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외줄 형태 한글 문자 각인 작업에 관련하여(한줄폰트)
이번에는 마스터캠을 활용한 한글 문자 한 줄/외줄 각인 작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일반 제품 가공을 하다보면 제품의 품명 또는 생산일자, 제품번호 등 일반적으로 알아보기만(이것이 포인트입니다.) 하면 되는 형태의 문자 각인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해당 문장을 와이어프레임탭의 문자 기능을 이용하여 생성된 문자(와이어프레임 형태)을 윤곽 가공경로의 보정 안 함 기능으로 외줄 형태 경로로 주로 볼 엔드밀 형태 공구로 살짝 알아만 볼 수 있게 얇게 가공하는 경우입니다. 그런데 한글을 외줄 형태로 각인작업을 해야하는데 기본적인 상태에서 문자 생성 기능으로 한글을 출력해 보면 외줄폰트가 없는 관계로 한글 문자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약간 논외로 이전(마스터캠 2020버전 이전) 까지는 아래와..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마스터캠 2021 활용 소소한 팁
- · 2024. 12. 22.
마스터캠 2022을 활용한 각인 공정 매크로(알루미네이션)사용 설명서(개정판)
이번에는 네이버 마캠 뽀개기 카페 회원이신 "알루미네이션"님이 작성하신 각인 매크로(0241126_Making_macro) 사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0241126_Making_macro.mcam : 마스터캠 2022 호환 파일 0241130_Making_macro.psb : 마스터캠 포스트 호출루틴 암호화 파일(내용 볼 수 없습니다. 에디팅 불가) 0241130_Making_macro.pst : 마스터캠 2022 기준 각인 공정용 매크로 생성 전용 포스트 파일(각인 공정 전용입니다.) 우선 해당 각인 매크로 사용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작업 환경은 마스터캠 2022 이상입니다. 기본적으로 워크좌표 G54에 해당 제품 가공원점을 사용하고 그 후에 배열되..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마스터캠 2021 활용 소소한 팁
- · 2024. 12. 1.
가공시 각지게 나오는 곡면 또는 2D 도형요소의 문제점 해결방안(거르기 기능 활용...)
이번에는 네이버카페 마캠뽀개기 질문글 중 하나를 중점으로 곡면 작업 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질문의 요지는 곡면가공을 했는데 최종 가공물의 면이 각져 보인다고 합니다. https://cafe.naver.com/mcampokegi/152397 마캠 면방향으로 가공시 가공면이 뚝뚝 끊겨서 나옵니다 아시는분은 답글 달아주세요!!!ㅠㅠ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cafe.naver.com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는 원인은...... 당연히 해당 곡면 자체가 각져서 그렇습니다....... 모델링 형태가 각져있다는 것이지요.. 원인은 주로 2가지인데..... 1. 해당 2D 도면의 선을 선택하여 모델링(곡면) 작성하여 캠작업시 해당 도면의 2D 도형요소(주로 타원형 곡선)가 각져 있어서 그 도..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마스터캠 2021 활용 소소한 팁
- · 2024. 11. 7.
부가축 머신 환경에서 작업평면을 활용한 다축 드릴 가공(네이버 마캠뽀개기 질문 게시글 관련)
이번에는 마캠 뽀개기 네이퍼카페에 올라온 질문 게시물에 대하여 늦은 답변으로 해당 가공물(작업평면 활용 부가축 가공)의 캠작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이러한 작업평면 활용 다각도 가공 캠작업은 여러 번 설명해서 사실상 중복된 내용입니다........ㅠhttps://cafe.naver.com/mcampokegi/152252 로타리가공에서 센타에서 편심된 가공 어떻게 프로그램짜나요?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cafe.naver.com 먼저 작업 내용은 아래와 같은 링가공물에 링 중심축(회전축)에 어긋나 있는(공구 축이 링 회전체 회전 중심점에 향해있지 않는 경우)의 경우입니다. * 이러한 반복적인 작업(일정한 가공패턴을 일정한 회전각도로 배열되는 경우는 무척(?) 간단합니다.......(작..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마스터캠 2021 활용 소소한 팁
- · 2024. 11. 2.
마스터캠 2022을 활용한 모의가공 - 비교 기능에 대한 STL호환 파일 적용관련 팁
이번에는 간단하게 모의가공의 비교기능에 대하여 일부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모의 가공의 비교 기능은 모의가공 과정이 완료된 공작물(결과물)과 원본 모델링(작업 공작물) 또는 기타 호환 모델링 파일(STL 형식 파일만 지원합니다.)과 모의가공 결과물을 상호 비교하여 지정된 공차값을 기준으로 차이 나는 범위를 색상별로 표시 식별하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참고로.. 작업공작물 이란. 머신그룹에서 정의 하는 공작물(소재)이 아니고 현재 작업화면에서 표시되어 있는(이것이 중요합니다.) 상태에서 모의가공으로 전환한 해당 모델링(무조건 모의가공 들어가기 전에 작업화면에 표시된(블랭크 나 레벨로 분리되어 표시되지 않은 모델링 또는 와이어프레임, 도면요소는 제외합니다.) 모델링 요소가 작업공작물로 지정됩니다.* 만..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마스터캠 2021 활용 소소한 팁
- · 2024. 9. 14.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3D 캐릭터 모델링 가공 기초방식-3 (카카오 라이언)
이번에는 마지막으로 라이언의 후면부 가공을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전에 작업한 전면부 가공 소재을 그대로 돌려서 후면부가 상면으로 위치하게 다시 체결합니다. 그런데 그럼 라이언의 후면부 가공경로는 어떻게 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1. 해당 라이언 모델링을 그대로 소재 중심에 맞게 180도 돌려서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2. 작업평면을 후면부에 맞게 생성하여 그 작업평면에 맞게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이때 라이언 모델링은 그대로 두고 작업평면만 반대쪽에 생성하여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 앞에서 해당 가공경로 생성법은 설명하였스므로 여기서는 간략히 설명합니다. 먼저 1번 해당 라이언 모델링을 이동기능(다이내믹, 회전 등)을 이용하여 후면부가 현재 작업평면 쪽으로 돌립니다. 이때 전면부 가공한 모의가공 결..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마스터캠 2021 활용 소소한 팁
- · 2024.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