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서 다이내믹 밀 파라미터 중 진입 동작, 관통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진입 동작 진입 동작 파라미터는 다이내믹 경로중 공구 진입(복귀는 항상 수직복귀(급송이송)로 이루어집니다.) 방식에 대하여 설정합니다.* 주로 소재 상태(크기, 형태, 경도 등등)에 따라 선택합니다.* 기본적으로 마스터캠 다이내믹 밀 경로 생성시 자동 연산에 의하여 선택되는 방식이 무난합니다. ① 진입 방법 진입 방법은 다이내믹 밀 경로 적용시 절삭공구가 해당 소재에 진입할 때(공구 이송 높이에서 가공깊이(깊이가공적용 시 해당 단계높이까지)까지 구간) 진입경로 형태를 말합니다.* 이때 소재 외형에서 진입이냐, 소재 내측에서 진입이냐에 따라 구분됩니다. 다만 사실상 외측에서 진입시 수직진입(소재 외측(가공 체인요..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다이내믹 밀 경로 파라미터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⑦ 스텝 간격 스텝 간격은 가공경로간 간격값을 말하면 흔히 얘기하는 절삭 간격을 의미합니다. 즉 생성되는 다이내믹 가공경로(수평면상)의 간격을 말하며 경로 이송시 절삭량값(절삭 두께값)이 됩니다. 스텝 간격 입력칸의 좌측은 해당 절삭공구의 공구경의 백분율% 값을 입력하거나, 우측의 간격 거리값을 입력하여 해당 경로 스텝 간격값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어느 한쪽값을 입력하면 자동 전환되어 동일한 값이 입력됩니다. 이 스텝 간격값은 해당 절삭 공구의 공구경값 대비 비율값(%)으로 주거나 아니면 직접 절삭간격값(경로 간격값)을 줄수 있으나 해당 값은 지정된 공구경(불노즈 공구경 말끝 평평한(알값 제외) 원형 구경값)의 1~95% ..
이번에는 잠시 중간을 넘어서 다이내믹 가공경로(고속이송 고회전 트로코이드(Trochoid) 형태 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일반적인 가공경로(윤곽, 포켓경로등)과 다이내믹 가공경로와 차이점은 주로 아래와 같습니다. 1. 일반적인 가공경로는 해당 공구의 절삭면에 직접적으로(정면에서) 소재을 절삭하는 형태 가공경로를 취하고 다이내믹경로는 해당 공구의 절삭 측면을 원호형태로 측면가공(일반적인 경로에 비하여)을 유도하는 형태로 경로를 생성합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일반 가공경로는 절삭경로가 소재 절삭방향과 같은 방향(소재를 직접 앞으로 절삭하는 방식 : 직선 경로)으로 진행하며 다이내믹 경로는 가능한 절삭 공구의 절삭측면(소재 진행 방향과 절삭공구 진행방향이 가능한 비껴가도록..)으로 소재 절삭면을..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