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캠 2021 환경 설정 에 관하여 -1 (CAD , 가공경로)

반응형

이번에는 마스터캠을 처음 설치하고 사용자 환경에 맞게 또는 사용 중 이러한 것 을 변경하고 싶을 때 참고하기 위하여 설명합니다.

우선 환경 은 마스터캠 2021 기준 으로 설명합니다.

맨 먼저 마스터캠을 설치 완료 후 환경 설정을 하는 것으로 설명합니다.

마스터캠 환경 설정 들어가는 것은 상단 메뉴바에서 파일 항목을 선택한 후 왼쪽 메뉴 항목에서 아래쪽 환경 설정을 클릭합니다.

 


* 화면에 나온 것처럼 단축키는 Alt+F8입니다.
이후 시스템 환경 설정 상세 메뉴 화면 이 출력됩니다.

이중 먼저 CAD 항목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1. CAD

왼쪽 상단 "CAD" 항목을 클릭하시면 다음과 같은 CAD (도면 작도 관련) 항목이 나옵니다.


① 원호 중심선 조건 설정
와이어 프레임 작업에서 원호 을 그리게 되면 원호의 중심점 표시 관련 설정입니다.
선택 은 안 함① , 점②, 직선③ 의 3가지 가 가능하며 아래와 같이 표시됩니다.


* 여기서 주의 사항이 만일 원호 중심점 표시 을 사용하시게 되면 이것도 도면 요소 (데이터)로 인식됩니다.
그래서 만일의 경우 다량의 원호 을 생성하여야 하는 경우 에는 이것도 용량을 잡아먹어서 화면 출력이나 선택 시 딜레이가 발생하는 경우 가 있습니다.(이러한 경우에는 안 함 또는 도면 요소가 작은 형태의 중심점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 마스터캠에서 생성되는 원호 요소에만 해당됩니다, 외부에서 반입된 도면 요소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중심점의 형태는 아래의 항목에서 선택 이 가능합니다.

* 안 함으로 하시면 하단의 선택 항목 이 비활성화 되어 선택 할수 없습니다.
* 안함 으로 하셔도 여러 선택 과정에서 원호 중심선을 자동 선택 가능합니다.

만일 중심선 종류 을 "점" 또는 "직선"으로 선택 시 하단의 중심선 형태에 대한 설정 이 가능합니다.
("점"을 선택 시 오른쪽 "형태" 항목 은 비활성화됩니다.)

② 기본 속성

위 이미지와 같이 작성할 도형 요소의 속성(형태 , 굵기 , 점형태)을 지정 가능합니다.
여기서 위 와 같이 리본 선택 메뉴에서 골라서만 선택 이 가능하며 임의 적인 규격 은 불가능합니다.
보통 항상 잘 사용하는 (기본적으로) 선의 형태와 굵기 을 선택하면 항상 이 설정으로 생성됩니다.


③ 이동 (MOVE 가 아니고 XFORM)

이항목은 도면 요소 (2D&3D)을 이동시 (평향이동 , 회전이동 , 다이내믹 이동 등) 이동되는 요소의 이동 미리 보기 표시 설정입니다.

그러나 이 항목이 사실상 무력화되는데 실제 작업할 항목 메뉴 목록에 이러한 미리 보기 설정 선택 기능 이 따로 있어 실제 작업 시 그 항목을 우선적으로 따라갑니다.
* 이 기능 자체 가 작업 컴퓨터의 성능 부족 시 화면 표시 부하 을 감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생성된 것이라 현재로서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다만 하단의 중복된 요소 체크(삭제)는 만일 이동하고자 하는 도면 요소가 중복이 되어 있는 상태로 이동시 중복된 요소 을 삭제하여 이동하는가 하는 부분에 대한 설정입니다.

즉 위 사항을 체크 시 중복된 요소 을 이동시키면 중복된 요소 을 삭제하였다는 메시지와 함께 삭제되어 중복되지 않은 형태로 이동됩니다. (복사 시 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다만 사전 경고 없이 삭제하므로 우선은 체크 해제 상태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하단의 트림 미리 보기 사용 은 와이어 프레임 의 트림(TRIM:자르기) 작업시 트림 될 부분의 미리보기 을 사용하냐 안 하냐 의 선택 설정입니다.

① 트림 예정 부분
② 트림 기준이 될 도형 요소
1점 트림 경우 왼쪽과 같이 선택하면 미리 보기 체크시 가운데 형태 처럼 미리보기(점선) 이 생기고 미리보기 사용을 해제 시 오른쪽과 같이 중간 과정 없이 트림 이 진행됩니다.


2. 가공 경로
왼쪽 상단 "가공 경로" 항목 을 클릭 하시면 다음 과 같은 가공경로 항목이 나옵니다.


① 일반 설정

가공경로 생성의 관한 일반적인 설정입니다.

- 작업 불러오기 시 기존의 공구 사용
가공 경로 복사하여 다른 머신 정의에서 사용 시 기존의 사용 한 공구 설정 이 그대로 따라오게 하는 것입니다.
(체크 상태로 유지)

- 이전 작업에서 기본값 얻기
동일 가공 형태 작업 시 이전에 작업 한 가공 경로의 설정 값을 그대로 반영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체크 상태로 유지)

* 만일 같은 가공 형태의 작업 시 라도 계속 디폴트 값으로 사용하신다면 체크 해제하시면 됩니다.

중요한 세 가지만 알아보겠습니다.

① 자동적으로 HST 기본값 계산
* 먼저 HST (고속가공 : High Speed Toolpath)는 이른바 다이내믹 같은 저 절입 고이송 고회전 가공을 말하는 것입니다.
가공 경로 중 HST 가공 (다이내믹 가공) 작업시 가공형태 파라미터 값 중 일정한 형태 로 입력 되는 기본 값이 있습니다.
* 다이나믹 가공에 적합하게 산출된 기본값. 아래 화살표 표시된 것 같은 파라미터 값입니다.
* 절삭 파라미터 말고 다른 (링크 파라미터 등등) 파라미터 값에도 적용됩니다.

여기서 저기 가공 경로 일반 설정 의 "자동적으로 HST 기본값 계산" 설정 이 만일 체크되어 있으면 다음과 같이 처리됩니다.

이 설정 값에서는 만일 기본적으로 입력된 파라미터 값을 바꾸면.


이렇게 되어 있는 기본 값 을


로 변경하고 공구 을 변경(공구 경이 다른) 하면

1번 공구로 되어 있는 것 을 2번 공구 로 변경


이후 다시 절삭 파라미터로 가면 아까 변경한 15.0 , 5.0로 변경되어 있던 파라미터 값이 다시 원래 기본값으로 변경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기본값 으로 다시 변경됩니다.


즉 공구 변경 시 (공구경 이 다른) 처음 입력된 기본값 파라미터로 되돌아가는 것입니다.

* 정확히는 고속가공(HST) 시 절삭 파라미터의 기본값 은 해당 공구의 구경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변경 된다 라고 설명서에는 되어 있지만 실직적으로 는 기본적인 적절하다 하는 값 으로 공구 변경 시 재입력되는 것입니다.

* 이유는 만일 공구 변경 시 (규격이 많이 틀리는) 파라미터 가 앞의 작업에 사용된 값이 그대로 적용되면 적절하지 않은 파라미터 값이 사용될 요지 가 있어 이을 방지 하고자 공구 변동 시 파라미터 값을 기본값으로 리셋하는 역할을 하며 그에 대한 설정 이 "자동적으로 HST 기본값 계산" 체크입니다.

* 이후 다시 설명하지만 일단 그대로 체크한 상태로 사용하길 추천합니다.

그럼 만일 "자동적으로 HST 기본값 계산" 설정을 체크 해제하면 어떻게 되는 가?

이경우 똑같이 절삭 파라미터 가 기본값인 상태에서 변동을 하고 공구 을 교체해 봅니다.


에서


로 변경하고

1번 공구에서 2번 공구로 변경합니다.

* 여기서 주목할 사항 은 오른쪽 상단에 "값 재계산"이라는 버턴 이 새로 생긴 것입니다.

그래서 다시 절삭 파라미터 을 보니 변경된 값 그대로 있습니다. (공구 을 변경하여도.)


이렇게 말입니다.


만일 고속가공 경로 생성 시 공구 을 변경하여도 기본의 설정해 놓은 파라미터 값을 그대로 유지하고 싶으면 "자동적으로 HST 기본값 계산"을 체크 해제하시면 됩니다.

그럼 아까 새로 생성된 "값 재계산" 버턴이 어떤 역할을 하냐면 "자동적으로 HST 기본값 계산" 체크한 상태로 돌아갑니다. (그 가공 경로만 한해서)
* 정확히 는 변경된 공구 구경을 계산하여 적절한 기본값을 입력합니다.

그럼 중요한 것 은 예 을 들어 고경도 소재 가공 작업을 많이 하여 항상 작은 값을 주로 사용하는데 매번 수정하느라 불편하신 분이 계십니다.

이경우는 저 파라미터 기본값을 변경 등록 (디폴트로) 할수 있습니다.
우선 작업자 가 선호하는 파라미터 값 을 먼저 입력해 놓고 절삭 파라미터 창 상단 왼쪽에 보면 몇 개 의 아이콘이 있습니다.

그중 플로피 디스크 모양 (저장) 버턴을 누르게 되면 먼저 입력해놓은 파라미터 값이 기본 디폴트 값이 되어서 매번 변경하지 않아도 고속가공 경로 작업 시 디폴트 값으로 입력되어 나옵니다.

만일 다른 형태의 파라미터 값을 사용하다가 다시 디폴트 값으로 변경 하고 싶으면 이 아이콘(불러오기) 을 누르시면 다시 전체 파라미터 값이 디폴트 값 으로 변경됩니다.

* 추천 사용 법은 "자동적으로 HST 기본값 계산" 설정 은 체크하여 두시고 만일 다른 파라미터 값을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위 와 같이 디폴트 값으로 저장하여 사용하시면 좀 더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② 다중작업 처리 사용
이것 은 요즘 컴퓨터의 CPU 가 다중 코어 인지라 가공경로 연산시 빠른 연산 을 위하여 CPU 의 다중코어 사용을 설정하는 체크입니다.

다만 여기서 다중 코어 사용 가능 한 가공 경로는 고속가공 경로에 한 합니다.
(다이내믹 , 곡면 가공 , 고속 곡면 가공 , 다축 가공 등)

이 사용 여부 을 알고 싶으시면 상단 메뉴 중 뷰 항목에 보면 표시되는 "뷰" 항목 중 다중-작업 처리 관리자 뷰(평소 비활성화)를 클릭하여 사용하시면 현재 다중 코어 사용 여부 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이것도 사용(체크함) 하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이항목을 체크하여도 다중 코어 작업 기능 이 떨어지는 것 인지 4~8 코어 이내 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버전 따라 차이 있음)


③ 이송 속도 고정

간혹 가다 보면 가공 경로 작업 시 다했는데 공구 을 변경해야 할 일 이 있습니다. (오늘 은 공구 변경이 많네요.)
그래서 공구 을 변경하였더니 절삭 조건 이 다른 값으로 바뀌는 경우가 있어 무심코 공구만 변경하고 가공 경로 재생성하고 NC코드 출력하니 다른 회전수 , 피드로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을 대비한 설정 값입니다.

우선 이송속도 고정 체크 시 상황입니다.

예시로 1,2,3공구 을 생성하고 각각 회전 수 와 이송 속도 을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즉 1번 공구는 전부 1,000 으로 2번 공구 는 2,000 3번 공구 는 3,000으로 정해 놓았습니다. (어디까지나 예시입니다.)

그리고 가공 경로 을 정의 한후 1번 공구 로 가공경로 을 생성하였습니다.
(중요 : 만일 가공 경로 가 생성되지 않았으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럼 다음 다시 절삭 파라미터로 돌아가서 2번 공구으로 변경합니다.

그런데 2번 공구로 변경 하여도 이송속도 와 회전수 는 변경 없습니다. (2번 공구 는 2,000 으로 설정)
그럼 이번에는 3번 공구 로 변경합니다.

3번 공구로 변경하여도 이송속도 회전수 가 변경되지 않습니다. (각 공구 별로 절삭 조건 이 따로 정의되어 있어도..)

위 와 같이 이송속도 고정 설정을 체크하시면 한번 정의된 절삭 조건 은 따로 수기로 입력하여 변경하기 전에는 그대로 유지합니다.

간혹 가다 같은 공구인데 공구 번호만 변경하거나 특정 일부 값 만 변경하였는데 절삭 조건 이 초기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설정 값입니다.

그럼 이번에는 체크 해제해 보겠습니다.



1번 공구로 가공 경로 을 생성 해 봅니다.

이것을 공구만 2번 공구 로 변경합니다.

그러자 2번 공구는 원래 정의되어 있는 2번 공구 절삭 조건 값으로 자동 변경됩니다.

그럼 이번에는 3번 공구로 변경합니다.

역시 3번 공구 정의된 3,000 대 값으로 자동 변경됩니다.

이와 같이 이송속도 고정 설정 값은 가공 경로 작업 중 설정한 절삭 조건 값(이송속도 , 회전수)을 계속 일정하게 유지하고 싶으시면 체크하셔야 하며 미리 정의 한 공구의 절삭 조건 값을 자동 입력 하길 원하시면 체크 해제 하셔야 합니다.

* 단 만일 수기로 입력된 절삭조건 값 을 변경하셨는데 이송속도 고정 설정을 체크하셨으면 공구의 정의된 절삭 조건을 변경하셔도 반영이 안 됩니다. (주의 사항)

* 어떻게 작업하시던 최종 NC코드 출력 전에 전체 절삭 파라미터 상태을 확인하시고 출력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② 가공 경로/곡면 선택

이 항목 은 가공 경로 생성 시 (곡면 가공에 한하여) 가공 대상 인 곡면 선택 시 질문 여부 을 정의하는 것입니다.
* 마스터캠 9.1의 곡면 가공을 해보신 분 은 이해가 빠를 것입니다.


* 위 와 같이 체크하면 곡면 가공 시 (가공 곡면 선택 화면)에서 가공 곡면 만 물어보고 CAD 파일 , 회피(체크 곡면) , 공구 중심 영역을 물어보지 않고 바로 가공 경로/곡면 선택 창 이 화면에 표시됩니다.

즉 아래와 같습니다.

즉 위 해당 선택 문의 선택 항목 체크 여부에 따라 위 메시지 가 출력 여부 가 결정됩니다.


* 만일 작업자가 나는 항상 가공 곡면 , 체크 곡면 , 공구 중심 영역을 지정한다 하면 위 항목을 체크하면 항상 곡면 가공 시 해당(가공, 체크, 공구 중심 영역) 선택을 물어봅니다.


* 이 항목 은 작업자 특성에 맞추어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 만일 보기 싫으시면 하단의 가공 경로/곡면 선택 대화 상자 표시 을 체크 해제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그럴 분은 없겠지요)

③ 메모리 버퍼링


이 항목 은 마스터캠의 실행 시 우선적으로 배정되는 물리적 메모리 량 한계 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항목이 생기는 이유가 두 가지입니다.

1. 마스터캠 이 메모리 관리에 상당히 미숙합니다. (메모리 누수가 심합니다.)
그래서 마스터캠 사용 시 가능한 많은 메모리 을 미리 확보하기 위하여 이러한 설정을 두면 실행시 설정된 메모리 량만큼미리 확보하고 마스터캠 만 전용하도록 유도합니다.

즉 한정된 메모리 용량 중에서 가능한 메모리 량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입력된 수치는 해당 컴퓨터의 설정된 물리적 메모리의 합계의 퍼센트 값으로 지정합니다.

예: 만일 해당 컴퓨터가 16기가 램을 사용 중이라 하면..

을 기본적으로 배정하고 만일 75% 로 설정하면

만큼 마스터캠에게 배정됩니다.

* 다만 다른 프로그램이나 타 작업 상황에서 배정되는 메모리양 이 틀릴 수 있으나 만일 재배정시 우선 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해당 컴퓨터 가 16기가 이상이고 마스터캠 전용 컴퓨터 이면 높게 설정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 다만 마스터캠에게 많은 메모리양을 배정하시면 다중 작업 (다른 프로그램 도 실행해놓고 작업 시) 배정받지 못한 타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 가 저하되는 현상 이 있습니다.

2. 마스터캠 다중 실행
마스터캠 9.1 에도 동일한 설정 이 있는데 오히려 반대로 메모리 버퍼링 값을 작게 (대략 30%) 설정하라고 추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마스터캠을 다중(여러 개) 실행 해 놓고 작업 해야 하는 경우 만일 한개 마스터캠 메모리 버퍼링 값 을 높게 잡으면 나머지 다른 마스터캠 실행속도 (메모리 부족) 가 느려지는 경향 이 있으므로 미리 다중 실행을 염두에 두고 작게 설정 값 을 잡아 여러개 마스터캠 실행 을 용이하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만 마스터캠 2000대 버전부터는 기본적으로 마스터캠 이 16기가 (1개 실행당)을 배정해야 좀 더 원활히 실행되는 경향 이 있어 해당 컴퓨터 가 메모리 32기가 이상 이 안 되는 경우에 는 다중 실행을 자제하셔야 합니다.

* 또한 이러한 설정 외로 마스터캠의 메모리 누수 현상 (마스터캠 이 사용한 후 안 쓰는 메모리 용량을 되돌려주지 않고 낭비하는 경우) 이 심하여 사실상 장시간 사용 시 메모리 부족 현상 이 발생하므로 가끔 하나의 작업이 완료되면 마스터캠을 종료하고 다시 재실행 (메모리 재배정작업) 또는 재부팅 작업을 실시하는 것 을 권합니다.

* 만일 하나의 마스터캠 실행을 기본으로 하신다면 16기가 에서는 50% , 32기가 이상에서는 60~70% 선을 추천합니다.
* 만일 3D 작업 위주 이시면 좀 더 높게 설정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만 다른 프로그램 실행은 자제하시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