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번에는 3+2(틸팅인덱스)또는 5축 가공기(동시제어)를 활용한 다각도(정회전이 아닌) 면에 대한 마스터캠 가공평면 적용 및 좌표출력(가공프로그램)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계념만 알아보겠습니다.* 이 게시글은 아는 지인분 요청으로 그분 상황에 맞게 작성한것이라 다른 환경과는 작업 방식이 안 맞는 경우가 있습니다. * 직접적인 가공프로그램 생성(캠작업)이 아닌 활용방법에 대한 계념 지식으로 보아주시기 바랍니다. 일단 3+2(틸팅인덱스)로 각도분활 형태 가공방식을 따르겠습니다. 가공물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바닥면의 내부 포켓이 있지만 그것까지 설명하면 글이 너무 길어져서 생략합니다. 먼저 계념적으로 어떻게 가공프로그램을 생성하는지 정의합니다. 작업 방식은 동시제어 방식이 아닌 해당 가공면을 해당..
이번에는 저번 맨 처음 돌출형과 포켓형 윤곽 가공경로 롤가공 적용하여 불량난 형태에 대하여 좀 더 심화형으로 들어가겠습니다. 만일의 경우 처음 애기한 형태의 윤곽가공을 해야하는데 약간의 예외사항을 적용할 수 있어서 유사하게만 가공되면 된다고 할 때 어떻게 하면 좀 더 가공치수를 준수하며 할 수 있는가을 생각해 봅니다. 원점으로 돌아가서 윤곽 가공의 경우 선택한 체인 도형요소에 기준하여 생성된 2D 윤곽형태 가공경로를 롤가공(축 대체)기능에 의하여 롤이동 하여 말기 하는 과정이 롤가공 경로입니다. 그러면 한가지 의문점이 생깁니다. 맨처음 예제의 경우를 자세히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돌출형은 윤곽 가공의 체인요소가 공구 날끝와 일치(체인 도형요소 위치와 링크 파라미터 가공깊이값이 동일 Z값)합니다..
저번 드릴공정 롤가공에 이어서 솔리드 모델링에서 드릴공정 롤가공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이번 공작물은 제작도면이 솔리드 모델링으로만 왔습니다.....(일단 묵념) 모델링의 형태는 사실 앞전 가공물과 동일합니다. 소재 80 Ø이며 홀은 10 Ø 깊이 30.0입니다. 제작도면이 모델링만 있는 경우 롤가공 가공정의 요소를 선택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1. 해당 모델링에서 홀위치(드릴공정) 좌표 또는 도형요소를 언롤이동 기능으로 작업 평면에 전개하여 다시 이것을 이용하여 가공정의(2D)를 생성하여 다시 롤가공(말기) 작업하는 법 2. 해당 모델링 요소에서 홀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도형요소(훌축)를 생성 후 이 도형요소를 선택하여 다축 드릴 가공정의를 정의합니다. 먼저 1번 작업자가 모델링에서 홀..
저번에 이어 롤가공(전개도 2D도면 적용 시)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설명을 간단히 종합해서 설명하면... 우선 전개도 시작부분(가공 영역 중 회전축 A0도에서 시작되길 바라는 요소)을 회전축(X축선상)에서 시작하는 것을 권합니다. 1. 전개도 영역중 A0위치에 있는 면을 회전축 부가축(X축상)에서 전개 시작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전개되는 가공 도형요소(체인)의 위치상 첫 번째 말기 하는 지점을 회전축(X축 선)에 일치하여 배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만일 부분적인 도형요소(가공영역을 표시하는 테두리 도형요소는 실제 가공여소에 포함되지 않는)를 가공하더라도 가공영역(테두리)은 표시하는 것이 가공위치 식별하는데 유리합니다. 2. 롤가공을 자주 하신다면 전체적으로 롤가공 방식(가능한 무조건..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 축 대체 기능 활용한 실무적인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 이후 부터는 축 대체, 부가축, 로터리축 가공 등을 통칭 롤(roll) 가공으로 부르겠습니다. 먼저 계념적으로 롤 가공은 2D 평면상 생성된 가공경로를 그대로 지정된 로터리 지름값에 기준하여 말기(김밥 말기 하듯이) 가공 소재(원형 : 반드시 정 원형이어야 합니다.) 표면(로터리 지름값 기준)에 말기 하는 것입니다. * 이때 주의 사항은 마스터캠 이나 실제 가공소재의 원점의 위치는 회전축과 동일한 위치에 놓여 있으며(불변) 말기 하는 시점은 회전체 상단(Z 축 방향)이 아니고 X축(+) 방향에서 시작합니다. (만일 좌측면에서 바라본다면 9시 방향) 우선 해당 3축 장비는 아래와 같이 인덱스가 우측에 있고 X축 방향으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