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과정은 머시닝(MCT) 가공과정에서 사전 정보 없이 접하게 되신 분들에게 아주 기초적 사항에 대한 설명을 드리는 과정입니다.
그러므로 무척 간단한 기본적인 사항부터 시작합니다.
먼저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작업할 장비(머시닝 기계)를 작동시킬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 필자 사정에 따라 장비의 특성은 DN솔리션스(구 두산) 장비에 기준하여 설명합니다.
머시닝 전원 공급
그럼 우선 해당 장비의 전원을 공급하여야 합니다.
그럼 우선 머시닝 장비의 뒤 (강전반 위치)로 이동합니다.
장비뒤 강전반 위치에 가면 다음과 같은 전원 차단/공급 스위치(N.F.B SWITCH)가 있습니다.
왼쪽이 전원이 차단된 상태이고 오른쪽이 전원이 공급 중인 상태입니다.
먼저 머시닝에 전원을 공급할 차례 이므로 왼쪽(OFF) 상태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정상적인 경우 왼쪽처럼 스위치 회전방지 (임의적인 전원공급 방지)용 락(LOCK)이 열려있는(돌출) 상태 일 것입니다.
그럼 그것을 눌러 스위치 레버 안으로 집어넣고 레버를 시계방향으로 전원공급 위치로 돌려야 합니다.
* 다만 보통의 경우 회전방지 락이 스프링 탄력 문제로 작동하지 않아 (미 돌출상태) 락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의 경우는 위와 같이 스위치 레버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딸깍 걸리는 소리와 함께 머시닝 장비에 전원이 공급됩니다.
만일 해당 장비에 오토파워 (AUTO POWER " APF")가 설치되어 있어 퇴근 후에도 무인가동 상태에서 다음날 아침 출근 시 전원 차단(OFF) 되어 있는 경우는 살짝 틀립니다.
우선 만일 오토파워로 전원 차단이 되어 있으면 해당 전원 스위치 레버는 아래와 같은 상태를 유지합니다.
레버를 전원 차단 위치로 전환 시 OFF위치(수평)에서 조금 더 돌리시는 것이 좋습니다.
*장비에 따라 정말 살짝만 더 돌리시면 됩니다.
이 상태에서 보통의 전원 상태와 같이 전원공급 위치까지 돌려주시면 됩니다.
*스위치 레버 회전 시 적절한 위치(ON / OFF)에 도달하면 딸깍 소리가 나므로 이에 따라 전환됨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하시면 우선적으로 머시닝 자체에 전원 공급은 되었지만 실직적으로 장비 구동체에 전원이 공급된 것은 아닙니다.
다시 머시닝 장비 앞의 조작반 앞으로 이동합니다.
조작반의 버턴 중 ①②③를 조작하여 머시닝 장비가 가동 가능상태로 전환합니다.
* 버턴 ①②③를 연타(연속적으로) 조작하라는 것은 아닙니다.
① NC(화낙 시스템)에 전원 공급 버턴(NC POWER ON BUTTON)
우선 조작반에서 이 버턴"①"를 눌러 머시닝 수치제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합니다.
* 이 과정은 마치 일반적인 컴퓨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과 동일하며 전원 공급 후 수치제어 시스템이 작동완료(부팅완료) 될 때까지 대기하여야 합니다.
NC 시스템 전원공급 버턴 (ON)
부팅 중 화낙 시스템
② 비상정지버턴 (EMERGENCY STOP BUTTON)
화낙 시스템이 부팅 완료하여 가동 중 화면이 출력되면 비상정지 버턴을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잠금상태에서 풀림 상태로 전환시킵니다.
* 만일 전원 차단시 비상정지버턴이 눌러져(작동) 있으면 조작반 화면의 오른쪽 하단(현재 작동 모드 표시칸) 에 ENG 경고 표시가 점등하고 있을것 입니다.
이는 정상적인 상태 이므로 현재 작동중인 비상정지 버턴를 해제조치 하시면 됩니다.
다만 전원 공급초기(운전준비 버턴이 활성화 되기전) 에는 비상정지 버턴 해제후 운전준비 (머신레디) 버턴 누르기전 까지 ENG 알람이 유지 됩니다.
* 비상정지 버턴이 적용된(눌려짐) 상태이면 비상정지 버턴을 시계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돌리시면(대략 45도 정도) 눌려진 버턴이 돌출되어 비상정지 상태가 해제됩니다.
* 만일 전원 차단 시 이 비상정지버턴을 누르지않고 전원 차단시 이 비상정지 버턴이 작동된 상태가 아니므로 이과정를 생략하고 다음과정 으로 넘어 갈수 있으나 정식 기계 조작 방침은 전원 차단/공급시 비상정지 버턴를 작동하여야 합니다.
③ 운전준비 버턴 (MACHINE READT BUTTON)
여기까지는 전자제어적으로 화낙 시스템이 가동(부팅)된 상태이므로 실제 머시닝 가동을 위한 유압 시스템 (유압펌프) 작동을 시작합니다.
* 지금까지 절차를 잘 따르셨으면 이 운전준비(Machine ready)버턴이 점등 하면서 운전준비 상태임 을 표시 합니다.
* 위 절차를 제대로 하셨으면 이제 이 운전준비 버턴를 눌러 머시닝 장비를 가동합니다.
머신 레디 버턴
가동준비 완료 된 조작판 화면 상태
한 줄 요약
강전반뒤 전원 차단/공급 스위치 "ON" -> 조작반 NC 전원공급 스위치 버턴 누름 -> 부팅 중 -> 비상정지 버턴 해제 -> 머신레디 버턴 누름 -> 머시닝 가동...
머시닝 전원 차단
이번에는 머시닝 가동이 끝나서 머시닝 장비의 전원을 차단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 사실 절차 자체는 전원 공급과 반대로 하신다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살짝 틀립니다.)
조작반의 버턴 중 ②④를 조작하여 머시닝 장비가 가동 중지상태로 전환합니다.
② 비상정지 버턴
비상정지 버턴을 눌러 (이때 쿵하는 유압계통 압력 저하되는 소리가 납니다.) 머시닝 장비의 가동 유압을 떨어뜨려 가동 중지상태를 만듭니다.
*비상정지 버턴를 눌러 활성화를 하면 조작반 화면에는 비상정지 알람 표시가 점등합니다.(머시닝 위 삼색 상태등도 적색으로 전등 합니다.
④ NC(화낙 시스템)에 전원 차단 버턴(NC POWER OFF BUTTON)
머시닝 장비를 가동중지 상태로 만들었으니 이제 NC시스템 전원을 차단하여 조작판 작동 종료를 합니다.
강전반뒤 머시닝장비 전원 공급/차단 스위치를 OFF 위로 돌려 해당 머시닝 장비의 전원을 차단합니다.
* 이후 사용자 장비 환경에 따라 에어시스템 밸브 차단 등의 추가 조치를 합니다.
정리를 하면
강전반뒤 전워 차단/공급 스위치 역활
* 머시닝내 전기관련 장치에 기본적인 전원 공급/차단 역활 (마치 멀티탭의 전원스위치 같은 역활)
* 전원만 공급 / 차단 하지 실제 가동에 필요한 요소의 가동에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 주축 스핀들 환기팬과 머시닝내 작업등에 전원이 공급 / 차단 됩니다.
비상정지 버턴
* 머시닝내 가동장치에 대한 파워(유압/전원)를 차단하여 유사시 비상정지를 실시 합니다.
* 가동 종료시 머시닝내 유압장치에 대한 유압부하를 줄이는 역활를 합니다.
조작반 운전 준비 버턴
* 전원 공급과 유압 제한 해제가 된 머시닝내 장치에 유압를 가하기 위한 유압계통 펌프 가동을 합니다.
* 실직적인 머시닝 가동상태를 유지 합니다.
조작반 NC전원 ON/OFF 버턴
* 조작반 의 모니터 , 절삭유 펌프 가동 , 강전반 환기팬 작동 , 조작반 조작버턴류 전원 공급 , NC 수치제어용 엠프 전원 공급 / 차단를 실행 합니다.
이다음에는 원점복귀 와 머시닝 가동 종료 시 각 축(배드 위치, 스핀들 높이)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3개월 미만 초보자 가 보는 머시닝 교재 (초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05(전송장치(I/O채널)종류) (0) | 2023.07.09 |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04(머시닝 장비 워밍업(WARMING UP) 방법) (0) | 2023.06.26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03(머시닝 장비 각축 원점복귀방법) (2) | 2023.06.18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02(장비 전원 ON상태에서 강전반 도어 개폐방법) (0) | 2023.06.17 |
3개월 미만 초보자 가 보는 머시닝 교재 (초안본 입니다.) (0) | 202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