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다이내믹 밀 경로 진입 경로(링크 파라미터값)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가공물의 다이내믹 밀 경로를 그대로 두고 깊이가공 항목을 활성화하여 우선 3단계 가공깊이 경로를 생성하였습니다. 이때 해당 가공정의 링크 파라미터의 값을 위와 같이 설정한 경우 해당 경로 진입높이 값은 위와 같이 진행됩니다. * 링크 파라미터의 이송높이 값이 절대값으로 되어 있는 것을 기억해 주십시오. 이것을 좀 더 자세히 보면 처음 진입높이(이송높이)까지 급속이송으로 내려온 후 진입방법 항목의 Z 높이값까지 해당 공구 Z 축 이송속도(절삭이송)로 내려온 후 Z 높잇값부터 절삭이송 속도(해당 공구 절삭이송 속도)로 헬릭스 진입을 합니다. 그리고 해당 가공깊이(첫 번째) 경로가 완료되면 링크 파라미터..
이번에는 한쪽이 열린(반대쪽은 가공하지 않는) 가공영역이 있는 공작물의 경우 다이내믹 밀 경로 생성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적으로 공작물은 아래와 같은 형태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후 만일 도면으로 체인작업하면 아래 좌측처럼 선택될 수 있고 모델링으로 하면 중앙의 체인 형태처럼 선택될 수 있으나 이후 자동적으로 가공영역을 회피영역으로 트림(잘라냄)하므로 영역의 구분은 문제없이 적용됩니다. 이후 해당 다이내믹 절삭 파라미터 항목은 특이 사항 없이 적용하여 해당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 다만 화살표 되어 있는 항목의 값만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우선 대충 다이내믹 밀 경로를 생성해 보니 다음과 같습니다. 가공하는 경로 자체은 큰 문제점이 없지만 회피영역으로 지정된 영역 뒤쪽으로(이때 어느 ..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다이내믹 밀 가공경로(외측에서 진입) 생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이번에서는 외측에서 진입하는 다이내믹 경로인데 내부에 회피영역(미가공 영역) 이 있는 경우를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가공물에 다이내믹 밀 경로 를 생성해 보겠습니다. 우선 체인 옵션에서 해당 가공물이 가공영역과 회피영역(미 가공영역)이 있으므로 먼저 가공영역과 회피영역을 선택합니다. * 닫힌 체인 선택시 체인 방향(보정 방향등)은 고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영향받지 않음) (열린 체인 선택 시 체인 방향은 일반 윤곽가공과 마찬가지로 방향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 현재 외측 공구 진입 상황이므로 영역 가공 방법은 외측으로 부터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 현재 닫힌 체인만 선택하므로 공작물에 열린 체인 확장 항목..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서 다이내믹 밀 경로 파라미터 중 코너처리, 깊이가공, 진입 동작, 관통 파라미터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코너처리 다이내믹 경로의 코너처리는 다이내믹 경로 특성상 급격한 꺾이는 가공경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최소 경로 원호 반경 값 제한이 있습니다. 저번에 설명....) 그러므로 만일의 경우 사각형(꺽이는 모서리가 있는 가공영역 형태...) 요소를 체인 선택하여 가공영역으로 하여 외측에서 진입 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참고로 내경 모서리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외측쪽으로 돌출된 모서리(가능하면 뾰족한(모서리 각이 작은..))가 생성된 가공영역(도형요소가 아닙니다.)에만 해당됩니다.) * 위와 같이 사각형 외형소재에 외측에서 진입하는 경로 경우 초기에 절입량..
이번에는 잠시 중간을 넘어서 다이내믹 가공경로(고속이송 고회전 트로코이드(Trochoid) 형태 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일반적인 가공경로(윤곽, 포켓경로등)과 다이내믹 가공경로와 차이점은 주로 아래와 같습니다. 1. 일반적인 가공경로는 해당 공구의 절삭면에 직접적으로(정면에서) 소재을 절삭하는 형태 가공경로를 취하고 다이내믹경로는 해당 공구의 절삭 측면을 원호형태로 측면가공(일반적인 경로에 비하여)을 유도하는 형태로 경로를 생성합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일반 가공경로는 절삭경로가 소재 절삭방향과 같은 방향(소재를 직접 앞으로 절삭하는 방식 : 직선 경로)으로 진행하며 다이내믹 경로는 가능한 절삭 공구의 절삭측면(소재 진행 방향과 절삭공구 진행방향이 가능한 비껴가도록..)으로 소재 절삭면을..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