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1
이번에는 저번 곡면 고속 가공경로 중 스컬롭(SCALLOP)에 이어서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먼저 설명했듯이 스컬롭 가공경로는 기본적으로 2D 포켓 경로형태를 기본으로 하는 평면상 가공경로(바운더리 영역에 따른)를 3D 등고선 경로를 기본으로 하는 해당 가공대상 곡면형태에 투영 이동 시키는 것 과 같은 형태의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 어디까지나 이해를 돕기위한 설명이며 실제 마스터캠 내 경로 연산방법은 해당 마스터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① 스컬롭 가공경로 생성을 위하여 해당 솔리드 요소의 피라미드형태의 가공 대상곡면을 선택합니다. ② 그러면 먼저 해당 가공영역(바운더리 영역, 공구 중심영역)에 준하는 평면 형태 가상의 곡면을 생성합니다. (어디까지나 이해..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5. 2. 8.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스컬롭(Scallop) 가공경로-5
저번에 이어 이번에도 스컬롭 가공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저번에 돌출부에 생성된 스컬롭 가공경로를 다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해당 스컬롭 가공경로 파라미터 값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습니다. 그렇게 해서 생성된 스컬롭 가공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런데 경로확인으로 살펴본 경로가 돌출부 외곽바닥(Z-22.225) 쪽으로 바로 진입하여 상부 쪽으로 상승하면서 경로를 이송하다가 돌출부 중간 높이 근처까지 이송되자 다시 수직복귀 하여 가공물 상부(최저높이)에서 다시 가공경로 이송하며 내려와서 돌출부 중간 높이까지 이송하고 가공경로를 마감합니다. 이것은 해당 스컬롭 경로 절삭 파라미터 항목 중 절삭형태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확장" 항목이 체크되어 있지 않은 상태(비활성화)이면 이러한 이송형태를 ..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2. 15.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스컬롭(Scallop) 가공경로-4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 곡면 고속가공 스컬롭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예제로서 아래와 같은 가공물이 있습니다. 스컬롭 가공경로는 정삭 위주의 가공경로 이므로 바로 적용하지 못하고 우선 먼저 다이내믹 최적화 황삭경로(황삭) - 곡면 고속 워터라인 경로(중삭)를 완료한 후 스컬롭 경로를 적용하는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황삭 경로로 다이내믹 최적화 황삭 경로 적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다아내믹 최적화 황삭 가공경로를 선택한 후 파라미터 항목에서 "모델도형"에서 가공 도형(가공곡면)을 가공여유값과 함께 선택합니다. * 이러한 가공도형 선택 또는 회피 도형 선택 방식은 해당 가공물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해당 가공도형 곡면을 일일이 선택(회피도형 곡면 포함)하는..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2. 8.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스컬롭(Scallop) 가공경로-3
이번에도 고속 곡면 가공 스컬롭 경로의 활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우선 아래와 같은 형태의 가공물이 있습니다. 납작한 원형의 완만한 경사의 형태 이므로 스컬롭 경로 적용하기 적합해 보입니다.......? 우선 전체 선택을 하고 외형부를 공구중심영역으로 선택하고 별다른 설정 없이 스컬롭 경로를 생성하였습니다. * 사실 스컬롭 경로가 별다른 파라미터가 없어 간단히 경로 생성이 가능하다는..... 그리고 다른 예로서(나쁜 예?) 등고선으로 경로 생성한 것을 살펴봅니다. 우선 먼저 보면 등고선의 경우 가공물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에 따라 절삭 간격이 불규칙적인데 스컬롭의 경우는 어느 정도 일정하게 간격이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물론 등고선 경로 파라미터의 추가조건의 쉘로우 경로 추가로 간..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1. 21.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스컬롭(SCALLOP) 가공경로-2
이번에는 스컬롭 경로를 활용한 가공경로 생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해당 가공경로(스컬롭)사용 하기 좋은(적절한) 가공물 형태는 가능한 평평한 굴곡이 작은 형태의 마지막 정삭 경로로 활용하길 바랍니다. 만일 가공대상 곡면의 형태가 급격히(특히 가공면 측면의 각도가 0°에 준하는 경우)변화 하는 형태는 가능한 등고선, 워터라인을 사용하시고 스컬롭은 가능한 평평한 형태의 가공 곡면에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스컬롭 경로의 특성중 하나가 다른 가공경로는 생성하기 힘든(귀찮은...) 완전 평면 형태의 가공물도 무난히 잘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이때 생성되는 가공경로는 2D 포켓 경로 형태로 생성된다는 것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면방향처럼 한 방향 경로는 생성될 수 없습니다. 이번에는 아래와 같은..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1. 19.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스컬롭(SCALLOP) 가공경로-1
이번에는 마스터캠 곡면 고속 가공경로 중 스컬롭(scallop : 주로 가리비로 번역되지만 여기서 뜻은 조개껍질층처럼 여러 개의 겹겹이 쌓인 얇은 두께의 집합체로 보시면 됩니다.) 가공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곡면가공 스컬롭 경로는 일반 구형 곡면가공경로의 등고선 경로와 많이 유사하다 볼 수 있습니다. * 다만 고속 곡면 가공경로에 한정해서 보면 등고선은 워터라인과 비교되며 스컬롭 경로는 등고선처럼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경로 높이를 유지하며 진행되면서 좀 더 자유롭게 Z 축 방향으로 경로생성이 자유롭다(오르락 내리락이 잘된다?)하는 점이 다릅니다. 그렇지만 등고선의 경우 일정한 Z간격으로 생성된 경로 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다만 가공성이 용이한 경로 형태(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