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틸팅인덱스(3+2) 작업평면 적용방법-3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서 작업평면 설정방식과 실무에 적용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저번까지 설명에 의하면 WCS(원점 기준)평면을 선택하고 차후 각 각도별로 생성된 작업평면들을 WCS원점으로 이동한 후 2D 가공정의 경우 링크파라미터 선택을 증분값으로 하여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에는 크게 2가지 고려점이 있습니다. 1. WCS원점의 위치 저번 설명에서는 공작물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WCS평면을 배치하고 가공정의를 생성하는것을 설명하였습니다. 그런데 문제점은 이렇게 WCS평면을 배치하면 사실상 모든 좌표값 연산이 그 WCS원점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는 뜻이 됩니다.* (3+2)틸팅 인덱스 기준이므로 저 WCS평면 원점을 기준으로 해당 부가축(A, B, C)이 회전되어야 각 가..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다축 가공 경로 관련
- · 2025. 4. 3.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틸팅인덱스(3+2) 작업평면 적용방법-2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틸팅인덱스(3+2) 장비에서 다각도 작업을 마스터캠에서 캠작업하는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이 게시글은 아는 지인분 요청으로 그분 상황에 맞게 작성한 것이라 다른 환경과는 작업 방식이 안 맞는 경우가 있습니다. * 직접적인 가공프로그램 생성(캠작업)이 아닌 활용방법에 대한 계념 지식으로 보아주시기 바랍니다. 우선 잠시 여기서 마스터캠에서 다각도(각도분활 작업) 작업 시 작업평면을 인식하는 과정을 잠시 알아보겠습니다. * 이론적인 애기 이라 좀...... 복잡합니다. 우선 저번 작업 평면 생성이 평면 원점을 X0.0, Y0.0, Z0.0으로 지정하는 이유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 사실 이부분은 기초 상식(?)으로 이해하고 실제 작업 시(실제 작업 시 소재원점위치가 장비 기계원점..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다축 가공 경로 관련
- · 2025. 3. 23.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틸팅인덱스(3+2) 작업평면 적용방법-1
이번에는 3+2(틸팅인덱스)또는 5축 가공기(동시제어)를 활용한 다각도(정회전이 아닌) 면에 대한 마스터캠 가공평면 적용 및 좌표출력(가공프로그램)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계념만 알아보겠습니다.* 이 게시글은 아는 지인분 요청으로 그분 상황에 맞게 작성한것이라 다른 환경과는 작업 방식이 안 맞는 경우가 있습니다. * 직접적인 가공프로그램 생성(캠작업)이 아닌 활용방법에 대한 계념 지식으로 보아주시기 바랍니다. 일단 3+2(틸팅인덱스)로 각도분활 형태 가공방식을 따르겠습니다. 가공물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바닥면의 내부 포켓이 있지만 그것까지 설명하면 글이 너무 길어져서 생략합니다. 먼저 계념적으로 어떻게 가공프로그램을 생성하는지 정의합니다. 작업 방식은 동시제어 방식이 아닌 해당 가공면을 해당..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다축 가공 경로 관련
- · 2025. 3.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