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캠 2021 머신 시뮬레이션에 관하여-14 (머신정의 생성-5 : 인디게이터)

반응형

 

 

 이번에는 저번(하이트프리셋)에 이어 마그네텍 베이스 인디게이터를 머신 시뮬레이션에 배치해 보겠습니다.

우선 적용할 머신 시뮬레이션은 저번 3축 머신정의입니다.



* 이 머신정의는 원점이 스핀들 원점복귀한 상태에서 공구 홀더가 접해 있는 면이 원점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도형요소의 위치는 이 원점에서 시작하는 거리값에 따라 적용됩니다.

 


 그러면 먼저 생각해 볼 것이 저번 하이트 프리셋의 경우 이동축 요소가(수직이동/회전축 해서 2개)입니다. 


 그러므로 그냥 머신정의 원점에서 거리값을 적용해도 단지 2개 좌표값만 필요합니다.

 


 그렇지만 지금 적용할 인디게이트 측정기(정식용어가 "마그네틱 베이스 다이얼 인디게이터 세트" 또는 "자석 받침대 다관절 인디게이터"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영어는 더 많음.. 간단히 "인디게이터"로 통칭합니다.) 경우 적용될 이동/회전축이 많아 이것을 일일이 머신기반 모델링에서 좌표값을 측정하는 것이 어려워 인디게이트의 기반이 되는 마그네틱 베이스만 해당 머신정의 원점에서 산출된 좌표값을 쓰고 나머지 이동/회전축 좌표는 인디게이터 자체 모델링에서 좌표값을 산출하기로 하였습니다.



* 위 이미지처럼 인디게이터 베이스가 되는 마그네틱 베이스만 머신정의 원점에서 산출된 좌표값으로 산출되고 나머지 인디게이터 내에서 작동되는 각축의 대한 좌표값은 마그네틱 베이스 원점 좌표값에 따라 산출합니다.

 


 그럼 인디게이터 모델링을 준비합니다.

 가능하면 각 동작부의 원점위치로 놓고 머신시뮬레이션에 넣기 위한 STL파일로 저장하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못하여도 사실 작동은 문제없지만.. 만일 특정위치로 이동하려면 계산이 어려워집니다.)


* 위 이미지처럼 각 인디게이터 도형요소가 정렬된 상태에서 각 레벨별로 분리한 후 각 레벨별 STL파일로 저장합니다.

 

 그럼 이 인디게이터 요소가 들어갈 머신 정의를 머신 시뮬레이션에서 불러드리고 머신정의 수정 모드로 들어갑니다.

* 이제 여러 번 머신 정의 생성, 수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므로 좀 더 간략하게 과정 생략 하겠습니다.



 해당 머신 정의를 불러드리고 불필요한 요소는 일단 감추기 하였습니다.

 


 머신 수정 모드로 들어가서 인디게이트 생성 작업을 진행합니다.

* 먼저 고민하여야 할 사항이 인디게이터가 어떻게 위치하느냐을 정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X축 테이블 위(바이스 상단)에 놓여있다고 생각하고(테이블 이동과 연동되어야 하므로) 머신정의 X항목 하위 트리구조로 불러드립니다.



* 먼저 X축 항목을 선택 후 옵션메뉴에서 좌표 이동 추가(축방향 이동이 아니고 자유롭게 좌표값에 따라 이동할 것 이므로)로 선택후 사용자정의(임의적인 사용자 생성요소 이므로)를 선택합니다.


 그럼 X축 항목 하위트리(맨 마지막)에 이동 항목이 생성됩니다.


 이 생성된 이동항목의 이름을 아래 상세 항목칸에서 "indicator"(한글 사용 시 글자수 제한으로 인해서 영문사용)로 변경하고 다시 인디게이터 항목을 선택한 후 도형 추가를 선택합니다.


 
 도형추가를 먼저 마그네틱 베이스 요소를 선택하여 불러드립니다.

 그럼 현재 머신정의 원점에 마그네틱 베이스 원점이 붙어서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됩니다.

 이것을 앞서 미리 측정한 지정된 위치(1번 바이스 고정죠 상단)로 이동하도록 현재 인디게이터 항목(좌표 이동)의 상세 항목의 위치 좌표값을 입력합니다.



* 일단 위치 좌표값을 입력(시프트) 했을 때 바로바로 해당 요소가 이동하지 않고 그 요소(마그네틱 베이스)의 기반이 되는 항목(X축)을 잠시 흔들어(축이송)주어야 제 위치로 갑니다.

(이것은 도형요소가 추가될 당시 좌표값 계산이 전부 원점복귀한 위치(정확히는 원 머신 정의가 불러드릴 때 위치)에 기반하므로 한번 축이송을 발생시켜 머신 시뮬레이션이 재 좌표계산에 들어가게 유도하는 것입니다.)

 


 그럼 다음 인디게이터 도형 요소를 불러드립니다.

 먼저 마그네틱 베이 스을 불러드리고 정면의 마그네틱 선택 스위치의 명판을 붙여 놓습니다.



 우선 마그네틱 선택 (ON/OFF) 스위치를 불러드립니다.

 먼저 마그네틱 선택 스위치는 회전식(90도)이므로 마그네틱 베이스(INDICATOR) 밑으로 회전축 추가 - B 축(Y축방향) 회전 항목(M-ON/OFF)을 만듭니다.



 그리고 그 회전항목(M-ON/OFF) 밑으로 도형추가 하여 선택 스위치를 불러드립니다.

 그리고 현재 스위치의 회전축이 인디게이터 원점(마그네틱 베이스 바닥)에 있으므로 해당 M-ON/OFF항목 세부항목의 회전 기준점 좌표값을 이동시킵니다.


* 이러한 이유로 다른 것(하이트 프리셋)과 달리 인디게이터의 원점을 머신정의 원점에 기준하지 않고 인디게이터 요소의 원점에 기준한 것입니다.



 그리고 스위치의 회전 범위를 0 ~ 90도로 제한하고 초기값을 0도(ON워치)로 합니다.

 그다음 1차 관절부 연결봉을 불러드려 위치한 후 1차 관절부의 회전 항목을 만듭니다.



 우선 회전축(Z축방향)이므로 인디게이터 항목 선택 후 회전축 추가 - C 축 항목을 만든 후 이 또한 약간의 축 중심좌표값이 조금 틀리므로 이에 대한 회전 기준점에 적절한 좌표값을 넣어 정확히 관절 연결구에 위치시킵니다.

 그리고 회전값 범위를 지정합니다.(지정 안 해도 무방하나 어느 정도 값을 지정....)



 그런 후 1차 관절부가 회전 요소 말고 앞뒤로 접히는(회전 기능입니다.)것이 있으므로 앞 회전항목(1-C) 밑으로(이때 회전 항목의 도형요소를 추가하지 않습니다.) 또 하나의 회전 항목(1-B)을 생성합니다.

 이 회전축은 B축방향(Y축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이 또한 회전 기준범 좌표값을 입력하여 적절한 위치에 회전축 항목(1-B)을 생성합니다.



 그리고 그 회전축 항목(1-B)에 도형 추가로 1차 관절부 도형요소를 추가합니다.

 


 여기까지 하면 1차 관절부가 생성되었습니다.

 이제 2차 관절부를 생성하기 위하여 1~2차 연결부에 회전축을 생성합니다.

 

 

 

 1차 관절부와 2차 관절 부을 연결하는 축의 도형요소 항목(1-B)에 회전축 추가 - B 축(Y축 방향) 하여 2-B항목을 생성합니다.

 그리고 해당 2-B 항목의 회전 기준점을 모델링 형태에 따라 좌표값을 입력합니다.

 


 그럼 1~2차 관절부 연결축 항목이 생성합니다.



 그 연결축 항목에 2차 관절부 도형요소를 추가합니다.

 


 그리고 이제 2차 관절부와 인디게이터 본체와 연결되는 부분 항목(2개 회전축)을 생성합니다.
* 이것은 처음 마그네틱 베이스와 1차 관절부 연결되는 부분 항목과 동일하므로 과정은 생략합니다.

 그리고 인디게이터(다이얼) 본체의 스타일러스와 다이얼 게이지 눈금침등의 회전요소를 계속 같은 요령으로 등록합니다.



 이렇게 해서 마그네틱 베이스 기반 인디게이터 머신정의 내 동작 정의가 완료됩니다.



 이렇게 완료된 작동요소의 동작은 머신 시뮬레이션의 축 컨트롤로 이루어집니다. (수동)

 


 동영상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에는 저번 부가축 인덱스 머신정의 중 부족한 점이 소재 체결용 연동척 하드죠의 이동(체결되는 소재에 따라 체결죠의 이동 : 수동입니다.)하는 것을 설명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