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저번에 이어 마스터캠 리본 메뉴의 홈탭의 기능을 설명하겠습니다.
③ 구성 (Composition)
현재 작업중인 작업평면에 대한 Z값 높이 설정값, 현재 적용 중인 레벨번호 변경에 대한 기능입니다.
㉠Z높이 설정(작업평면 기준)
현재 적용된 작업평면(Cplan)에 기준하여 생성되는 도형요소의 Z값 오프셋값을 설정합니다.
* 작업화면 하단 정보바의 좌표값 표시중 Z값 입력칸에 Z높이값을 입력하여도 같은 기능을 합니다.
* Z높이 설정값은 입력하면 수정전 까지 계속 유지하므로 다른 작업 시 반드시 다시 초기화(Z0.0)를 하여야 합니다.
(마스터캠 파트 파일 종료(저장)해도 그 Z값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새로 만들기 또는 다은 파트 파일를 열기는 초기화됩니다.)
주의사항
이 Z높이 설정값은 현재 적용 중인 작업평면(C-plan)을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WCS 평면 Z값과 무관하게 작동되며 또한 이러한 설정은 2D 모드 상태에서 제대로 작동되며 3D 모드에서는 도형요소 생성 시 지시된 좌표값에 따라 설정되므로 3D 모드상에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레벨(레벨 간 이동
현재 적용 중인 레벨 번호를 표시하며 작업자가 현재 적용중인 레벨번호를 변경 시 드롭-다운 메뉴를 통하여 해당 레벨번호로 변경합니다.
우측의 드롭-다운메뉴를 통해서 변경할 레벨 번호를 선택합니다.
*현재 적용 중인 레벨번호만 변경되며 그 외 기능은 없습니다.
④ 삭제 (Delete)
도형요소의 대한 삭제(연결관리 취소, 중복, 복원)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요소 지우기
현재 선택한 도형요소를 바로 삭제합니다.
삭제 방법이 두 가지인데 먼저 해당 도형요소를 먼저 선택 중이면 별도의 경고메시지 없이 바로 삭제합니다.
만일 현재 선택 중인 도형요소가 없으면 삭제할 도형 요소(대상)를 선택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대상 도형요소를 선택한 후 선택완료 버턴을 누르면 삭제됩니다.
* 키보드 "Delete"키를 눌러도 같은 기능을 합니다.
* 다만 해당 삭제예정 도형요소에 도면요소(치수기입)가 있는 경우 삭제를 지령하면 다음과 같은 경고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이 도형과 연결 관리되는 도면요소 있음.
연결관리 란? : 도면요소(치수) 생성 시 해당(치수 기입할) 도형요소를 선택하여 이에 기준하여 도면요소가 생성됩니다.
즉 해당 도형요소의 규격(?) 값이 해당 도형요소의 규격(?) 값과 연동(연결)되어 작동합니다.
* 이것은 나중에 해당 도형요소를 변경(스트레치, 배율이동, 형상 변경등)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도면요소(치수)가 같이 변경되는 경우를 위하여 이를 연결되었다(연결관리)이라고 합니다.
즉 해당 도형요소를 삭제하면 연결된 도면요소(치수)는 해당 규격값을 잊어버려 단순 도형요소(실제는 아니지만)가 되어 버립니다.
관련 도면요소도 함께 삭제 : 해당 도형요소에 연결된 도면요소(치수)도 삭제 시 함께 삭제됩니다.
도면요소 삭제 안 함, 연결관리는 해제 : 해당 도형요소은 삭제되고 연결된 도면요소(치수)는 그대로 남아 있지만 연결된 규격값은 삭제(해제)됩니다.
이렇게 연결관리 해제된 도면요소는 재생성(치수 업데이터)등의 작업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도면요소 삭제 안 함, 연결관리는 무시 : 해당 도형요소는 삭제되고 연결된 도면요소(치수)는 그대로 남아 있고 연결된 규격값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이렇게 연결관리 무시된 도면요소는 재생성의 여지(만일 다시 되돌림(undo) 기능으로 삭제된 도형요소를 복원하면 바로 해당 연결관리 기능이 되살아납니다.
* 만일 연결된 도형요소가 삭제된 도면요소는 현재 연결관리가 존재하므로 경고의 의미로 해당 도면요소가 적색으로 표시되며 만일 이러한 연결관리가 변경될 조건이 되면 해당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어 이러한 연결관리를 제거할 것인지 무시하고 그대로 사용할 것인지을 질문하는 메시지창이 표시됩니다.
* 이러한 기능은 도면요소와 공존해야 하는 도형요소를 삭제한 경우 경고을 표시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다른 도형 삭제 시 실행조건
* 다른 도형이란 도면요소 생성 시 해당 도형요소을 선택하여 도면요소를 생성하여야 하지만 경우에 따라 다른(치수 기입할 도형요소가 아닌) 도형요소의 위치점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이렇게 도면요소가 적용되는 도형요소가 아닌 다른 도형요소에서 위치점을 참조하는 경우에 다른 도형이 연결되었다고 표현합니다.
* 위 이미지처럼 원래 상단 도형요소만 도면요소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옆에 다른 도형요소까지 연결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도형 삭제 시 연결관리 도면요소 여부 항상 알림 : 도면요소가 있는 도형요소 삭제 시 항상 위 알림(경고 메세지를 출력함)을 실행
도형 삭제시 연결관리 도면요소 도 함께 삭제 : 연결된 다른 도형요소 삭제시 연결된 도면요소도 같이 삭제
관련 도면요소 삭제 안 함, 연결관리는 해제 : 연결된 다른 도형요소 삭제 시 연결된 도면요소는 남고 연결된 관리는 해제
관련 도면요소 삭제 안 함, 연결관리는 무시 : 연결된 다른 도형요소 삭제 시 연결된 도면요소는 남고 연결된 관리는 유지
* 만일 "도형 삭제 시 연결관리 도면요소 여부 항상 알림" 이외 항목을 선택한 경우 해당 도형요소 삭제시 아무런 경고 메세지 없이 바로 삭제 실행됨
이것을 설정 수정하고자 하면 환경설정의 치수 항목의 설정으로 가서 전체 도면 치수에 대한 연결관리 규칙에서 다시 "도형 삭제시 연결관리 도면요소 여부 항상 알림"을 적용하여 설정합니다.
㉡ 연결관리 안 됨
여러 개의 도형요소 중 연결관리가 되어있지 않은(도면요수(치수)가 없는) 도형요소를 선별하여 삭제합니다.
아래와 같이 도면요소 연결관리된 도형요소와 연결관리 안 된 도형요소들 선택하면 연결관리된 도형요소(!)만 남기고 나머지는 삭제합니다.
㉢ 중복
현재 작업화면에 표시된 도형요소 중 형상형태(XYZ좌표값이 동일한)가 중복되는 도형요소를 선별하여 삭제합니다.
중복 실행 후 중복되는 도형요소가 있으면 아래와 같은 중복 삭제 요약 보고서를 표시하며 해당 중복 도형요소를 삭제합니다.
* 만일 중복되는 도형요소가 없어도 중복 삭제 요약 보고서는 표시됩니다.
* 삭제 조건은 현재 작업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도형요소 이므로 실제로 중복되었어도 레벨 구분 또는 블랭크 기능등으로 현재 작업화면에 표시되지 않으면 중복 삭제 요소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상세조건
중복 삭제 상세조건은 도형요소의 중복 삭제요건(도형요소 형태상)을 충족하는 가운데 특정 상세조건 항목에 적합한 도형요소만 중복삭제 할 수 있도록 한 기능입니다.
XYZ값 외에도 무엇이 중복되었는지 결정하기 위해 다음의 속성을 사용합니다.
*해당 도형요소의 형태(XYZ 좌표값)가 동일한(중복요소) 경우에도 여러 가지 다른 항목으로 중복(색상, 선형태, 레벨, 선굵기, 점형태)이 된 경우 속성 선택에 따라 중복 삭제 됩니다.
예로서.
* 첫 번째 선의 형태를 상세조건으로 지정하면 5개 중복된 도형요소 중 선의 형태가 동일한 3개 요소중 1개가 남음(다만 남은 요소를 특정할 수 없습니다.)
* 두 번째 선의 색상을 상세조건으로 지정하면 4개 중복된 도형요소(중복된 색상은 2가지)중 색상이 동일한 요소끼리 1개씩 남음(4개 중 각 생상별로 1개씩 남음)
가공경로, 솔리드, 곡면 또는 치수에 연결관리되는 중복된 도형의 삭제를 허용
현재 삭제대상이 와이어프레임인 경우 해당 도형요소가 솔리드 생성(히스토리), 곡면 생성(영역 기준), 도면요소가 연결관리 상태 등 중복삭제될 도형요소 외로 다른 도형요소(중복 삭제 대상이 아닌)가 연관 관계가 있는 경우 삭제를 못하거나 삭제 시 문제점 발생 경고, 연결관리 해제 경고등 여러 가지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는데 이를 표시하지 않고 해당 중복 도형요소 삭제를 허용합니다.
㉣ 요소 삭제 취소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솔리드, 곡면, 도면요소등)를 일반적으로 삭제한 후 다시 해당 요소를 복원하고(삭제취소) 싶은 경우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 해당 기능은 거의 무한대의 삭제 취소가 가능하지만 중간 과정에서 해당 도형요소가 편집 또는 속성이 변경된 경우 해당 도형요소의 최후단 형태까지만 복원이 됩니다.
⑤ 화면표시 (Display)
현재 표시되어 있는 도형요소에 대한 선별적인 표시 선택과 식별 용이 위한 편의기능을 제공합니다.
㉠ 히든/히든취소
현재 표시 중인 도형요소 중 독단적으로 표시하고 싶은 도형요소(다수가능)를 선택하면 선택하지 않은 도형요소는 일시적으로 화면표시가 중지(레벨 이동, 요소 삭제, 블랭크 등의 기능이 아닌) 상태가 됩니다.
* 히든 처리된 도형요소(표시가 중지된)는 아무런 속성 변화가 없습니다.
* 다만 화면상에서 표시 또는 선택 적용이 안될 뿐입니다.
히든 선택
예제 도형요소에서 좌측 상단 흑색 사각형만 표시하고 나머지는 히든(Hidden) 처리한다면 우선 "히든/히든취소" 아이콘을 클릭 후 해당 도형요소(남기려는)를 선택한 후 "선택확인"을 클릭하면 선택한 도형요소 외 나머지 도형요소가 화면표시가 없어집니다.
* 이 상태에서 다른 사라진 도형요소는 단지 화면에 표시가 안 되고 선택이 안 되는 상태이며 그 도형요소의 속성은 그대로입니다.
* 다만 이 상태에서 레벨을 이동한다는지 레벨 화면표시를 on/off 한다든가 하면 다시 표시됩니다.
* 또한 이 히든 상태에서 블랭크, 언블랭크등의 기능을 사용하여도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히든취소 선택
이러한 히든 상태를 종료하고 다시 원래대로 화면표시를 되돌리려면 다시 동일한 아이콘(히든/히든 취소)을 클릭하면 원래 도형요소를 표시합니다.
히든/히든취소 상세 기능
히든 추가
현재 도형요소 중 히든 처리되어 화면의 표시된 도형요소중 추가 하여 히든처리(화면에서 표시안되게)할 도형요소를 선택하면 그 도형요소도 히든처리 되어 화면표시에서 사라집니다.
히든취소 일부
현재 도형요소중 히든 처리되어 화면의 표시되지 않은 도형요소중 일부만 다시 되돌려 화면표시가 되도록 히든처리 후 이 "히든취소 일부"기능으로 일부 히든처리된 도형요소를 화면표시 합니다.
㉡ 호 중심점
와이어프레임으로 생성되는 정원 또는 원호의 중심점을 표시하느냐 표시 안 하느냐을 결정합니다.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면 원호 기능으로 생성되는 와이어프레임 도형요소 중심점에 중심점 표시가 됩니다.
* 해당 중심점은 현재 작업상황과 관계없이 원호로 생성된 와이어프레임에는 표시 on/off가 됩니다.
* 해당 중심점은 원호의 시각전인 위치를 표시해 주는 것이라 선택이 불가능합니다.
* 해당 중심점 표시 형태는 고정적으로 1가지 종류만 있습니다.
(점 형태가 아닙니다.)
* 원호 와이어프레임이 아닌 스플라인 같은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끝점
생성되는 와이어프레임(단일선 기준)의 요소별 양 끝점을 표시 유무를 결정합니다.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면 와이어프레임(직선, 원호, 스플라인 등)의 요소별(한 개당) 양 끝점에 호 중심점 표시와 동일한 표시를 합니다.
* 해당 끝점은 현재 작업상황과 관계없이 와이어프레임 형태이면 양끝에 끝점을 표시 on/pff 됩니다.
* 해당 끝점은 와이어프레임의 시각전인 위치를 표시해 주는 것이라 선택이 불가능합니다.
* 해당 끝점 표시 형태는 고정적으로 1가지 종류만 있습니다.
* 폐쇄형태(닫힌 도형 : 정원)의 경우에도 양쪽 끝점이 만나는 형태로 끝점(사실은 2개)이 존재하게 됩니다.
( 이것은 마스터캠의 특징이며 이러한 문제로 방향성이 없어야 할 정원에 와이어프레임 시작점과 끝점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이것이 정원을 체인으로 한 가공경로의 진입/복귀 시 각 원요소마다 틀리게 진입/복귀점이 발생하는 이유입니다.)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 > 마스터캠 을 처음 설치 하고 살펴보아야 할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캠 2021 상단 리본 메뉴에 관하여 -5 (와이어프레임-1) (0) | 2025.05.04 |
---|---|
마스터캠 2021 상단 리본 메뉴에 관하여 -4 (홈-3) (0) | 2025.05.01 |
마스터캠 2021 상단 리본 메뉴에 관하여 -2 (홈-1) (0) | 2025.04.23 |
마스터캠 2021 상단 리본 메뉴에 관하여 -1 (파일) (1) | 2025.04.21 |
마스터캠 2021 유저-인터페이스 에 관하여 -9 (쿽마스크 , 상태바 설정) (0) | 202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