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에 이어 선형배열 파라미터 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⑥새 작업과 도형을 생성
배열되는 가공정의에 적용된(체인) 도형요소를 배열되는 수량만큼 복사 생성하여 그 생성된 도형에 체인작업을 한 가공정의를 생성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 사실상 복사된 도형요소는 가공정의가 생성된후 영구삭제(되돌림 불가) 되므로 사실 일반적인 배열 방식과 다름없으나 해당 가공정의가 별도로 존재하기에 경우에 따라 각각의 배열된 가공정의의 파라미터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 적용하기도 합니다.
* 또는 배열방식이 저장되어야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적용 합니다. (배열정의 가 남아 있으면 재생성 작업 시 계속 배열된 수량만큼 재생성이 반복되어 연산 시간의 지연을 초래합니다.)
"새 작업과 도형을 생성" 미적용한 경우(일반적인)
"새 작업과 도형을 생성" + "선행배열 가공정의 생성(관리용)" 적용한 경우
* 선행배열 가공정의(관리용) 가 남아 있으므로 차후 선형배열 조건 변경 시 적용이 가능합니다.
* 다만 앞서 생성 또는 재생성 한후 생성된 배열된 가공정의는 선형배열 가공정의 와 연관 관계가 아니므로 별도로 작동하므로 선형배열 조건 변경 시(재생성) 앞선 가공정의는 삭제하셔야 합니다.
* 또한 이렇게 관리용으로 변경된 선형배열 가공정의는 NC데이터 출력 비활성화(유령아이콘) 되어있으므로 선택되어도 NC데이터 출력시 적용되지 않습니다.
"새 작업과 도형을 생성"만 적용한 경우
*선형배열 가공정의 은 영구삭제(되돌림 불가) 되며 배열된 가공정의만 남게 됩니다.(주의!!)
실행결과 앞으로 대상 가공정의 복사
일반적인 선형배열한 경우 선형배열된 가공정의는 원본 가공정의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NC데이터 출력 시 원본 가공정의 와 배열된 가공정의를 같이 선택하여 출력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경우 원본 가공정의가 다수인 경우 또는 선형배열이 다층정의(여러개가 겹쳐서)된 경우 가공정의 선택이 불편하여 한 개의 최종 선형배열만 선택하면 전체적인 가공정의가 선택 되게 하기 위하여 정의된 선형배열 정의 안에 원본 가공정의를 포함하게 하는 기능입니다.
일반적인 경우는...
* 위 이미지 처럼 원본 가공정의를 선택하면 해당 가공경로만 선택됩니다.
* 위 이미지 처럼 선형배열한 가공정의를 선택하면 배열된 가공경로만 선택됩니다.
그래서 해당 가공경로(총 4개)를 출력하려면 2개 가공정의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불편(?) 때문에 해당 기능 " 실행결과 앞으로 대상 가공정의 복사"를 활성화하면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
* 위 이미지 처럼 선형배열 가공정의만 선택해도 가공경로(총 4개)가 선택됩니다.
* 만일 "대상 가공정의는 NC 작업처리 불가능 형태로 변경"을 체크(활성화) 하면 해당 원본 가공정의들은 NC데이터 출력 불가능(유령아이콘) 처리됩니다.
(잘못 원본 가공정의까지 선택하더라도 원본 가공정의는 NC데이터 출력이 안됩니다.)
* 만일 "대상 가공정의는 NC 작업처리 불가능 형태로 변경"을 체크해제(비활성화) 하면 원본 가공정의는 변동 사항이 없으며 선택 시 NC데이터가 출력(중복) 됩니다.
서브프로그램
경우에 따라 해당 배열되는 가공정의가 다수이거나 NC데이터가 대용량이거나 차후 배열되는 가공정의만 변경될 수 있는 경우 등 해당 배열되는 가공정의 NC데이터를 별도 호출 프로그램 (Subprogram)으로 변환 출력되게 하는 기능입니다.
*해당 기능으로 출력하게 되면 본체 프로그램(Mainprogram)과 호출 프로그램(Subprogram)으로 구분되어 출력됩니다.
* 실제 가공경로는 호출프로그램에 존재하며 본체프로그램은 각 워크좌표 의 원점좌표 와 배열순서 가 저장 됩니다.
증분값 : 해당 출력프로그램 좌표값 형식을 G91 증분 좌표값으로 연산하여 출력합니다.
* 메인프로그램은 G90 절댓값 으로 출력되지만 서브 프로그램(실제 가공프로그램)은 G91 증분값으로 출력됩니다.
절대값 : 해당 출력프로그램 좌표값을 메인, 서브 G90 절대좌표값으로 출력합니다.
* 절댓값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해당 가공정의별로 분리(좌표값이 틀리므로)되어 배열수량만큼 서브 프로그램이 출력됩니다.
* 그러므로 서브프로그램 내 G90지령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⑦작업 오프셋 번호 부여방식
작업오프셋 번호는 가공정의 평면 파라미터에 있는 작업 오프셋 번호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 번호는 각각 지정된 형식(번호대입)으로 해당하는 위크좌표값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1 = 자동생성 , 0 = G54 , 1 = G55 , 2 = G56 , 순차적으로 증분 됩니다.)
(중요한 것은 G54 시작점이 "0"로 시작됩니다.)
*작업 오프셋 값을 "-1" 로 지정한 경우 자동적으로 수동 에서 자동 으로 전환 됩니다.
이러한 작업 오프셋 번호에 기반하여 차후 선형배열된 가공정의 의 워크좌표값를 지정 증분 합니다.
자동 : 자동이라고 하나 만능기능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정해진 형식에 따라 정의된 가공정의에 일정한 방식에 의한 워크좌표값 증분을 시행하는 기능입니다.
일반적으로 G54부터 시작하여 +1 값만큼 순차 증분되며 중간의 변경이나 임의적인 값을 줄 수 없고 일정한 규칙으로 진행됩니다.
* 만일 위크좌표가 증분 된다면 무조건 G54 , 55 , 56 , 57 이렇게 진행된다는 의미입니다.
* 그렇다고 무조건 증분 위크좌표값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일정 증분 가능 조건이 되면 증분값이 진행됩니다.
예 : 공구평면 적용하였으나 원점 포함 비활성화 한경우
원점 포함 이 미체크 상태이므로 원점 변동(증분 될 의미가 없음)이 없으므로 G54 위크좌표 출력 후 변동 없이 전체 가공경로 가 절대값으로 출력됩니다.
공구평면 적용하고 원점포함 를 체크한 경우
각 배열될 가공정의 원점이 포함되므로(원점을 각 가공정의에 포함) 처음 배열 가공정의에 G54를 적용 후 차후 +1씩 증분 되어 워크좌표 G55 , G56 , G57 이 출력됩니다.
* 그러므로 간단하게 무조건 G54부터 순차적으로 증분 되는 워크좌표값를 적용할 경우 자동을 선택하셔도 무방 합니다.
대상 가공정의 내용 유지 : 만일의 경우 해당 원본 가공정의 (배열될 가공정의도 포함해서)의 워크좌표값을 유지하고 싶은 경우 그러한 가공정의 평면 파라미터의 작업오프셋에 지정된 오프셋 값에 기초하여 해당 워크좌표값를 출력합니다.
* 해당 가공정의 가 만약의 경우 무조건 G57 워크좌표값으로 출력되길 항상 바란다면 해당 가공정의 평면 파라미터의 작업오프셋 입력칸에 "2"를 입력하고 이 파라미터를 선택하면 이 가공정의 배열정의는 전부 일정한 G57로 출력됩니다.
* 다만 먼저 원본 가공정의 평면파라미터에 원하는 값이 수동으로 입력되어야 합니다.
새 번호 부여 : 위 2가지 파라미터는 자동적으로 적용된다면 이 기능은 수동 적용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입력한(반드시) 오프셋 시작번호값과 증분값 를 기초하여 워크좌표 값을 증분 출력합니다.
시작 : 오프셋이 시작하는 시초값을 입력합니다.
*가공정의 평면 파라미터 작업 오프셋값과 틀리게 0 = G54 , 1 = G55 , 2 = G56 등등으로 증분 됩니다.
* 그러므로 만일 G54부터 시작하고 싶으면 "0" 값을 입력하셔야 합니다.
* 시작값은 음수 마이너스 값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증분값 : 시작값으로 부터 시작하는 증분값(단계별)을 입력합니다.
입력값은 1 ~ 무한대이며 마이너스 값도 가능합니다.
만일 예제로 시작값은 "1"이고 증분값은 "2"인 경우 워크좌표값은 G55 , G57 , G59 등등으로 증분 출력됩니다.
또 시작값이 "4"이고 증분값이 "-1"인 경우 워크좌표값은 G57 , G56 , G55 , G54 순으로 출력됩니다.
* 만일 증분값이 마이너스인데 배열수량이 초과하여 G54를 넘게 되더라도 G54에서 증분 되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 : 워크좌표값 증분여부를 다른 옵션 경우 공구평면 적용(변경)할 경우에 증분 되는데 이 "경우에 따라"의 경우는 배열된 가공정의가 워크좌표값이 구분될 것 같은 형태 인경우 자동적으로 G54부터 순차적으로 워크좌표값을 증분 합니다.
즉 만일 적용방법이 좌푯값적용 + 작업 오프셋 번호 부여방식 새 번호 경우에 따라 적용 시에도 만일 배열 형태가 워크좌표값 증분이 가능하면 적용됩니다.
* 위 경우 예제를 시행하면 각 배열 가공정의가 각각 증분 된 위크좌표값을 가지게 되지만 각 가공정의 의 원점이 원본 가공정의 원점을 따라가므로 (절댓값 지정) 사실상 의미 없는 워크좌표 증분값이 지정됩니다.
공구평면으로 : 이것도 약간 이해가 어려운데 작업오프셋 증분값이 해당 가공정의 공구평면 생성여부에 따라 적용됩니다.
즉 해당 배열되는 가공정의 가 별도의 공구평면을 가지게 되면 이 공구평면에 따라 워크좌표값를 증분 되게 됩니다.
* 그러므로 적용방법에서 공구 평면를 선택하지 않으면 (좌푯값 선택상태) 이 옵션은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 아주 간단히 설명하면 해당 배열 가공정의가 3개 공구평면을 가지면 3개 G54부터 증분 출력합니다.
평면에 저장된 기존 오프셋 번호와 매칭 : 만일의 경우 원본 가공정의 평면 파라미터 작업오프셋이 수동값(즉 G54 가 아닌)을 가진 경우 그 오프셋값을 먼저 적용하여 처리합니다.
* 다만 만일 이 옵션이 활성화되었는데 새 번호 부여 등 별도 증분 관련 값이 부여되면 이후 배열되는 가공정의는 그 값의 영향을 받습니다.
* 예를 들면 만일 원본 가공정의 작업오프셋값이 수동"2" 값이 부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적용방식이 좌푯값이면 새 번호 부여 여부 관계없이 G56 이적용됩니다.
* 다른 예로 만일 원본 가공정의 작업오프셋값이 수동"2" 값이 부여되어 있는 상태 에서 적용방식이 공구평면이고 새번호 부여 가 시작값 "0" 증분값 "1" 이면 맨 처음 원본 가공정의에 해당하는 가공경로는 G56이 적용되고 이후 배열되는 가공정의는 G54에서 이미 증분값 "1" 만큼 증분 된 G55부터 시작합니다.
* 이러한 여러 옵션값에 따라 변화가 심하므로 별다른 특수사항이 아니면 G54부터 순차 증분되는 워크좌표값이 출력되길 바라시는 사용자는 적용방법은 "공구평면"+"원점포함" , 작업오프셋 번호 부여방식은 "새 번호 부여" + 시작값 + 증분값 를 사용하여 출력하시길 바랍니다.
사용자 파라미터 : 미 사전에 정의된 사용자 정의 파라미터 값에 의한 사용자 정수/실수 값 적용 시 체크하여 사용합니다.
이러한 사용자 파라미터 정의는 컨트롤 정의 설정에서 이동작업 항목에서 설정하여 사용합니다.
이제 선형배열 실무 적용 방법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하겠습니다.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 > 마스터캠 2021 활용 소소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캠 2021 활용한 소소한 팁-2 (선형배열 활용법-6) (1) | 2023.05.09 |
---|---|
마스터캠 2021 활용한 소소한 팁-2 (선형배열 활용법-5) (1) | 2023.05.07 |
마스터캠 2021 활용한 소소한 팁-2 (선형배열 활용법-3) (0) | 2023.04.30 |
마스터캠 2021 활용한 소소한 팁-2 (선형배열 활용법-2) (0) | 2023.04.23 |
마스터캠 2021 활용한 소소한 팁-2 (선형배열 활용법-1) (0) | 202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