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이번에는 부가축(A축) 적용할 인덱스 머신 시물레이션 생성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앞에 사용 한 3축 적용 머신 시물 구성 을 재활용합니다. 우선 구상하는 머신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3축 베이스 장비에 부가축 인덱스 을 배드 위에 올린 상태입니다. (일단 일반적인 바이스 작업 이 없는 인덱스 가공만 한다는 전제 조건 하입니다.) 우선 해당 장비 (인덱스 본체 , 심압대) 모델링을 배치합니다. 이것을 전에 작업 한 3축 베이스 머신 시물 모델링에 배치합니다. 이때 부가축 가공 특성상 바이스 작업과 달리 소재 위치 (소재 원점)이 사실상 고정되어 있습니다. 더 정확히 얘기 해서 회전축 (부가축) 이 고정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각 축의 모델링 위치 을 부가축 원점으로 잡아야 합니..
이번에는 보편적인 장비 세팅 인 다수의 바이스 을 놓고 작업하는 환경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우선 동일한 형태의 다수 (4개) 가공을 하는 것으로 진행합니다. 간단히 샘플로 하나의 가공 경로 을 생성합니다. 이것을 선형 배열로 4개 배열하여 작업하겠습니다. 캠 과정과 선형 배열 과정 은 생략하겠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 은 재료 설정인데 모의 과정과 마찬가지로 소재 설정에서 는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다수의 소재 을 설정하지 못합니다. * 단 공작물 설정을 하면 모의 가공에서 가능합니다. (머신 시물은 조금 틀립니다.) 그래서 우선 따로 소재 모델링을 작업한 후 레벨 "2"로 지정합니다. (이때 이 레벨에는 소재만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각 바이스 위치 별로 소재 을 솔리드 돌출 명령으로 생성해 놓습니다...
이제 설정이 끝난 시물레이션 파일을 이용하여 가공 시물레이션을 활용하는 법 을 알아보겠습니다. 완성된 3-AXIS-VMC 모델링 화면 입니다. 먼저 가상의 가공 물 캠 작업을 해놓습니다. 간단하게 아래와 같은 캠 작업을 한 파일을 불러드립니다. 캠 작업이 완료되었으면 머신 시물레이션으로 들어갑니다. 먼저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 이 나오며 해당 머신 시물 장비 (3-AXIS-VMC)을 선택한 후 그대로 시물레이션 실행을 눌러 해당 시물레이션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머신 시물레이션 화면 이 나옵니다. (이 화면 작동 방법 은 후에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아무런 설정 변경 없이 시물레이션을 실행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공구와 배드면 이 적색으로 변하는 것은 충..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 생성된 STL 파일을 머신 시물레이션에 적용하는 법 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전 주의 사항 간혹 가다 보면 STL 저장 시 마스터캠 상 에서 지정된 좌표(WCS)와 틀리게 저장되는 경우 가 많습니다. (주로 상면 가공 한 소재 을 후면 가공 하게 하기 위하여 우측면 등 에서 회전 이동에서 저장하는 경우) 그러므로 저장 후 다시 불러드려서 의도 하는 위치에 제대로 저장되었는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저번에 예제로 저장 한 3AXIS-VMC 폴더에 저장 STL 파일을 다음 폴더에 복사합니다. 마스터캠의 사용자 공용문서 의 마스트 캠 공유 폴더의 머신시물레이션 폴더 의 MachSim 폴더... 헉헉. C:\Users\Public\Documents\shared mcamx9\Mac..
안녕하십니까? 마스터캠 X8부터 적용되는 머신 시물레이션 은 말 그대로 머시닝 (가공 장비) 자체 을 기초로 가공 경로 을 시물레이션 하는 과정입니다. 즉 모의 가공 + 가공 적용되는 장비 (머시닝)을 합쳐서 보여 주는 것으로 주목적 은 실 가공 시 공구 , 소재 , 고정구(바이스 등) 장비 구성 요소와 의 충돌 여부 을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주로 부가축 이후부터 많이 적용하는 가공 여건 (가공 경로 외)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마캠 자체에서 자체적으로 여러 가지 머시닝 장비 샘플을 제공 하지만 보통 저희 가 사용하는 장비는 적용되지 않아 교육 목적 이상으로 적용하기 어려워 실 가공 시 충돌 여부 나 접촉 여부 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별도로 자체 머시닝 구현 모델링을 활용한 머신 시물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