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POST관련 정보(수동입력시 괄호삭제-5)

반응형

 이번에는 좀 더 짧은 글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

 마스터캠 가공정의 생성 과정에서 가공정의 중간에 주석문 또는 실행코드를 삽입하는 수동입력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수동입력 기능을 사용하면 가공정의와 동일하게 가공경로관리자창에서 빈칸에 위치하여 생성됩니다.


 예를 들면 어떠한 가공정의 별로 종료 후 "M100 : 의미 없는 가상의 코드입니다." 실행코드를 삽입한다고 할 경우 해당 수동입력 기능 실행 시 입력창에 "M100" 문자열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 기본적으로 이러한 내용이지만 NCI 파일내 출력형태 파라미터를 "코드로" 설정해도 주석문(양쪽 괄호로 닫힌형태)으로 출력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로서...


 아래와 같이 가공정의 사이사이에 "M100" 수동입력을 코드로 설정하여 생성 하여도 포스트에 따라 다르게 출력됩니다.



* 주로 과거버전(마캠 9.1기반) 포스트가 괄호가 생겨나고 X버전 이후 포스트가 코드로 출력 시 괄호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 물론 X버전 이후 포스트도 "주석문"으로 출력하면 괄호가 발생합니다.



* 또는 "코드로" 지정해도 괄호가 생성되면 임시방편으로 양쪽 괄호 열고 닫기를 하면 주석문으로 출력되는 포스트도 실행코드로 출력가능합니다.

 


예로..


* 수동입력 문자열 입력시 "M100" 이 아니고 ") M100(" = ")" + "M100 : 실행코드 문자열" + "(" (괄호의 방향의 주의)을 입력합니다.

 

 

 그러면 포스팅 하여 출력하면 위와 같이 출력되며 머시닝 장비는 "() M100()"을 "(주석문 빈칸)"+"M100 실행코드"+"(주석문 빈칸)"으로 인식합니다.

 그러면 다시 포스팅 애기로 돌아가서 이렇게 수동입력의 "주석문으로" OR "코드로"를 잘 구분하여 출력되는 포스트의 경우에는 문제없으나 간혹 구버전 마스터캠 포스트가 최신버전 마스터캠에서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 시 이러한 설정이 구분 없이 무조건 괄호가 포함되어 출력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선 먼저 무조건 괄호가 입력되는 포스트의 해당 부분을 살펴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이 수동입력 설정값(주석문/코드)가 마스터캠에서 넘어오는 변숫값이 1006(코드로), 1005(주석문으로)로 되어 있습니다.

 


 우선 무조건 괄호가 나오는 포스트(마스터캠 구X버전)을 살펴보겠습니다.


* 해당 포스트 내에서 문자열 검색 기능으로 우선 1006 또는 1005를 검색하였습니다.


 위 포스트의 "Comment from manual entry : 주석문 수동입력"의 항목을 보면 if gcode$ = 1005, pbld, pspc, "(", scomm$, ")" 즉 수동입력 값이 1005 이면 "(" + "scomm$(수동입력에서 입력한 문자열이 저장된 변수), +")" = 여기서는 (M100)이 됩니다.


 그런데 1005번 항목은 원래 주석문으로 설정이므로 괄호가 있는것이 당연한데 다음줄을 보면 1006번도 동일하게 if gcode$ = 1006, pbld, pspc, "(", scomm$, ")"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포스트를 사용하면 수동입력에서 주석문으로 또는 코드로 어느 쪽을 선택하여도 괄호가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 또는 다른 포스트의 경우 해당부분이 "if gcode$ = 1006, sopen_prn, scomm$, sclose_prn, e$"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괄호의 지정이 "("(괄호열기) = sopen_prn(괄호열기 문자"(" 출력) 와 ")"(괄호닫기) = sclose_prn(괄호닫기 문자")"출력)의 다른 형태의 지정이라 같은 의미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if gcode$ = 1006, pbld, pspc, "(", scomm$, ")"
if gcode$ = 1006, sopen_prn, scomm$, sclose_prn, e$
가 같은 의미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므로 만일 작업자의 포스트가 이러한 형식으로 되어 있고 마스터캠 수동입력에서 코드로 설정하면 괄호 없이 출력하길 원하신다면 해당 작업자의 포스트를 확인한 후 다음과 같이 수정하시면 됩니다.

if gcode$ = 1006, pbld, pspc, "(", scomm$, ")"  >>>  if gcode$ = 1006, pbld, pspc, scomm$,
* 단 위와 같은 경우 eob와 같은 역활을 하는 e$ 가 포스트의 다음줄에 존재하는 경우도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if gcode$ = 1006, sopen_prn, scomm$, sclose_prn, e$  >>>  if gcode$ = 1006, scomm$, e$
* 마스터캠 최신 버전에 경우는 위와 같이 많이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아주 구버전(마스터캠 9.1) 기반의 포스트 경우 다음과 같이 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수동입력에 대한 출력 정의가 없고 다만 gcode$ = 1007인 경우에는 괄호를 무조건 붙이라고 되어 있고 또 gcode$ 가 1007 이 아닌 경우도 괄호를 붙이라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 결국 수동입력 지령이 내리면 그 문자열에 무조건 괄호을 붙이라는 설정이 됩니다.


* 옛날 오작동(실수(?)로 수동입력을 하더라도 실행코드로 작동하지 못하게 작업자 실수방지(?) 목적으로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방법을 작업자의 포스트의 수동입력 부분 설정을 검색해보아서 작업자가 원하는 방식의 수동입력 출력이 되어서 무난한 가공 작업이 되길 바랍니다.

* 참고로 수동입력 출력위치는 기본적으로 수동입력 자체가 가공정의 와 가공정의 경계점(가공정의가 끝나는 시점과 다음 가공정의가 시작되는 시점 사이)에 출력되는 것이라 사실상 위치 변동이 안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