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캠 2021 상단 리본 메뉴에 관하여 -4 (홈-3)

반응형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 마스터캠 리본메뉴 홈탭의 메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⑤ 화면표시 (Display)



㉣ 블랭크


 현재 작업화면에 표시중인 도형요소 중 표시 & 선택이 안되도록 원하는 도형요소를 선택하여 표시가 안되게 하는 기능입니다.


* 히든 기능과 틀림점은 히든은 독단적으로 표시되고 싶은 도형요소를 표시하고 블랭크는 지금 표시되고 있는 도형요소 중 표시 안되길(안보이길) 원하는 도형요소를 선택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히든 기능은 일시적인 기능(히든 취소 또는 열기 등)이고 블랭크는 별도로 언블랭크하여 선택한 도형요소만 다시 표시를 하는 영구적인 기능입니다.




블랭크 / 언블랭크


블랭크 : 현재 작업화면에 표시 중인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솔리드, 곡면, 도면요소)의 선택적인 표시 상태를 별도 언블랭크 하기전 까지는 화면 표시를 안 합니다.

언블랭크 : 현재 블랭크 상태인(화면에 표시되지 못하는) 도형요소에 한하여 선택적인 화면표시를 합니다.


* 단순히 얘기하면 블랭크는 선택한 도형요소를 표시 off / 언블랭크는 다시 선택한 블랭크 상태의 도형요소를 표시 on 하는 기능입니다.


* 블랭크 / 언블랭크 기능은 레벨관리자의 의한 화면 표시 on / off에 따라갑니다.
(레벨관리자에서 화면표시 off 된 레벨의 속하는 블랭크 도형요소는 해당 레벨이 화면표시 상태가 off이면 언블랭크 실행 시 화면에 대상 도형요소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히든 기능 경우 히든 기능 실행 후 다른 레벨 선택 또는 화면표시 on 하면 해당 레벨의 도형요소가 표시됩니다.)
 

⑥ 측정 (Measurement)


 해당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솔리드, 곡면, 도면요소)의 속성 및 규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요소 측정
 이 기능은 선택 가능한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솔리드, 곡면, 도면요소등)의 속성값(각 도형요소의 종류에 따라 표시되는 항목이 다릅니다.)을 표시합니다.
* 해당 속성창 내에서 속성값 수정이 가능(일부)합니다.


* 점(point), 직선(line), 원호(circle, arc), 너버스 스플라인(spline)

 


* 선형끝단(curve), 너브스 곡면(surface), 돌출(solid), 선형 치수(dimension)

* 경우에 따라 같은 종류이지만 형성 종류가 다르면 선두 명칭이 조금씩 틀립니다.

 표시 형식이 너무 많아서 와이어프레임(제일 많이 쓰이는) 항목만 설명하겠습니다.


* 일반적으로 입력칸이 황색이면 입력/수정이 가능 또는 드롭다운메뉴는 선택가능 푸른색은 수정불가(읽기 전용, 자동 수정) 칸입니다.


* 원호의 경우 상단 뷰번호는 아래와 같이 원호가 속한 평면(육면체)에 대한 방향표시이며 마스터캠에서는 원호도 하나의 끓어진 단일선(ARC)이 시작점과 끝점이 만나는 계념으로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원호에도 선형 진행방향(CW/CCW) 원호 시작각도값이 (시작점/끝점)이 존재합니다.


* 일반적으로 선택한 도형요소의 속성값과 수정가능 속성값을 표시해 주며 다수의 도형요소를 선택한 경우 상단 좌우 전환 버턴이 표시됩니다.


㉡ 거리 측정


 현재 작업화면에서 선택한 시작점과 끝점 간의 2D / 3D모드 간 거리값을 표시해 줍니다.

 

거리 측정값은 기본적으로 읽기 전용이며 입력불가입니다.


거리 측정값은 마우스 우클릭으로 해당 값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측정방법은 해당 도형요소를 선택(거리값으로 측정이 가능한 형태)하거나 마우스로 시작점과 끝점을 선택하여 거리값을 측정합니다.
* 기본적으로 시작점과 끝점 간 직선거리값을 측정하며 만일 커브(원호형태, 스플라인등)는 "커브를 따라 거리 측정" 기능을 이용하여 측정 가능합니다.


* 거리값만 측정 가능하며 면적 또는 각도, R값은 측정 불가 합니다.

 

 

거리측정 : 선택한 시작점과 끝점 간 직선으로 연결되는 거리값을 측정합니다.
* 해당 도형요소를 선택하여 자동적으로 그 도형요소의 시작점과 끝점의 거리값을 측정하지는 못하고 반드시 시작점과 끝점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194



 3D 측정의 경우 평면상에서 2D 도형요소처럼 보이지만 Z값이 있는 경우 측정 시 3D 거리값이 변하게 됩니다.
* 2D 거리값과 3D 거리값이 틀리면 3D 도형요소라는 얘기가 됩니다.




커브를 따라 거리 측정
 간혹 해당 도형요소가 직선이 아닌 경우(원호(정원포함), 스플라인 또는 단일 선택 가능한 요소) 선택하여(시작점, 끝점 선택이 아닌) 선택한 도형요소의 전체 길이값을 측정합니다.


* 도형요소 선택을 여러 개 각각 해야 하는 분리된 다수의 연결된 도형요소는 측정할 수 없습니다.


* 사실상 원호, 스플라인 요소만(커브 요소) 측정 가능합니다.

 



㉢ 가공경로 측정


 선택한 가공정의 생성 경로의 정보값(작업번호, 이송속도, 회전수, 해당 지령 G-code, 경로길이, 절삭유 여부등)을 경로별 선택하여 표시합니다.


* 위 이미지처럼 해당 가공경로를 선택한 후 표시되는 위치의 경로에 대한 정보(진행방향, 작업번호(op), 이송속도(F), 스핀들 회전수(S), 적용 G-code, 경로길이, 적용된 절삭유 지령문 등)가 마우스 이동에 따라(마우스 좌클릭은 유지) 계속 표시됩니다.


* 경로확인과 차이점은 경로확인은 가공경로의 진행사항 표시 위주이고 가공경로 측정은 선택한 경로 구간(G-code 지령별)의 정보를 표시합니다.


* 경로확인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해당 가공경로를 마우스 좌클릭하면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공구표시
① 모드 : 가공경로 측정 시 공구표시 또는 홀더표시 항목이 체크(활성화)된 상태에서 표시된 공구요소의 표시방식(와이어프레임 또는 셰이딩(렌더링))을 선택합니다.

② 공구/홀더 표시 : 가공경로 측정시 해당 공구/홀더의 표시 여부를 선택합니다.

③ 불투명도 : 공구/홀더 표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표시되는 공구요소의 불투명도(100%가 완전 불투명)을 아래 슬라이드바에 의하여 결정합니다.


㉣ 다이내믹


 이제 까지는 측정하고자 하는 도형요소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대한 측정값을 표시하였지만 다이내믹 측정 방식은 마우스 클릭에 따른 위치에 해당하는 도형요소의 실시간 측정값을 표시해 줍니다.


 기본적으로 위와 같이 선택한 도형요소의 각 포인트(위치)를 따라(마우스 움직임) 실시간 측정값을 보여줍니다.




* 와이어프레임(도면요소 도 와이어프레임 요소로 취급), 곡면 요소도 측정가능합니다.


* 솔리드의 경우 현재 측정위치에 따른 곡률(곡률이 있는 경우)에 대한 값이 측정됩니다.


* "위치"의 경우 측정한 위치에 따른 좌표값을 보여주면 사실상 작업평면(2D)에 기준한 와이어프레임 요소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다이내믹 측정의 주요 용도는 보통 솔리드 요소에서 최소 알값(R)을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합니다.


 수동적으로 일일이 측정 위치(측정 요소)를 클릭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최소값을 찾기 위한 용도로 많이들 사용합니다. 




㉤ 각도


 두 개의 도형요소 간 형성된 각도값(2D/3D)을 측정하여 표시합니다.
* 특이하게 지정평면(plan)과 해당 도형요소(주로 솔리드, 곡면)에 대한 각도값을 산출합니다.

 


각도 측정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요소)중 2개의 도형요소를 선택하여 그 도형요소의 상대 각도값을 표시합니다.


* 일정한 각도값이므로 사실상 직선형태 도형요소만 가능합니다.


2 직선
*위 이미지처럼 두 개의 도형요소를 선택순서에 따라(CW/CCW) 안쪽각도와 바깥쪽 각도의 각도값을 측정합니다.


첫 번째 각도 값과 두 번째 각도값으로 표시되며 선택방향(CW/CCW)에 따라 표시되는 값이 달라집니다.

 


3점
 측정하여야 할 도형요소가 없는 등 3개점의 위치 좌표값으로 상호 각도값을 산출하여야 할 경우 선택되어 3점을 이어주는 2개 가상의 도형요소를 고려하여 각도값을 산출합니다.

 

 하단의 작업평면, 3D의 구분이 있으며 작업평면은 해당 작업평면(2D) 상의 두 개 도형요소의 상대적인 각도값을 표시하며 3D의 경우는 Z축 좌표값을 고려한 두개 도형요소의 각도값을 산출합니다.

경사각도
 도형요소 중(솔리드, 곡면)의 경사 각도값(범위)을 이미지화하여 표시합니다.


* 참고로 다른 메쉬호환 파일(*. STL)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전체 각도값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범위(측정면에 대한 수평, 수직, 일정한 각도 내 범위) 내 각도값을 식별 용이한 색상별 구분하는 방식입니다.

 


적용예


 아래와 같은 솔리드 형상을 어느 정도 기울기가 되는가? 측정한다면..

해당 솔리드를 쉐이딩 상태가 아닌 와이어프레임 표시 상태에서 경사각도을 실행 하면 다음과 같은 설정창이 표시됩니다.



참고평면 : 해당 경사(기울기) 기준될 평면 또는 솔리드면 등 을 선택합니다.
* 기본적으로 평면을 기준으로 측정됩니다.
(솔리드면을 선택하여도 새로운 평면으로 생성되어 적용)

속도 <->정밀도 : 해당 표현되는 이미지의 화질을 좋게/나쁘게 지정합니다.
(측정 각도값의 정밀도가 아닙니다......)
* 측정 방법은 우측의 화면 표시 재생성(화살표) 버턴을 클릭하면 잠시 연산 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됩니다.

경사각도 계산 기준 : 각도값 측정 시 해당 표시값(내각, 외각)의 기준을 정의합니다.
*이 기준값이 아래 색상 표시 범위값의 기준이 됩니다.

수직 / 수평 : 참고평면 기준 수직면, 수평면의 색상을 지정합니다.


음의 각도 : 측정된 각도값이 음수(참고평면 기준 역각도)인 경우에 표시되는 색상을 지정합니다.


 입력 값보다 작은 양의 각도 : 아래 입력창의 각도값보다 작은 값이 측정되는 각도값의 솔리드면에 대한 색상을 지정합니다.
* 측정된 각도값의 수평, 수직면 이외는 나머지로 표시되지만 입력 값보다 작은 양의 각도의 경우 입력된 값기준 합당한 각도의 경우 표시되는 색상을 표시합니다.


나머지 : 참고평면 기준 수평, 수직, 입력된 값보다 작은 양의 각도 을 제외한 나머지 솔리드면의 대한 색상을 지정합니다.


최소 검출 범위 : 측정된 각도값 범위중 최소 값을 표시해 줍니다.


최대 검출 범위 : 측정된 각도값 범위중 최대 값을 표시해 줍니다.

 다시 말씀드려 속도 <->정밀도 항목의 화면 표시 재생성 버턴(화살표)을 누르면 지정된 설정에 의한 색상으로 이미지 표시합니다.


* 다시 재생성하려면 해당 설정값을 변경하면(재생성 필요성이 있도록) 화면 표시 재생성 버턴이 다시 활성화됩니다.

 




㉥ 체인


 서로 연결된 형태의 도형요소의 경우(체인 성립 여부가 궁금한) 각 연결된 체인 유무를 확인합니다.


* 생성된 연결된 도형요소가 가공정의 체인요소로 성립되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입니다.


* 간단히 얘기하면 연결된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간 끊어진 부분이 있는가? 중복되는 부분이 있는가? 등 확인하는 기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체인

 체인 측정하기 위한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를 체인 선택한 후 그 선택한 체인에 대한 성립요소를 표시합니다.


* 약간 논란이 있겠지만 체인이 성립이 안 되는(요소끼리 떨어져 있다던가..)하면 체인 연속이 성립되지 않는데 이것은 요소 선택을 원도우 등으로 선택 시 일단 선택은 되고 이후 체인 요건이 성립되는지 표시해 줍니다.


* 서로 잘 연결된 도형요소를 예제로 준비한 후 체인 선택하고 다음 체인 측정창에서 옵션을 지정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해당 선택 요소의 체인 관련 측정 내용을 표시합니다.

오버렙된 요소 : 선택한 도형요소 중 서로 중복되는 부분을 표시

방향전환 위치 : 체인 진행방향 기준 전환(꺾이는 각도값) 값이 방향전환 기준각도 값보다 작은 경우 그 해당 도형요소를 표시합니다. 

길이가 작은 도형요소 : 선택한 도형요소 중 검색기준 도형길이값 보다 작은 경우 해당 위치를 표시합니다.

체인 시작위치에 화살표 표시 : 체인 측정 확인 후 체인 측정 결과 화면 표시 상태에서 선택 대상 도형요소(체인 선택한)의 진행 방향으로 화살표 요소를 표시 유무를 결정합니다.

문제 되는 영역 위치 표시 : 체인 결과 표시와 별도로 문제시되는 부분에 점(point) 또는 원호요소(circle) 도형요소를 생성합니다.
 

 

* 체인 선택된 도형요소가 서로 중복(전체 또는 일부분)되는 구간이 있는 경우 겹치는 구간에 원호 도형요소(시작/끝)에 생성하여 그 위치를 표시합니다.

* 체인 연결된 도형요소가 어느 부분에서 끊어진 부분이 있는 경우 해당 부분 화살표 표시와 체인 수의 표시로 체인의 이상 선택을 표시합니다.


(사실 체인 연결여부는 이 기능 이전에 와이어프레임 체인 선택하면(체인 허용오차 내 끊김) 또는 중복되는 부분이 있으면 시각적으로 체인 연결이 중단되어 작업자가 식별이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위 중복과 끊김은 개별 체인 선택이 아닌 원도우등 다수의 요소를 선택 시(사용자가 선택했으나 바로 식별이 어려운 경우) 주로 유효한 방식이 되며 일반적으로는 체인 선택 과정에서 식별이 가능합니다.)


 다만 이것을 데이터적으로 체인 연결관계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 유효합니다.


* 체인 방향 전환의 경우는 해당 방향전환 기준 각도값이 정해진 경우 해당 값보다 작은 경우(내/외곽 각도 관계없이) 해당 도형요소 2개을 표시하고 체인 측정 창에 표시합니다.

* 체인 선택한 작은 길이 도형요소는 경우에 따라 체인 연결은 관계없으나 작은 길이요소는 불필요한 이송 지령(G-code)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식별하여 최적화하여야 할 경우에 유용합니다.

 사실 이 체인 기능은 그다지 유용한 기능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아주 작은 도형요소 간 끊김 여부를 파악하는 데는 도움이 됩니다.


(주로 도형요소가 복잡하게 겹쳐서 표시되는 경우)


(예를 들면 여러 문자열의 문자를 체인 걸어야 하는데 체인 연결에 이상이 있는지 전체 원도우로 잡아 체인 성립여부를 숫자적으로(이것이 포인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윤곽

 이 기능은 좀 애매한 감이 좀 있지 않은가 생각되지만 마스터캠이 하위호환(사실 마스터캠과 관련 없지만)에 중점을 두는 기능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이 윤곽기능은 현재 작업화면에 윤곽가공에 적합한 도형요소가 있는데 이를 활용하여 수기 형태(도형요소의 좌표값 산출) 작업의 지원 형태로 해당 도형요소를 가지고 윤곽 가공경로를 생성한다는 전제조건하에 좌표값을 산출하여 텍스트 문서로 출력합니다.


* 위 이미지처럼 해당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를 체인 선택한 후 윤곽(경로) 측정창에서 일반 윤곽 가공경로 파라미터 항목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확인을 클릭합니다.

 


* 해당 가공경로가 표시되며 이 경로의 좌표값이 별도 메모장 형식의 텍스트 출력문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좌표값을 보고 수기형식으로 가공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솔리드 체크


 솔리드 체크는 솔리드, 곡면등 와이어프레임 외 도형요소에 대한 적합성과 속성값의 대한 측정을 합니다.

솔리드 체크 : 해당 솔리드 도형요소에 대한 적합성(솔리드 요소의 특성 중 하나인 솔리드면 접합에 대한 틈새 발생 유무를 검출합니다.


* 솔리드와 서페이스(곡면)의 차이는(여기서 검출하는) 솔리드는 내부가 꽉 찬 덩어리 형태이라 외부 표면(면)의 접합(붙어있는)부분의 틈새(즉 속이 꽉찬 물체 형태이라 틈새가 있으면 내용물이 새는....)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서페이스(곡면)의 경우는 이러한 것이 허용(서페이스로 이루어진 모델링은 속이 텅 빈형태이라 틈새가 있어도 내용물이 샐 이유가..)되지만 기본적으로 솔리드 형태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주로 서로 다른 프로그램 다른 모델링 호환파일의 변환(파일 확장자 변경)에 따라 잘못된 변환으로 인하여 해당 솔리드 속성 또는 허용오차값의 변동 등으로 틈새가 발생합니다.


* 특히 주의하여야 할 것은 같은 모델링형태이지만 단지 파일 확장자 변경으로 솔리드에서 서페이스모델로 변경되는 경우가 있어 (주로 STL파일로 변경하면 솔리드가 아니고 서페이스 모델링이 됩니다.) 주의 바랍니다.

 솔리드 체크 시 이상이 없으면 다음과 같은 이상 없음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그렇지만 솔리드 오류가 발생(주로 끝단 틈새 발생 허용오차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표시되고 해당 기능으로 오류 부분을 확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조금 강조한다면 위와 같은 틈새가 발생합니다.


솔리드 속성 : 해당 솔리드를 선택 시 솔리드 속성값을 표시해 줍니다.


* 읽기 전용값으로서 해당 솔리드의 부피를 기준으로 한 밀도(입력 가능) 값에 따른 체적(질량) 값을 표시해 줍니다.


* 무게중심 위치는 해당 솔리드를 위치 시 평행을 이룰 수 있는 중심위치 좌표값을 표시합니다.


* 관성모멘트는 어떠한 힘이 해당 솔리드에 가해질 경우 어느 한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길 바랄 때 선택합니다.


곡면 테스트  


 해당 곡면(서페이스)에 대한 곡면 적합성을 측정하여 표시해 줍니다.

 서페이스 모델의 겨우 조각 조각난 서페이스(곡면)의 연결(앞서 솔리드체크에서 예로서 보여준 틈새등)이 발생할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곡면상의 오류점을 측정하여 특정 또는 표시해 줍니다.

* 해당 곡면 오류항목을 체크하여야 해당 값에 기준한 측정결과를 보여 줍니다.


모델 체크 : 해당 모델링 형태를 벗어나는 곡면에 대한 체크(곡면 간 틈새와 트림된 곡면의 경우 남을 수 있는 곡면 찌꺼기, 어긋나는 곡면과 접점)를 표시해 줍니다.


작은 곡면 : 서페이스 요소 특성상 작은 곡률발생 시 도형요소 오차값보다 작은(없어도 그만인?) 곡면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곡면 생성여부를 입력된 값에 기초하여 측정하여 표시해 줍니다.


노말 : 서페이스는 곡면 진행방향(면가공 방향?)이 있는데 보통의 경우 주변의 곡면과 일치감을 가지고 생성되는 경우가 있으나 경우에 따라 특이하게 다른 방향(또는 방향 자체가 뒤집히는)으로 생성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표시를 해줍니다.


베이스 곡면 : 해당 곡면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본(베이스)되는 간단한 형태의 곡면이 필요합니다.


* 기본적으로 곡면 생성은 간단한 형태 곡면을 기준으로 해당 베이스 곡면을 트림(가위질?)하여 원하는 형태의 곡면을 생성하는데 이러한 곡면이 있는지를 표시해 줍니다.


곡률

 해당 모델링(솔리드, 곡면)의 현재 면단위로 곡률(평면이냐 굽힌 곡선류 형태이냐)의 기준으로 시작적으로 색상 표시해 줍니다.


속도 <->정밀도 : 생성되는 곡률 표시 이미지의 정밀 도을 선택 합니다.


* 우측의 "화면 표시 재생성" 버턴이 현재 모델링의 곡률 표시를 생성 또는 재생성합니다.


* 해당 모델링은 와이어프레임 상태이어야 합니다.

 

작은 반경 : 해당 모델링의 반경(필렛) 형태의 곡면중 해당 지정값 보다 작은 경우(이하) 해당 지정 색상으로 표시합니다.
* 보통 해당 모델링의 최소 반경값을 산출할 때 사용 되는데 약간 사용법이 불편합니다.


해당 모델링의 최소 R값을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최소 R값을 유추하여 적용하여 판단하여야 합니다.


* 내측 반경만 표시 : 모델링 형태중 내측(모델링 안쪽으로 들어간 필렛) 형태만 선별하여 지정 색상으로 표시해 줍니다.
이때 내측 필렛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평면을 지정합니다.

최소 : 작은 반경값 보다 작으면서 평면형태 곡면이 아닌 경우 + 정원형태 형상을 구분하여 지정 색상으로 표시해 줍니다.
* 적용 형태가 정원형태(필렛이 아닌) 기준입니다.

평면 : 해당 곡면이 곡률이 없는 평평한 곡면의 경우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해 줍니다.


* 평평하다고 평면(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기준이 아니고 대각선이던 기울어지던 곡선이 아닌 직선 형태의 평평한면(평탄도?)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해 줍니다.

나머지 : 위 지정된 형태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을 지정된 색상으로 표시해 줍니다.

최소 검출 범위 : 위 작은 반경값에서 제일 작은 반경값을 표시해 줍니다.

최대 검출 범위 : 위 측정된 면의 검출 범위중 제일 큰 값(평면)을 표시해 줍니다.




㉧ 2D 면적


 해당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솔리드, 곡면)의 2D/3D형태 면적을 산출해 줍니다.

2D 면적


 선택한 와이어프레임 요소로 이루어지는 평면상(2D) 면적(Area))의 면적값을 산출해 줍니다.


* 와이어프레이만 되고 무조건 선택한 영역기준 평평한 면의 면적을 산출합니다.


* 원칙적으로 폐곡선(닫힌 체인)만 산출이 되나 열린 체인 형태 와이어프레임도 가능하나 무조건 시작점과 끝점을 직선으로 이어주는 영역을 기준으로 산출됩니다.


* 원칙적으로 작업 평면상에 존재하는 2D와이어프레임만 산출 가능하고 Z 축 깊이값이 있는 3D 와이어프레임 형태는 산출되지 않고 에어 메시지 출력됩니다.
  


표면 면적


 선택한 솔리드, 곡면요소의 표면 면적(2D/3D가능)의 면적값을 산출해 줍니다.


* 솔리드, 곡면요소만 가능하며 곡면의 형태는 평면이 아니어도 가능합니다.


* 솔리드, 곡면 형태에 관계없이 면적값 산출이 가능합니다.


* 다수의 요소를 선택하면 총합계 값으로 산출됩니다.


㉨ 화면요소 개수


 현재 작업화면에 표시된 각종 요소들의 대한 종류와 수량을 산출 표시 합니다.


작업 : 현재 표시된 도형요소에 적용된 가공정의 수량
공구 : 현재 표시된 도형요소에 적용된 가공정의 공구의 수량


⑦ 애드인 (Add-in)


 마스터캠에서 현 기본기능 외에 특정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로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마스터캠 상에서만 실행 가능한 보조기능입니다.


* 마스터캠 SDK(Software Development Kit)을 통해서 사용자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여기서 실행 가능합니다.


* 대표적인 애드인 프로그램이 "Updatepost 유틸리티"입니다.

 


㉠ 애드인 실행


 해당 애드인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합니다.


㉡ 명령어 검색


 마스터캠 기본 애드인 폴더 "X"버전(C:\Program Files\mcamX9\chooks), 2000번대 초반버전(C:\Program Files\Mastercam 2021\Mastercam\chooks), 2022 버전 이후(C:\Users\Public\Documents\Shared Mastercam 2023\Add-Ins)에 있는 애드인 프로그램의 명칭을 검색해 줍니다.


* 마스터캠의 기본 기능에 대한 검색기능이 아니고 현재 설치된 애드인 프로그램의 명칭 검색 기능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