 예제는 저번에 사용한 공작물 입니다. 저번에 여러가지 어려움 끝에 가공(?)에 성공하였습니다. 그렇지만 어른의 사정으로 전공정 과정문제로 하단부 돌출부 바닥을 기준면으로 해서 작업하라는 지시가 내려왔습니다. * 약간 언더컷 가공여부 따지면 좀 이상하기는 하지만 예제로서 억지 설명합니다..(예제 선택 실패..) 사실 공작물 각도가 좀 바뀌었다고 뭐 달라지나 하고 저번에 한 형태의 일정한 스칼롭 가공정의를 적용하여 생성합니다. * 가공곡면 테두리 수직면 부분이 가공이 불가능한데... 일단 그부분은 가공이 완료되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겠습니다. * 사실 제대로 하면 아래 설명할려는 주제가 흔들려버려서... 일단 역지로.. 그래서 우선.. 공감수 1 댓글수 5 2025. 2. 23.
  •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5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이번에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공작물 입니다. 우선 하단부 형상은 우선 완료되어 있다고 전제하고 상단 가공 대상곡면만 가공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 사실 자세히 보면 언더컷(3축에서 가공 불가능한)영역이 살짝 있지만 우선 무시합니다. 먼저 좌우측에 조립용 카운터 보어가 있지만 이것은 2D 가공경로로 처리될것 이므로 우선 여기서는 불필요하므로 삭제하고 가공경로를 생성하기로 합니다. 우선 해당 솔리드 요소 삭제 방법은. * 먼저 원본을 별도 레벨에 복사해 놓고(백업본) 복사된 솔리드 요소를 대상으로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사전에 카운터 보어 부분을 2D 와이어프레임으로 별도 생성해 놓으시면 관계없습니다.) 카운터..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2. 22.
  •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4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 생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가공 공작물은 저번것을 계속 활용합니다.   그러면 우선 이 공작물의 가공곡면을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로 가공 시 고려해봐야 할 사항을 한 가지 설명하겠습니다. 흔히 곡면가공(볼엔드밀 종류 사용)시 가공 방향이 위에서 아래보다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것을 선호한다고 합니다.  이것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우선적으로 생각해 볼 것이 다음과 같습니다. 1. 하향/상향 가공문제  통상적으로 2D 윤곽가공 보정방향에 기준하여 생각하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것이 하향 가공, 위에서 내려오면 상향가공이 됩니다. * 물론 이것은 가공정의 생성시 작업자가 임의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2. 볼엔드밀 형태 공구 절삭 접촉면의 상이한 점 .. 공감수 0 댓글수 3 2025. 2. 21.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6(화낙 자동운전시 진행율(%)파악하기) 이번에는 머시닝 센터 자동운전(프로그램 가공) 과정에서 현재 가공 중 진행율(%)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어느정도 다량의 공구와 긴 가공시간(짧으면 진행율 파악하기도 전에 종료되므로..)을 가진 가공 프로그램을 자동운전 진행에 한정된 애기입니다.  먼저 현재 가동중인 가공 프로그램 진행율(%)을 알아보는 방법을 소개한다면... 일반적인 1. 전체 가공 시간과 현재 진행된 가공시간을 비교 가공 진행율(%)을 확인 합니다. * 위 이미지처럼 전체 가공시간이 3m 7s(3분 7초 = 187초)인데 진행율을 확인할 때 시간이 1m 13s(1분 13초 = 73초)이므로 73 / 187 = 0.39 = 39% 이므로 현재 진행율이 39%인 것 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이방식은 단순한 진행.. 공감수 0 댓글수 3 2025. 2. 18.
  •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3 이번에는 저번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 생성 방법에 대한 여러 예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먼저 간단하게 일정한 스컬롭 가공정의 생성법을 배워보겠습니다.  가공 대상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일단 가공조건은 가공물 상단 높이 Z0.0에서 하단 높이 Z-35.0(바닥면 제외)까지 진행하며 나머지 부분(회피영역)은 먼저 선 가공 완료되고 현재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 적용 부분은 가공여유 0.1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시작합니다.* 특히 스컬롭 가공경로는 사전에 황/중삭 가공을 통해서 가공부하를 적게 받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별도 미절삭 부분이 많이 남아 있는 부분을 자동 감지(?)하지 못하므로 경우에 따라 푹 박는다는 느낌으로 가공경로가 생성되는 경향(일반적인 스컬롭이 좀 심합니다.)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2. 15.
  •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2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곡면 고속가공경로 "일정한 스컬롭"의 절삭 파라미터 항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② 열린 윤곽 방향* 이항목은 독단적으로 적용되지 않으며 "닫힌 윤곽 방향"과 같이 적용되며 앞서 가공경로 제어 항목의 방법 닫힌 오프셋/트림된 오프셋의 선택에 영향을 받습니다.* 참고로 닫힌 윤곽 방향은 가공경로 제어 항목의 닫힌 오프셋에 고정된 적용값을 가집니다.* 또한 열린 윤곽 방향이 적용될려면 해당 가공정의의 공구 중심영역 체인이 열린 체인 형태가 되어야 합니다. (이것은 마치 2D 윤곽 가공경로의 닫힌/열린 체인과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우선 열린 윤곽 방향이란 해당 가공영역의 공구 중심영역 체인이 열린 체인형태로 설정된 경우 열린 방향(가공영역외측으로 개방된..)에서 공구진입 또는 경.. 공감수 0 댓글수 4 2025. 2. 11.
  •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1 이번에는 저번 곡면 고속 가공경로 중 스컬롭(SCALLOP)에 이어서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먼저 설명했듯이 스컬롭 가공경로는 기본적으로 2D 포켓 경로형태를 기본으로 하는 평면상 가공경로(바운더리 영역에 따른)를 3D 등고선 경로를 기본으로 하는 해당 가공대상 곡면형태에 투영 이동 시키는 것 과 같은 형태의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 어디까지나 이해를 돕기위한 설명이며 실제 마스터캠 내 경로 연산방법은 해당 마스터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① 스컬롭 가공경로 생성을 위하여 해당 솔리드 요소의 피라미드형태의 가공 대상곡면을 선택합니다. ② 그러면 먼저 해당 가공영역(바운더리 영역, 공구 중심영역)에 준하는 평면 형태 가상의 곡면을 생성합니다. (어디까지나 이해.. 공감수 0 댓글수 5 2025. 2. 8.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5(화낙 조작반 가동 상태 표시바의 표시사항 설명) 이번에는 머시닝 가공 시 또는 조작 시 해당 장비 조작반 화면(화낙 기준)의 현재 조작 관련 상태 메시지 표시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입니다. 상태 표시가 되는 부분은 조작화면에 입력칸 밑에 표시된 부분 입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해당 장비 운전 모드(현재 적용된 작동모드의 종류를 표시합니다.)② 해당 장비 자동운전(가공 프로그램 가동 중)의 상태를 표시합니다.③ 현재 작동 중인 축 이송 관련 상태(수동/자동)를 표시합니다.④ 현재 장비가 어떠한 대기 상태(다음 작동이 있는지 /없는지)를 표시합니다.⑤ 비상정지(EMG STOP) 또는 리셋키 적용상태(RESET KEY)를 표시합니다.⑥ 현재 장비의 알람(ALARM) 발생 시 알람내용을 간략히 표시합니다. ⑦ 현재 장비의 등록된 시계(CNC 자.. 공감수 0 댓글수 1 2025. 2. 1.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4(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5)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아큐센터를 활용한 소재 가공원점 설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이번에는 정원형태(정원이라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재의 내 외곽 측면을 측정하여 그 원형의 중심점(센터)을 찾아서 그 위치를 해당 워크좌표계에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여기서는 정원형태(정확한 360도 원형 형태)의 소재의 중심점을 찾는것을 전제로 합니다.  즉 아래와 같은 형태는 사실상 아큐센터를 활용한 중심점의 위치를 찾는것은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이론적으로는 기울어진(상대적으로 대칭되는 거리값이 있는) 형태일지라도 기본적으로 아큐센터는 측정하는 측면과 아큐센터 이송축 방향이 90도 직각으로 만나는 형태가 되어야 정확한 거리값이 나오며 아큐센터 측정면 특성상 기울어진 면에는 정확한 접촉(.. 공감수 0 댓글수 0 2025. 1. 30.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3(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4)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아큐센터를 활용한 가공 소재의 중앙 가공원점을 측정하여 해당 장비 워크좌표계에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소재 중앙에 가공원점을 설정하는 경우는 보통 잘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이유는 바이스 체결 작업이 기본인 경우 보통 바이스에 장착 한 스톱버(아데, 고정대 등등)에 기준하여 고정된 워치에서 미리 측정한 가공원점을 계속적으로 활용하거나 만일 가공원점을 가변적으로 한다 해도 보통의 경우 어느 한쪽 방향의 모서리점에 치중하여 가공원점을 설정하기 때문입니다.  * 통상 스톱버로 고정된 가공원점은 X, Y만 가능하고 일반적인 사용 시 Z값만 소재 교체 시 측정하여 입력하는 방식을 따르기도 합니다.* 이 또한 번거롭다면 Z 원점 위치를 평행블록상단에 놓고 EXT 좌표계에 해당 .. 공감수 1 댓글수 0 2025. 1. 27.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2(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3)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아큐센터를 이용한 소재 가공원점을 해당 머시닝 장비 워크좌표계에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저번에 아래와 같은 가공원점을 가진 소재의 X축 방향 원점위치 좌표값을 아큐센터로 측정하여 해당 워크좌표계 X축 좌표값칸에 입력하였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Y축 소재 측면을 측정하여 해당 소재 가공원점을 해당 장비 워크좌표계에 입력하겠습니다. 요령은 X축과 동일합니다. 다만 -Y축 방향에서 들어오는 것만 틀립니다. 설명을 간략하기 위하여 저번 측정방법중 3번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하겠습니다. 먼저 소재 Y축 방향 측면을 +Y축 방향으로 해서 진입합니다. 아큐센터와 소재측정면(Y축방향)과 접촉후 임팩트하면 바로 OFS/SET모드로 들어가서 좌표계 - 워크좌표계 해당 축값.. 공감수 1 댓글수 2 2025. 1. 16.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1(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2)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서 아큐센터를 활용하여 머시닝 장비의 위크좌표계에 가공원점을 입력(측정) 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저번에는 아큐센터로 소재 측정측면에서 측정반경(아큐센터)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해당 머시닝장비 워크좌표계(G54)에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 과정은 아큐센터로 소재측면 측정 후 - 포스(POS) 모드의 상대좌표계 X축 원점좌표 입력 - 워크좌표계(G54)에 X축 원점 좌표값에 X원점 기계좌표값으로 입력(측정)  이러한 과정을 앞서 3가지 방식으로 제시 하였습니다. 1. 현재 위치를 상대좌표에서 X0.0으로 입력(프리셋)하고 측정기구(아큐센터) 반경값만큼 이동(X5.0) 후 다시 현재 위치를 X0.0으로 입력(프리셋)하고 OFS/SET 모드에서 좌표계 - 워크좌표계.. 공감수 0 댓글수 3 2025. 1. 12.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0(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1) 이번에는 아쿠센터를 활용하여 각종 소재의 가공원점(해당 장비 워크좌표점, 마스터캠 WCS원점)을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머시닝 장비의 가공원점(각축 원점복귀의 원점이 아닙니다.)은 해당 장비 워크좌표(G54, 55, 56~)에 입력된 해당 소재의 각 워크좌표계의 원점(0, 0, 0)에 해당하는 기계좌표값 입력입니다. * 여기서는 화낙(FANUC)컨트롤 방식의 마스터캠 2021 기준(CAM 프로그램)으로 설명합니다. * 각 소재별(바이스위치별) 워크좌표값 이나 가공원점 위치는 고정된 것은 아니고 각 작업환경에 따라 변동됩니다. * 이후 설명상 가공원점(소재 수량)은 G54 1개소로 설정하며 설명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머시닝장비 운영시 가공소재 가공원점 설정시 측정기구로 아큐센터(accuc.. 공감수 2 댓글수 2 2025. 1. 4.
    반응형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