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기존 곡면 가공경로 공통 파라미터 항목에 대하여-3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기존 곡면 가공경로 공통 파라미터 항목 중 "곡면 파라미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화살표 : 아래 가공여유 대상곡면 또는 체크곡면을 선택하는 기능창을 표시합니다. ⑥ 가공여유 대상 곡면 (Stock to leave on drive) 해당 가공정의 가공경로가 가공 대상곡면으로 선택한 곡면 표면부에서 수직으로(접하는) 가공여유값을 가집니다.* 해당값은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값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플러스 값이면 미절삭(가공여유), 마이너스 값이면 과절삭(오버 가공)이 됩니다. (다만 마이너스값 입력 시 경로연산 과정에서 정상적이지 않은 형태 경로가 생성될 확률이 높으므로 살짝만....) * 가공여유값은 기본적으로 무한대에 가까운 값을 가질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 공..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5. 5. 14.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기존 곡면 가공경로 공통 파라미터 항목에 대하여-2
이번에는 마스터캠 기존 곡면 가공경로의 파라미터 중 공통으로 쓰이는 "곡면 파라미터"항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곡면 파라미터 곡면 파라미터는 선택한 가공대상 곡면 또는 체크 대상곡면, 공구중심영역 체인의 대한 링크 파라미터값 적용과 가공여유값, 가공영역 설정 방식의 정의 항목입니다.* 특이점은 일반 2D 가공정의 경우 링크 파라미터에는 가공깊이 (가공 시작에서 가공 끝까지의 깊이값)이 있지만 곡면 가공 링크 파라미터에는 이러한 깊이값을 해당 가공정의 절삭 파라미터 항목에서 정의합니다.* 또한 링크 파라미터의 높이값을 증분으로 적용 시 2D 가공경로처럼 가공물(체인 선택한) 기준값으로 되지만 곡면 링크 파라미터의 각각 생성된 가공경로의(시작과 끝) 높이값에 따라 증분 되어 적용됩니다. 링크 파라미터..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5. 5. 11.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기존 곡면 가공경로 공통 파라미터 항목에 대하여-1
이번에는 마스터캠 기존 곡면 가공경로의 파라미터 중 공통으로 쓰이는 "가공경로 파라미터"항목과 "곡면 파라미터"항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기존 곡면 가공경로를 선택하여(해당 가공 대상곡면등 요소를 선택한 후) 처음 표시되는 가공경로 파라미터 항목인 "가공경로 파라미터"와 "곡면 파라미터" 그리고 해당 가공경로별 항목으로 표시됩니다. 이러한 공통 파라미터 항목의 각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가공경로 파라미터①공구 목록(Selecting a tool) 해당 가공경로에 적용될 공구의 목록 표시칸 입니다.* 기본적인 공통 내용이라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 해당 항목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momoman83.tistory.com/456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5. 5. 8.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기존 곡면 등고선 가공경로에 대하여-1
이번에는 마스터캠의 3D 곡면 가공경로 중 기존의(곡면 고속가공경로 나오기 전) 곡면 가공경로 중 하나인 등고선 가공경로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등고선 가공경로는 곡면 대상 적용가능한 가공경로 이며 솔리드면 또는 곡면 대상으로 하는 가공경로입니다. 우선 마스터캠 2021에서 등고선 가공경로를 적용하는(실행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 입니다. 먼저 가공경로 관리자창에서 가공정의 입력칸에 마우스 우클릭으로 풀다운 옵션메뉴창을 표시후 "밀링가공경로 - 곡면황삭 - 등고선 (곡면정삭 - 등고선)"을 선택하여 등고선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구형 등고선 가공경로는 크게 3가지 입니다. (황삭경로 - 등고선, 정삭경로 - 등고선, 등고선잔삭)* 마스터캠 작업화면 상단 리본메뉴에서도 지원이 되나 순정 상태에서..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5. 5. 6.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7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이번에는 공작물 가공면 전체를 한번에 가공영역(바운더리) 설정하고 경로 생성 시 간단한 팁을 알아봅니다. 가공경로 제어 항목의 커브 기능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와이어프레임 체인 또는 솔리드 체인 적용이 가능하며 다수의 체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커브기능을 활용하여 스컬롭 경로 적용 시 설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1. 가공영역중 특정영역을 특정패턴(커브)으로 경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먼저 아래 같은 공작물을 전체 가공영역(바운더리) 설정 후 스컬롭 경로를 내면 스컬롭 경로는 전체 가공영역을 기준으로 그 영역 범위의 중앙부를 기점으로 경로를 생성합니다. 즉 가상의 평면상 생성된 스컬롭 경로(포켓형태)를 가공 ..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5. 2. 26.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6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 적용 예를 보겠습니다. 예제는 저번에 사용한 공작물 입니다. 저번에 여러가지 어려움 끝에 가공(?)에 성공하였습니다. 그렇지만 어른의 사정으로 전공정 과정문제로 하단부 돌출부 바닥을 기준면으로 해서 작업하라는 지시가 내려왔습니다. * 약간 언더컷 가공여부 따지면 좀 이상하기는 하지만 예제로서 억지 설명합니다..(예제 선택 실패..) 사실 공작물 각도가 좀 바뀌었다고 뭐 달라지나 하고 저번에 한 형태의 일정한 스칼롭 가공정의를 적용하여 생성합니다. * 가공곡면 테두리 수직면 부분이 가공이 불가능한데... 일단 그부분은 가공이 완료되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겠습니다. * 사실 제대로 하면 아래 설명할려는 주제가 흔들려버려서... 일단 역지로.. 그래서 우선..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5.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