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저번에 이어 롤가공 경로를 생성하는 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이번에 다음과 같은 형태의 스크류(?) 가공을 작업해 봅니다. 모델링 형태는 처음 시작점(좌측면에서 볼 때 A-90도 방향)에서 90도 CW 방향으로 직선 회전 후(A0) 이어서 CW 방향으로 피치 100 간격으로 2.5회전(3회전)으로 같은 단면이 헬릭스 이동 합니다. 이러한 형태는 이전과 같이 와이어프레임을 생성하여 그 와이어프레임을 기초로 해서 체인 선택하여 가공경로(윤곽 가공경로)을 활용하는 방식은 적용할 수 없습니다.* 사실 롤가공 적용시 이러한 방법은 만일 가공공차나 조립되는 상대물이 있는 경우 권장하기 어렵습니다. 이유는 롤가공이 하나의 축으로 기준으로 단순히 말기(롤이동)하는 방식이라 해당 가공경로(가공면)가 약간 왜곡되..
저번 드릴공정 롤가공에 이어서 솔리드 모델링에서 드릴공정 롤가공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이번 공작물은 제작도면이 솔리드 모델링으로만 왔습니다.....(일단 묵념) 모델링의 형태는 사실 앞전 가공물과 동일합니다. 소재 80 Ø이며 홀은 10 Ø 깊이 30.0입니다. 제작도면이 모델링만 있는 경우 롤가공 가공정의 요소를 선택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1. 해당 모델링에서 홀위치(드릴공정) 좌표 또는 도형요소를 언롤이동 기능으로 작업 평면에 전개하여 다시 이것을 이용하여 가공정의(2D)를 생성하여 다시 롤가공(말기) 작업하는 법 2. 해당 모델링 요소에서 홀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도형요소(훌축)를 생성 후 이 도형요소를 선택하여 다축 드릴 가공정의를 정의합니다. 먼저 1번 작업자가 모델링에서 홀..
이번에는 왜 롤가공한 가공물이 불량이 되었는지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다시 한번 롤가공시 가공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롤가공(축 대체/말기 가공)은 2D 평면상에 생성된 가공경로를 지정된 로터리 축 지름값에 기준하여 그대로 롤(말기)하여 생성되는 가공경로 입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항상 축 대체되어 고정되는 축은 항상 반드시 회전축(부가축)을 향해 있어야 하면 고정된 값을 가집니다. * 위 이미지처럼 축 대체 되면 고정되는축(부가축 X 대체 A축 적용시 Y축)은 좌표값이 출력되지 않습니다. 2. 이러한 이유로 사실상 공작물(원통형)표면에서 90도 로 구성되는 가공측면을 생성 할수 없습니다. 역시나 같은 이유로 키홈 가공처럼 가공측면이 회전축과 평행되는(사실..
저번에 이어 롤가공(전개도 2D도면 적용 시)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설명을 간단히 종합해서 설명하면... 우선 전개도 시작부분(가공 영역 중 회전축 A0도에서 시작되길 바라는 요소)을 회전축(X축선상)에서 시작하는 것을 권합니다. 1. 전개도 영역중 A0위치에 있는 면을 회전축 부가축(X축상)에서 전개 시작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전개되는 가공 도형요소(체인)의 위치상 첫 번째 말기 하는 지점을 회전축(X축 선)에 일치하여 배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만일 부분적인 도형요소(가공영역을 표시하는 테두리 도형요소는 실제 가공여소에 포함되지 않는)를 가공하더라도 가공영역(테두리)은 표시하는 것이 가공위치 식별하는데 유리합니다. 2. 롤가공을 자주 하신다면 전체적으로 롤가공 방식(가능한 무조건..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 축 대체 기능 활용한 실무적인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 이후 부터는 축 대체, 부가축, 로터리축 가공 등을 통칭 롤(roll) 가공으로 부르겠습니다. 먼저 계념적으로 롤 가공은 2D 평면상 생성된 가공경로를 그대로 지정된 로터리 지름값에 기준하여 말기(김밥 말기 하듯이) 가공 소재(원형 : 반드시 정 원형이어야 합니다.) 표면(로터리 지름값 기준)에 말기 하는 것입니다. * 이때 주의 사항은 마스터캠 이나 실제 가공소재의 원점의 위치는 회전축과 동일한 위치에 놓여 있으며(불변) 말기 하는 시점은 회전체 상단(Z 축 방향)이 아니고 X축(+) 방향에서 시작합니다. (만일 좌측면에서 바라본다면 9시 방향) 우선 해당 3축 장비는 아래와 같이 인덱스가 우측에 있고 X축 방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