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머시닝 가공 시 또는 조작 시 해당 장비 조작반 화면(화낙 기준)의 현재 조작 관련 상태 메시지 표시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입니다. 상태 표시가 되는 부분은 조작화면에 입력칸 밑에 표시된 부분 입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해당 장비 운전 모드(현재 적용된 작동모드의 종류를 표시합니다.)② 해당 장비 자동운전(가공 프로그램 가동 중)의 상태를 표시합니다.③ 현재 작동 중인 축 이송 관련 상태(수동/자동)를 표시합니다.④ 현재 장비가 어떠한 대기 상태(다음 작동이 있는지 /없는지)를 표시합니다.⑤ 비상정지(EMG STOP) 또는 리셋키 적용상태(RESET KEY)를 표시합니다.⑥ 현재 장비의 알람(ALARM) 발생 시 알람내용을 간략히 표시합니다. ⑦ 현재 장비의 등록된 시계(CNC 자..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아큐센터를 활용한 소재 가공원점 설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이번에는 정원형태(정원이라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재의 내 외곽 측면을 측정하여 그 원형의 중심점(센터)을 찾아서 그 위치를 해당 워크좌표계에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여기서는 정원형태(정확한 360도 원형 형태)의 소재의 중심점을 찾는것을 전제로 합니다. 즉 아래와 같은 형태는 사실상 아큐센터를 활용한 중심점의 위치를 찾는것은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이론적으로는 기울어진(상대적으로 대칭되는 거리값이 있는) 형태일지라도 기본적으로 아큐센터는 측정하는 측면과 아큐센터 이송축 방향이 90도 직각으로 만나는 형태가 되어야 정확한 거리값이 나오며 아큐센터 측정면 특성상 기울어진 면에는 정확한 접촉(..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아큐센터를 활용한 가공 소재의 중앙 가공원점을 측정하여 해당 장비 워크좌표계에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소재 중앙에 가공원점을 설정하는 경우는 보통 잘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이유는 바이스 체결 작업이 기본인 경우 보통 바이스에 장착 한 스톱버(아데, 고정대 등등)에 기준하여 고정된 워치에서 미리 측정한 가공원점을 계속적으로 활용하거나 만일 가공원점을 가변적으로 한다 해도 보통의 경우 어느 한쪽 방향의 모서리점에 치중하여 가공원점을 설정하기 때문입니다. * 통상 스톱버로 고정된 가공원점은 X, Y만 가능하고 일반적인 사용 시 Z값만 소재 교체 시 측정하여 입력하는 방식을 따르기도 합니다.* 이 또한 번거롭다면 Z 원점 위치를 평행블록상단에 놓고 EXT 좌표계에 해당 ..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아큐센터를 이용한 소재 가공원점을 해당 머시닝 장비 워크좌표계에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저번에 아래와 같은 가공원점을 가진 소재의 X축 방향 원점위치 좌표값을 아큐센터로 측정하여 해당 워크좌표계 X축 좌표값칸에 입력하였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Y축 소재 측면을 측정하여 해당 소재 가공원점을 해당 장비 워크좌표계에 입력하겠습니다. 요령은 X축과 동일합니다. 다만 -Y축 방향에서 들어오는 것만 틀립니다. 설명을 간략하기 위하여 저번 측정방법중 3번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하겠습니다. 먼저 소재 Y축 방향 측면을 +Y축 방향으로 해서 진입합니다. 아큐센터와 소재측정면(Y축방향)과 접촉후 임팩트하면 바로 OFS/SET모드로 들어가서 좌표계 - 워크좌표계 해당 축값..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서 아큐센터를 활용하여 머시닝 장비의 위크좌표계에 가공원점을 입력(측정) 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저번에는 아큐센터로 소재 측정측면에서 측정반경(아큐센터)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해당 머시닝장비 워크좌표계(G54)에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 과정은 아큐센터로 소재측면 측정 후 - 포스(POS) 모드의 상대좌표계 X축 원점좌표 입력 - 워크좌표계(G54)에 X축 원점 좌표값에 X원점 기계좌표값으로 입력(측정) 이러한 과정을 앞서 3가지 방식으로 제시 하였습니다. 1. 현재 위치를 상대좌표에서 X0.0으로 입력(프리셋)하고 측정기구(아큐센터) 반경값만큼 이동(X5.0) 후 다시 현재 위치를 X0.0으로 입력(프리셋)하고 OFS/SET 모드에서 좌표계 - 워크좌표계..
이번에는 아쿠센터를 활용하여 각종 소재의 가공원점(해당 장비 워크좌표점, 마스터캠 WCS원점)을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머시닝 장비의 가공원점(각축 원점복귀의 원점이 아닙니다.)은 해당 장비 워크좌표(G54, 55, 56~)에 입력된 해당 소재의 각 워크좌표계의 원점(0, 0, 0)에 해당하는 기계좌표값 입력입니다. * 여기서는 화낙(FANUC)컨트롤 방식의 마스터캠 2021 기준(CAM 프로그램)으로 설명합니다. * 각 소재별(바이스위치별) 워크좌표값 이나 가공원점 위치는 고정된 것은 아니고 각 작업환경에 따라 변동됩니다. * 이후 설명상 가공원점(소재 수량)은 G54 1개소로 설정하며 설명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머시닝장비 운영시 가공소재 가공원점 설정시 측정기구로 아큐센터(accu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