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워터라인 가공경로-1
이번에는 마스터캠 곡면 고속 가공경로 중 워터라인(Weterline) 가공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곡면가공 워터가공경로는 곡면(모델링기반)을 활용한 해당 가공면에 일정한 평면(Z간격)별로 생성되는 가공경로를 특징으로 하는 가공경로로서 구버전 곡면 정삭 가공경로 등고선(Contour)과 비교되는 가공경로입니다 워터라인 가공경로 특이점은.. 1. 곡면(모델링기반) 활용 가공경로이며 마스터캠 곡면 고속가공경로의 특징(절삭 파라미터)을 공유하는 가공경로입니다. 2. 구버전 곡면 등고선 가공경로와 틀리게 공구 전체 형태에 따른 소재와의 충돌체크가 이루어집니다. (구버전 곡면 등고선 가공경로는 공구의 절삭면 부분에 한하여 충돌체크(공구 싱크 부분 이라던가는 체크가 안됨)가 이루어집니다.) 3. 등고선 가공경로..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4. 2. 5.

마스터캠 2022를 활용한 모델링 평면곡면 가공경로 생성에 관련 질문에 대한 의견.
이번에는 지인이 운영하는 네이버 카페(마뽀 아닙니다)에서 올라온 하나의 질문입니다. 해당 모델링 중 저 평면 부분만 가공경로를 생성하는데 가능한 고려해야 할 조건 이다음과 같습니다. 1. 가능한 가공경로가 난잡하지 않게 일정방향으로 생성되길 바람 2. 가공된 가공면이 공구가공자국(결)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함. * 이것은 공구진입 시 가능하면 외부에서 진입 또는 공구 Z축 진입시 헬리컬 진입 유도 하는 것을 말합니다. 3. 가능한 공구 진입은 외부에서 시작되길 바람. 4. 가능한 미절삭 부분 또는 선 가공완료면(체크곡면부)에 대한 접촉 방지 바람. * 그래서 저 평면부만 가공여유 +0.05 남아 있고 나머지 부분은 가공 완료 되었다고 가정하고 진행합니다. 공구는 6파이 평엔드밀로 한정하여 정의합니다. 먼저..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3. 9. 24.

마스터캠 3D 가공경로 설명 곡면 고속가공경로-12 (가공 과정)
이번에는 3D 곡면 고속가공 황삭 캠작업 예를 하나 설명하고 황삭 가공 과정은 마무리하겠습니다. 황삭 가공경로 생성할 모델링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원통형 소재를 가지고 외부형태만 (내부는 미가공) 황삭 가공하여 모든 가공면에 0.2mm 가공여유를 남기는 기준에서 황삭가공 과정을 진행합니다. 1 불필요 또는 가공불가, 차후 정삭에서 따로 (주로 2D 윤곽, 포켓, 홀가공등) 등 현재 황삭 가공에서 가공경로가 생성되지 말아야 할 부분에 대한 막음 처리를 먼저 하겠습니다. 먼저 막아야 할 부분을 정의합니다. 위 이미지처럼 하단의 고정용 볼트 카운터 보어 부분과 상부 고정용 탭홀 부분과 가운데 오프된 홀 부분은 차후 과공공정이라 정하고 이번 황삭 가공에서는 제외합니다. 즉 아래와 같은 모델링 수정 작업을 먼..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3. 4. 10.

마스터캠 3D 가공경로 설명 곡면 고속가공경로-11 (영역 황삭-2)
이번에는 저번 돌출형 모델링의 다이내믹 최적화 황삭 가공경로에 이어 반대로 포켓형태 영역황삭 가공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선적으로 영역황삭 가공경로는 공구 진입이 소재 내측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적합한 가공경로입니다. * 실제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적용 되지 않고 해당 가공소재 특성, 가공 공구, 작업자 성향에 따라 적용합니다. 우선 적용 할수 있는 가공경로는 영역황삭 (일반적인 포켓 가공형태, 트로이달 모션 적용 형태) , 최적화 황삭 이 있습니다. 우선 적용되는 가공경로를 살펴보면. 영역황삭 (일반적인 2D 포켓 가공경로 형태 : 트로코이달 모션 미적용) 영역황삭 (일반적인 2D 포켓 가공경로 형태 : 트로코이달 모션 적용) 다이내믹 최적화 황삭 (다이내믹 가공경로 형태) 여기서는 우선 해당 가공..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3. 4. 8.

마스터캠 3D 가공경로 설명 곡면 고속가공경로-10 (최적화 황삭-3)
이번에는 지금까지 설명한 다이내믹 최적화 황삭 절삭 파라미터 을 적용한 황삭 가공경로 생성 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두가지 모델링을 황삭 가공 해보는데 우선 돌출형(보스) 모델링을 먼저 진행하겠습니다. 가공공정은 간단하게 황삭가공 (중삭 전 전체 모델링면에서 가공여유 0.15를 어느 정도 유사 하게 유지되도록 가공)만 하는 것으로 해보겠습니다. 황삭 공구는 12파이 노즈알 1.0 엔드밀(또는 커터)을 사용합니다. 1. 공작물 설정 적용 제일 먼저 공작물 설정 (가공소재)을 해야겠지요. (모의가공 안 한다는 조건하에서는 불필요하지만 그렇게 하시는 분은 안 계시지요.) 가공관리자 창에서 공작물 설정을 선택 하시고 아래와 같이 소재 설정 을 하였습니다. 모델링을 대상으로 가공하므로 공작물 설정에서 바..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3. 3. 26.

마스터캠 3D 가공경로 설명 곡면 고속가공경로-9 (최적화 황삭-2)
저번에 이어서 다이내믹 최적화 황삭 절삭 파라미터 을 설명합니다. 2. 가공획수 ④ 스텝 간격 , 다운 획수, 스텝업 스텝 간격 : 생성되는 황삭 가공경로간 의 평면상 경로 간격 치수입니다. 오른쪽 입력칸은 공구경 대비 퍼센트(%)의 입력 수치 을 입력 합니다. 입력치수는 1.0 ~ 95.0%가 적용되며 0.0이나 95.0 이상은 지정할 수 없습니다. * 예 12파이 공구경의 50.0(%) 입력은 6.0mm 절삭 간격을 유지합니다. 왼쪽 입력칸은 적용되는 절삭간격을 해당 단위로 입력합니다. 입력치수는 0.0 초과 ~ 공구경의 95% 까지 가 적용 되며 0.0이나 95.0% 이상 수치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 예 12파이 공구경의 4.0 입력은 4.0mm 절삭 간격을 유지합니다. 스텝다운 : 생성되는 황..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3.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