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이동 선형배열 기능을 활용한 지그(ZIG) 적용 다량 가공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가공 대상 형태는 다음과 같이 간단한 카운터보어 와 탭 , 면취작업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5vx6e/btsegfJkD0C/1s7QXogAZdKwY2zKV4Ge7k/img.png)
지그 형태는 다음과 같이 중간에 에지클램프 을 활용한 소재 고정 방법으로 하나의 패턴에 2개씩 가공하는 방식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ugqf/btsd5Z1ra5q/gvX2RNjQV26VhkV3KVIku0/img.png)
수량은 7 x 5 x 2 = 70EA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UWmDG/btsd9M8MQ2p/9xh0EHfNtRbg3aKYQszRF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0bajX/btsd9MAUHcx/VwzyIRaqY0rvAg4xPebXC0/img.png)
먼저 지그 형상을 먼저 고려해서 배치도를 작성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OUtfZ/btsd5YaoOa5/A9T83WFdhaqaCU4XsQHZhK/img.png)
그리고 해당 가공할 소재 도형요소를 기초로 해서 가공정의를 생성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qa0Bm/btsedaOTywe/Bw79Vfv33DqUEb127YXPx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MEaXh/btsd9MOrfHx/S9dTDzBvJ1HdS54hTdUayk/img.png)
그리고 모의 가공을 위한 공작물 모델 (공작물 설정이 아닙니다.) 설정을 해줍니다.
* 여기서 기준의 공작물 설정이 아닌 공작물 모델을 선택한 이유는 현재 소재 형태가 각각 분리된 다수의 소재 을 지칭하는 것이라 공작물 설정(공작물 설정은 한 개 도형요소만 지정 가능 합니다.) 은 미지원 하므로 공작물 모델로 정의합니다.
먼저 배열된(지그위치) 형상에 따라 소재 도형요소를 이동기능 선형배열(여기서 얘기하는 선형배열이 아니고 도형요소 이동 기능)을 이용하여 배열후 솔리드 돌출기능으로 소재 규격만큼 생성해 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4pNw/btsd0Tg2Y4i/QcqscCPEZW914Vf8JPoo01/img.png)
이후 해당 가공경로 관리자창에서 공작물 모델 기능을 호출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XlnZ4/btseggVKzPm/Zq60vmJl8Hw6WuENbmPj60/img.png)
호출된 공작물 모델 파라미터 입력창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YiV4/btseh8JZXlQ/oVKlIHZnZGG91szweJOHh1/img.png)
① 이름 : 가공소재로 될 모델의 이름 를 입력합니다. (차후 구분 하기 위하여 입력하는것를 권유합니다.)
② 초기 공작물 형태 : 가공소재로 될 모델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여기서는 소재 모델을 솔리드 형태 이므로 모델을 선택한 후 화살표 표시된 커서로 해당 소재 모델링 를 선택합니다.
여기서는 윈도 기능으로 전체 소재 솔리드 요소를 선택합니다.
③ 색상 : 정의된 소재 요소의 색상을 별도 지정 합니다.
지정 안 하셔도 무방하나 다른 모델링 (지그, 고정구 등등)과 색상이 겹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별도의 색상으로 지정하는 것을 권유합니다.
이후 확인 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가공경로상에 배치됩니다.
* 공작물 모델 배치 위치는 크게 작업에 관계없습니다.
공작물 모델 은 가공정의 나 NC데이터 출력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주의사항 여기서 설정한 공작물 모델은 설정 후 다시 가공경로 관리자창 상부 아이콘 "시물레이션 옵션"에서 다시 설정해주지 않으면 모의가공에서 가공소재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BCMH/btsd0uVIMHk/vHWb8hAMroUnVJfbfPsoH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G6qjG/btselRBaY5U/8vktboXEQDiGw7180kKp71/img.png)
시물레이션 옵션에서 공작물 항목을 아까 생성한 공작물 모델로 선택 합니다.
* 여기서 저 공작물 모델 이름으로 구분하므로 공작물 모델 이름 입력이 필수입니다.
하단의 고정구 설정은 필수는 아닙니다.
다만 모의 가공 시 충돌여부 구분과 따로 구분 가능하게 색상 변경등 별도로 설정해 주면 좋은 정도입니다.
* 사실 이 고정구 설정은 머신 시물레이션에 더 필수적인 항목입니다.
여기서는 설정 안 하셔도 무방 합니다.
이제 본론인 선형배열로 들어갑니다.
우선 원본 가공정의는 아래와 같이 하단 왼쪽에 위치합니다.
* 큰 의미는 없지만 선형배열 정의 시 양수값(플러스)으로 배열간격을 입력하기 위하여 위치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uAs9z/btsd4dlnCjj/IN2INgSuwf7rnXfyafuTl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Yr8VR/btselStjiLN/TAltMQkRhmqnqCwv4vMNOK/img.png)
앞에서와 같이 우선 선형배열 기능을 호출한 후 해당 원본 가공정의를 선택합니다.
* 아래 이미지처럼 대상 가공정의 선택 창에서 선행배열 가능한 가공정의만 표시됩니다.
즉 아까 설정한 공작물 모델 같은 배열 불가 정의 내용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gvvGF/btsd4HmBTIM/digooYylkwQxccny33jn20/img.png)
선형배열 설정은.
종류 : 이동
적용방법 : 좌표값
원본 : NCI
가공관리자 대화상자 적용기준 : 작업종류
실행결과 앞으로 대상가공정의 복사 적용
으로 적용하고 이동 세부항목은 다음과 같이 진행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cT3DD/btserLuR6z1/HVwhSds92kra6EFRKhm6Nk/img.png)
적용방법 : 이동 적용방법은 X , Y 축 방향으로 배열할 것이므로 증분값으로 선택합니다.
조건 : 배열될 행과 열의 수량을 입력합니다.
* 여기서 주의 사항 앞서 선형배열 예제(두 점간 이동) 은 원본를 제외한 복사될 가공정의 수량를 입력하는것이지만 증분값에서는 원본 가공정의 를 포함한 전체 배열 수량(행과 열) 를 입력 하셔야 합니다.
즉 만일 증분값으로 가로 10EA , 세로 5EA 배열할 예정 이면 원본 포함 한 수량 X 10EA , Y 5EA 값을 입력하여야 합니다.(중요!!)
* 만일 두점간 이동의 경우 원본 포함 전체 10EA 이면 배열될 수량 값은 9EA를 입력하여야 합니다. (중요!!)
증분값 : 여기서 배열되는 간격 (X , Y) 거리값을 입력합니다.
* 이렇다는 애기는 배열되는 가공정의 가 전부 일정한 동일한 값으로 배열된다는 의미입니다.
패턴 원점 이동량 : 원본 가공정의 원점에서 배열될(패턴) 가공정의 시작 원점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확인을 클릭하여 선형배열 생성을 완료하면 아래와 같은 가공정의 배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IQhri/btseqLWuXDG/N80exM2O63vZl2Lvvbgvrk/img.png)
그리고 가공경로 관리자 창의 가공정의 내역을 보면 원본 가공정의는 포스팅 불가(유령아이콘) 상태가 되고 해당 선형배열 정의만 선택해도 전체 가공정의가 선택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82xcf/btsetJpAa6b/8oZKj4iYwhgit2ilLgmimk/img.png)
만일 "실행결과 앞으로 대상 가공정의 복사" 항목을 미적용 (체크해제)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원본 가공정의만 선형배열 정의에서 빠지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R6REA/btsetHZAzfS/5zhDDdiNKVFckFo4KvmNk1/img.png)
이러한 가공준비가 완료되어 모의가공 작업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먼저 해당 모델링(지그, 고정구)을 레벨에서 화면보기로 선택하여 최종 확인 한 후 모의 가공으로 들어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tXVKJ/btseqwdOQ9M/KcrZtUk2I9DMeFTNl3aB81/img.png)
모의가공을 실행해 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2rFgv/btsetIxp1E0/amp3jbnzlqsQQ2BSQN7Dgk/img.png)
* 만일 해당 모델링 (지그, 고정구 등)을 시물레이션 옵션에서 고정구로 등록하였으면 모의가공 보기 옵션에서 고정구를 체크하시면 해당 모델링이 보입니다.
* 만일 고정구 설정을 안 하셨으면 모의가공 보기 옵션에서 작업공작물 를 체크하셔야 모의가공에서 표시됩니다.
*또한 가공소재를 공작물 모델 설정으로 하시면 반드시 시물레이션 옵션에서 공작물 설정에서 공작물 모델로 선택되어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qpAWN/btsesejkKXV/QjBDbvpCmKwLSmPPjMQIS0/img.png)
선형배열 가공 관리자 대화상자 적용 기준을 작업순서로 적용한 경우.
만일 선형배열 가공 관리자 대화상자 적용기준을 선택순서로 적용 할 경우 가공 순서는 아래와 같이 변경됩니다.
이렇게 모의가공이 끝나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UYTsK/btses7c2iO6/hvS6aQfCwfmBGaPV7jV9N0/img.png)
보충으로 만일 선형배열 이동 세부항목에서 패턴 원점 이동량을 설정하시게 되면 아래와 같이 원본 가공정의 원점에서 입력한 좌표값만큼 이동하여 배열 가공정의가 생성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meOSF/btserEh76RD/XKXFD5O0zlDJwtkkqLu3R0/img.png)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 > 마스터캠 2021 활용 소소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캠 2021 활용한 소소한 팁-3 (곡면(모델링) 가공시 연산 속도차이점?) (0) | 2023.05.14 |
---|---|
마스터캠 2021 활용한 소소한 팁-2 (선형배열 활용법-7) (0) | 2023.05.14 |
마스터캠 2021 활용한 소소한 팁-2 (선형배열 활용법-5) (1) | 2023.05.07 |
마스터캠 2021 활용한 소소한 팁-2 (선형배열 활용법-4) (0) | 2023.05.01 |
마스터캠 2021 활용한 소소한 팁-2 (선형배열 활용법-3) (0) | 2023.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