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한쪽이 열린(반대쪽은 가공하지 않는) 가공영역이 있는 공작물의 경우 다이내믹 밀 경로 생성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적으로 공작물은 아래와 같은 형태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후 만일 도면으로 체인작업하면 아래 좌측처럼 선택될 수 있고 모델링으로 하면 중앙의 체인 형태처럼 선택될 수 있으나 이후 자동적으로 가공영역을 회피영역으로 트림(잘라냄)하므로 영역의 구분은 문제없이 적용됩니다.
이후 해당 다이내믹 절삭 파라미터 항목은 특이 사항 없이 적용하여 해당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 다만 화살표 되어 있는 항목의 값만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우선 대충 다이내믹 밀 경로를 생성해 보니 다음과 같습니다.
가공하는 경로 자체은 큰 문제점이 없지만 회피영역으로 지정된 영역 뒤쪽으로(이때 어느 정도 소재(회피영역)에서 떨어져서 이동합니다.) 회피동작(미세 들기)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이때 이송속도는 급송이송에 가까운(미세들기 동작 이송속도) 속도이라 큰 문제는 없지만 좀 불필요해 보이며 혹시나 소재 규격에 변동이 있는 경우 등 공구 충돌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회피하는 동작(미세들기)을 감소했으면 하는 마음이 있어 그에 대한 방법을 찾아봅니다.
우선 제일 간단한 방법은 회피영역을 키워서(가상적인 영역 확장) 회피동작시 그쪽(회피영역뒤)으로 이송하는 것보다 가공영역 내에서 되돌아가자고 마스터캠이 인식하도록 회피영역을 임의적으로 확장합니다.
* 회피영역 체인은 해당 도형요소를 별도로 확장(스트레치 기능)또는 별도 생성하여 지정해주면 됩니다.
* 만일 해당 원본 도면요소를 활용시 원도면을 수정해야 한다는 단점(별도 레벨로 구분해 관리하면 문제없습니다.)
이렇게 확장된 회피영역(체인영역)을 지정하여 회피영역 뒤쪽으로 이동이 안되어서 가공영역내에서 공구 이송이 이루어집니다.
* 다만 이러한 확장되는 거리는 공구경의 250% 정도 확장하셔야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회피영역을 확장하다 보니 2가지 정도 문제점이 보입니다.
1. 회피영역(체인요소)의 확장 또는 신규 생성이 어렵다
보통 기준 원본 도면의 요소를 가지고 체인 선택을 하기 때문에 원본 도면요소를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그러한 도면요소가 복잡한 경우 역시 동일하게 복잡한 확장 작업을 해야 하는 (가공/회피영역 체인 선택하는 것도 어려운데....)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 솔리드 모델링으로 할 경우 더욱 난처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간혹 이렇게 다른 쪽 회피동작 코스를 제한하자 가공영역 내에서 회피동작(미세 들기)이 번번하게(불필요하게?)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회피할 수 있는 코스가 한정되다 보니 가능한 가공영역 내 회피동작을 집중해 사용하게 되어서 가공영역이 복잡한 경우 역시 가공형상에 따라 복잡합 회피 동작이 이루어집니다.
* 물론 이것은 불가피한 다이내믹 경로의 특성이라 어느 정도는 감안하고 사용하셔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문득 다이내믹 경로의 파라미터 중 모션 기능에 대한 항목을 알고 있습니다.
이 모션 동작에 대한 설정값을 보통의 경우 안 함(미세 들기 동작으로 회피하는 것을 강제)으로 합니다.
그런 경우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닌 경우 공구의 수직 진입/복귀보다 미세 들기 동작(거의 강제적으로)으로 가공영역 이동을 하게 됩니다.
그럼 이 모션 동작 항목을 가공영역 간 이동시 수직 복귀 동작을 허용하면 어떻게 될까요?
우선 맨 처음 다이내믹 가공정의에 모션 항목을 "영역을 회피할 때"로 변경하고 다시 다이내믹 경로를 재생성해 보겠습니다.
위 이미지처럼 처음 모션동작을 "안 함"으로 할 때 회피영역 뒤쪽으로 회피하던 동작이 모션동작을 "영역을 회피할때"(다른 수직진입/복귀 가능한 항목도 가능합니다.)으로 할때 아까와 달리 회피영역 뒤쪽으로 회피하던 동작이 수직 진입/복귀 동작으로 변경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경우에 따라 미세 들기 동작으로 회피하는 과정이 이송시간이 더 소요될 수도 있고 수직진입/복귀 동작이 직선적이라 더 빠른 이송(특히 대형물)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나는 이렇게 복잡하게 회피영역을 연장하는 작업, 또 공구 수직진입/복귀 과정등이 싫어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런 경우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냥 열린 체인 적용을 하는 것입니다.
* 다만 적용되는 가공영역 형태가 한계가 있습니다.
우선 아까 공작물의 가공영역 체인을 다시 선택합니다.
아까와는 달리 가공영역의 열린 체인으로 가공영역 내측을 선택합니다.
* 이때 주의사항이 일반 윤곽가공 체인 선택방법과 동일하게 체인 진행방향과 보정방향을 주의하셔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체인 보정방향 쪽이 가공영역, 반대방향 쪽을 회피영역으로 인식합니다.)
그리고 영역 가공방법은 외측으로부터(당연한 것인가....)
현재 열린 체인 선택(가공영역을 산출하기 어려운)이므로 공작물 설정이 필히 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공작물에 열린 체인 확장 이므로 "접하게"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열린체인 선택으로 보정방향 반대쪽은 자동적으로 회피영역으로 인식하므로 별도의 회피영역 체인을 선택하여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후 다이내믹 절삭 파라미터의 모션동작은 "안 함"으로 하면 아래와 같은 형태의 가공경로가 생성 됩니다.
* 만일 모션 동작을 "안함" 이외 다른 항목으로 변경 시 수직 진입/복귀 동작이 생성됩니다.
그럼 이번에는 여러 개의 분리된 가공영역을 열린 체인으로 선택하여 다이내믹 경로를 생성해 보겠습니다.
위 공작물의 4군데 모서리 부분만 가공하는 것입니다.
우선 4군데 내측을 열린 체인(예제에서는 솔리드 체인으로 선택)으로 체인 진행방향을 잘 맞추어서 선택합니다.
그러면 가공영역 체인이 4개 인 것입니다.
* 이 경우 공작물 소재 영역과 4개 열린 체인으로 가공영역 산출이 가능하므로 회피영역 설정이 불필요하여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 공작물 설정이 안 될 경우 회피영역을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본 예제 형상의 경우에는 제대로 된 경로가 생성되기 어렵습니다.)
* 이렇게 해서 생성된 다이내믹 경로를 보면 뭔가 다른 점을 발견하실 수 있는가요?
* 자세히 보시면 각 4군데 가공영역 내에서는 미세 들기 동작으로 회피하지만 다른 가공영역으로 이동시 필히 수직 진입/복귀 이송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4군데 가공영역이 서로 별도의 분리된 가공영역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각 가공영역으로 이동시 수직 진입/복귀 이송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것을 전부 미세 들기 동작으로 회피이송 하게 하려면(수직 진입/복귀가 없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답은 각 가공영역 외 회피영역을 설정해주어 이 영역을 회피하여 이동하여 주세요 하면 가능합니다.
위 이미지처럼 가공영역외 회피하여야 할 부분만 회피영역으로 선택해 주면 가공영역은 자동적으로 공작물 설정 영역에 따라 빼기(?) 기능으로 산출됩니다.
* 필히 공작물(소재)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 위 이미지처럼 회피영역으로 선택한 영역을 피하여 외곽으로 미세 들기 동작을 하여 이동합니다.
그럼 지금까지 외측에서 진입하는 방식의 다이내믹 가공경로를 알아보았고 다음에는 내측에서 진입하는 다이내믹 밀 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 > 2D 가공 경로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캠2021를 활용한 다이내믹 가공경로 생성 과정에 관하여-12(다이내믹 밀 실무 적용-5) (1) | 2024.10.25 |
---|---|
마스터캠2021를 활용한 다이내믹 가공경로 생성 과정에 관하여-11(다이내믹 밀 실무 적용-4) (0) | 2024.10.20 |
마스터캠2021를 활용한 다이내믹 가공경로 생성 과정에 관하여-9(다이내믹 밀 실무 적용-2) (0) | 2024.10.14 |
마스터캠2021를 활용한 다이내믹 가공경로 생성 과정에 관하여-8(다이내믹 밀 실무 적용-1) (0) | 2024.10.12 |
마스터캠2021를 활용한 다이내믹 가공경로 생성 과정에 관하여-7(다이내믹 밀 가공경로-6) (1)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