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축 바이스 에서 STL 모델링 가공해 보기.(아이언맨)

반응형

안녕하십니까. 


여전히 회사에 일이 없어 잠시 경험상 요즘 유행하는 3D 가공을 한번 해보 왔습니다. 


우선 3 축 바이스상에서 가공하는 것을 기준하여 작업 합니다. 


우선 3D 데이터 구하기 가 무척 어렵네요 


여러 프리 3DDATA 사이트에 들어가 보았지만 거의 전부 3D 프린터용 데이터(STL)이고 또한 이러한 출력을 감안해서 
작업한 것이라 언더컷 부분이 너무 많습니다. 


단순히 바이스 상에서 돌려서 깎기가 어려운 부분이 너무 많아 인덱스에 연결해해 볼까 하다가 (마침 인덱스 을 탈거 했 
습니다.) 경험상 하는 것이니 우선 바이스 상에서 작업하는 것으로 하였습니다. 


처음에 여기 카페에도 있는 여신 모델링 을 해보려고 했지만 우선 데이터가 STL이고 또한 곡면 데이터가 너무 조밀해 
변환 시 마컴이 버티지 못하여 다른 것을 찾아 보던 중 아이언맨 데이터가 하나 발견했습니다. 


친절하게 몸체, 양팔, 양다리 로 분리되어 있어 고민 끝에 가공성(언더컷) 문제로 양팔은 제거하고 작업하기로 하였습 
니다. 

 


우선 소재는 알루미늄 으로 규격은 155x 44x 44로 설정하고 (잔재 규격 따라가기...) 우선 상 하 부 에 각도 결정용 팔각 
형으로 가공합니다. 

우선 마캠상에서 해당 위치에 솔리드 기능으로 해당 소재을 그린후 소재 설정에서 그 솔리드 형상을 소재로 인식시킨 후 
바이스 모델링을 불려드려 각자의 위치에 배치 시킵니다. 

그리고 아이언맨 데이터을 올려놓습니다. 

가공 방법은 특별한것 없이 곡면 처리가 되었으므로 곡면 가공하였습니다. 


1차 곡면 황삭 포켓 가공으로 6파이 평 엔드밀로 가공했습니다. 

2차 중삭 곡면 정삭 등고선 가공 으로 6파이 볼엔드 밀로 작업하였습니다. 


여기서 정삭에서 다시 애기 하겠지만 중삭의 중요성을 여기서 느끼었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히 황삭후 정삭 들어가기 전에 계단 모양 형상을 없애주면 되는 것으로 알고 작업했다가 엔드밀 여러 뿌 
러벅 었습니다. 

3차 정삭 곡면 정삭 스컬롭 가공으로 3파이 볼 엔드밀(많이 희생당한) 하였습니다. 

여기서 3파이 볼 엔드밀이 많이 희생되었네요.

 
원인은 3파이 볼엔드밀이 리브 엔드밀 (절삭부 3파이 싱크 부분 6파이)이라 캠 작업 시 공구 중심 영역을 내측에 두고 작 
업 하였는데 이경우 공구 씽크는 6파이인데 절삭부는 3파이 이므로 3파이 기준으로 가공 경로가 작성되어 소재와 싱 
크 부분 접촉이 확인 불가능(이라 쓰고 잘 살펴보면 되지...) 하여 가공중 접촉되는 것을 파악 못하고 그냥 가공해버렸네 
요. 

그래서 해결책으로 예상 접촉 부분을 전부 깍아버렸습니다. 

이외에도 등고선 가공 또는 스컬롭 가공 시 절벽 같이 급경사로 올라가는 (내려가는 것은 좀 괜찮아 보입니다.) 가공 시 
파손됩니다. 

이외에도 발바닥쪽으로 문제가 많아 실제 가공은 다음 순서로 하였습니다. 


정면(황, 정삭) - 뒤면(황삭) - 측면(황, 정삭) x2 - 뒤면(정삭) - 위면(황, 정삭) 
이제는 좀 빨리 진행 합니다. 

자 이제 남은 것은 양팔은 따로 만들어 붙여주어야 하는데 이것은 다음 기회에.... 


정말 경험치 많이 얻은 가공 입니다. (휴 취미로 해서 다행이지 업무 었으면 스트레스가...) 


참고로 STL 화일은 서피스 방식 전환하는 방법은 Geomagic Design 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 서피스 생성으로 변 
환을 성공 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