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지인 요청으로(?) 올려드립니다. 삼천리 파워바이스(PCV-160) 모델 입니다. 아래 마스터캠 2021버전으로 저장된 파일은 각 솔리드 요소의 레벨분리가 잘되어 있는 상태 입니다. 아래 스텝(STEP)파일로 저장된것은 같은 모델링인데... 한글 특성상 레벨명이 글자가 깨져있습니다.
이번에는 저번에 말씀드린 부가축(A 축 인덱스) 머신 시뮬레이션에서 연동척(하드죠 선반척)에서 하드죠의 이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전에 방식은 우선 미리 모델링된 각 머신 요소을 그대로 현 위치에서 STL형식 파일로 저장하여 해당 작동 머신요소의 도형요소로 적용하였습니다. * 이때 저장한 도형요소 위치 형태 그대로 머신 시뮬레이션으로 넘어오므로 저 위치에서 이동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하드죠 위치가 고정되어 머신 시뮬레이션에 적용하는 공작물(소재)규격에 따라 이동(죠 조임)이 안되어 마치 시뮬레이션 작동 중 뭔가 어색한 모양을 보입니다. 그럼 해당 하드죠을 각각 이동축(Y축 방향) 항목을 생성하여 각기 대입하면 되는 것 아니냐 하는 문제가 있는 머신 시뮬레이션상 항상 이동축(회전축)..
이번에는 저번(하이트프리셋)에 이어 마그네텍 베이스 인디게이터를 머신 시뮬레이션에 배치해 보겠습니다. 우선 적용할 머신 시뮬레이션은 저번 3축 머신정의입니다. * 이 머신정의는 원점이 스핀들 원점복귀한 상태에서 공구 홀더가 접해 있는 면이 원점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도형요소의 위치는 이 원점에서 시작하는 거리값에 따라 적용됩니다. 그러면 먼저 생각해 볼 것이 저번 하이트 프리셋의 경우 이동축 요소가(수직이동/회전축 해서 2개)입니다. 그러므로 그냥 머신정의 원점에서 거리값을 적용해도 단지 2개 좌표값만 필요합니다. 그렇지만 지금 적용할 인디게이트 측정기(정식용어가 "마그네틱 베이스 다이얼 인디게이터 세트" 또는 "자석 받침대 다관절 인디게이터"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영어는 더 많음.. 간단히..
이번에는 저번 게시글에 누락 & 추가된 부분을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3축 장비 테이블에 올라간 바이스의 페렐블록을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내용은 간단합니다. 먼저 정해진 규격(높이값)의 페럴블럭을 준비한 후 일단 한쌍의 페럴블록이 고정죠와 이동죠의 내측면에 붙어 있다는 전제조건으로 배치를 해놓습니다.* 항상 STL 형식 파일로 저장 할때는 마스터캠 모델링 원점위치에 기준하여 저장하여야 합니다. 머신 시뮬레이션으로 들어가서 먼저 해당 머신정의(사용자 머신 정의 : 여기서는 M1_3 AXGEN_VMC)를 불러드립니다. 그리고 머신정의 수정모드로 들어가서 페럴블럭을 추가할 바이스 항목을 선택합니다.* 머신정의 추가 하는 방법이 계속 앞전에 설명한것의 반복이 되므로 생략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서 3축 머신정의에 고정구(바이스) 장착하는 마지막 설명입니다. * 전의 가변형 스톱퍼(우측)에 이어 좌측도 같은 요령으로 생성해주시면 됩니다.* 차이점은 멈침봉 좌표 이동 방향이 반대로 하셔야 한다는 점(1)뿐입니다. 그러면 이제 이 고정구(바이스)가 원래 4개가 장착되는것 이므로 해당 고정구(바이스)의 최상위 트리항목인(VISE-1)을 선택합니다.* 바이스의 렌치는 보너스로 부착하였습니다.* 주의사항으로 항상 새로운 도형요소를 추가 할경우 가능한(이지만 반드시) 머신정의 원점위치에 놓고(좌표값이 X0.0, Y0.0, Z0.0) 추가하시기 바랍니다.* 사실 다 정리되면 자동 취합 되기는 하지만 그 전까지는 추가되는 도형요소가 엉뚱한 위치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실 엉뚱한 위치로 ..
이번에는 저번 3축 머시닝장비 기본형 까지 마스터캠 머신 시뮬레이션 머신 정의를 생성하는 것까지 설명한 것에 이어서 장비 이송 테이블 위에 소재 체결구(바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저번 까지 완료된 것은 좌측 이미지와 같습니다. 이 위에 이송용 테이블만(우측) 따로 표시하여 이곳 위에 소재 체결용 바이스를 장착하겠습니다.* 이 위치가 무척 중요합니다.이것이 서로 일치해야 하나의 이송지령에 따라 각기 도형요소들이 같이(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하게 이송이 가능합니다. 장착하는 바이이스는 아래와 같지만(총 4개) 바이스 고정죠 좌우측 스톱버를 두 가지를 장착하고 이를 응용하여 소재 체결시키는 방법을 택하였습니다. 그리고 우선적으로 아래와 같이 바이스(고정구) 4개를 장착하는것으로 정..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