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캠 (mastercam) 구매 하실 때 관련 팁 에 관하여

반응형

가공 업계에 진입하여 장비은 구매 했는데 이을 응용할 캠(cam)을 구매 못하여 이에 대하여 검토하시고자 하시는 분들을 위 한 팁입니다.

먼저 마스터캠 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마스터캠 은 미국의 CNC Software, LLC의 가공 관련 톨 패스 생성 프로그램입니다.
https://www.mastercam.com/

Advanced Solutions for Manufacturing | Mastercam

Mastercam is a leading CAD/CAM software solution used in industry and education worldwide.

www.mastercam.com

(2022년 5월 현재 샌드빅 (공구 제작) 사 에 매각 되어 이전을 준비 중입니다.)

활용 범위는 여러 가지 가 있으나 주로 절삭 공구 을 사용 한 밀링류(mill) , 3D 밀링 , 다축 가공 , 선반류 등 가공 기계에 필요한 톨 패스 생성 , 검증 ,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한국에서 는 한국 엠텍에서 판매 , 관리합니다.
https://mastercam.co.kr/kor/main/

한국엠텍

Mastercam creates software and services that solve the world’s manufacturing challenges.

mastercam.co.kr

* 참고로 한국 엠텍에서 는 마스터캠 관련 판매 , 관리 , 인증 , 교육 관련 업무 을 진행합니다. (단속 업무는 제외입니다.)

이러한 관계로 한국에서 마스터캠을 구매하고자 하면 오직 한국 엠텍에서 만 가능합니다.
(또는 한국 엠텍 산하 영업자에 한하여 정상 진행됩니다. , 이 관계는 항상 구매 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우선 현재 판매 최신 버전 은 2022 ( 2021~2022년 기준 )입니다.

구매 시 고려하셔야 할 사항 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구매 가능 한 버전 은 구매 시점에서 판매 중 인 최신 버전만 구매 가능합니다.

항상 정상적인 판매는 구매 시점에 최신 버전만 구매 가능합니다.

만일 구 버전이나 최신 버전과 구 버전을 같이 응용하고 싶으면 어느 한도까지는 가능합니다.

얼마 전까지 마스터캠 9.1 버전을 요청 시 같이 깔아주어 사용 가능하게 하였으나 지금 은 오직 2000대 버전만 공식적으로 설치해줍니다.

9.1 버전 설치 가 안 되는 이유가 실제적으로 윈도 10 환경 에서 9.1 이 잘 실행 안되는 이유 도 있으나 정상적인 상황 9.1 버전 은 원도우 XP 버전까지 지원 (실행 가능) 합니다.

그러므로 요즘 구매 가능 한 신규 컴퓨터는 전부 윈도 10버전 이상 만 지원 하므로 정상적인 마스터캠 9.1 실행 이 가능한 원도우 XP버전 은 사용 불가능합니다. (윈도 XP 설치 불가능)

이러한 이유로 지금 은 윈도 10 버전을 지원 가능 한 2000대 버전만 구버전을 같이 응용 가능합니다.

이것 도 2022 버전 (2021 6월 이후) 경우 라이센스 방식이 전의 키 USB 방식 에서 시리얼 입력 으로 변경 되면서 이후 부터는 구버전 사용 지원 이 안 될 가능성 이 많고 된다 해도 2022 버전 이후 것 만 가능 하게 됩니다.

* 이러한 이유로 만일 2022 버전 이전 구버전을 유지보수 연장 으로 2022버전 전환시 구버전 을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2. 구매하고자 하는 현 마스터캠의 종류.

현재 구매 가능 한 마스터캠 세부 버전 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밀링 2D : 2D 밀링 관련 툴패스 사용 가능 / 곡면 기능 중 일부(한 개 면만 적용 가능) 가능 / 다축 불가 / 모델링 가능 / 선반 기능 불가

2. 밀링 3D : 2 ~ 3D 밀링 관련 톨 패스 전부 사용 가능 / 곡면 가공 기능 가능 / 부가축(4축,인덱스) 가능 / 일부 다축 기능 / 모델링 가능 / 선반 기능 불가

3. 선반(2축) : 2축 기반 선반 관련 툴패스 사용 가능 / 모델링 가능 / 밀링 기능 불가

4. 다축 (5축) : 밀링 3D 기능 + 다축 톨패스 전부 사용 가능 / 모델링 가능 / 선반 기능 불가

5. 턴밀 or 임팔라 : 다축 기능에 옵션으로 추가됨


가격대는 대략 적으로 (2021년 10월 기준) 2022 버전 기준

1. 밀링 2D : 800~900
2. 밀링 3D : 2,300
3. 선반 : 700
4. 밀링 2D + 선반 : 900 + 400
5. 밀링 3D + 선반 : 2,300 + 400
6. 다축 : 밀링 3D 2,700 + 500 + 포스트 구축 500
7. 임팔라 가공 : 다축 + 2000 + 포스트 구축 @

대략적인 가격이며 옵션에 따라 가격 이 변동됩니다.
(유지 보전 기간 : 구입 후 1년 유지 , 1년 후 별도 유지 보수 비용 발생)

유지 보수 기간 이란

해당 소프트 웨어 사용에 있어 한국 엠텍에서 제공하는 (기초 교육 , 포스트 수정 , 해당 제품에 대한 문의 , 차후 버전에 대한 업그레이드)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처음 구매 후 1년간 별도 비용 없이 유지되며 1년 후 별도 비용(구매가의 10-15%선)을 내야 1년 단위로 갱신하여야 하며 만일 중간 유지 보수 을 신청하지 않은 경우 차후 다시 유지 보수 을 유지하려면 휴유 유지 보수 기간을 포함 한 전체 비용을 납부하셔야 계속적인 유지 보수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 사용 관련..

지금 까지 는 하드웨어 락 (USB)을 제공하였습니다.
이경우 USB 만 연결하면 해당 컴퓨터에서 해당 소프트 을 사용 가능 하여 직장 또는 자택 등에서 USB 만 들고 다니면서 다수의 (다만 항상 1개 컴퓨터만 사용 가능 / 동시 사용 불가) 컴퓨터 에 교체적으로 사용 이 가능하였습니다.
이때 별도의 인증 절차 을 진행하지 않습니다.

이후 2022 버전 이후 소프트 락 (시리얼 번호) 사용 이후 최초 설치 시 이 시리얼 번호 을 입력 인증 (인터넷 연결 필요) 하면 그 해당 컴퓨터만 사용 이 허락되며 만일 다른 컴퓨터 (교체 , 고장 등등 의 이유로)로 사용을 이전하려면 해당 컴퓨터에서 해당 시리얼 번호 을 인증 절차 을 걸쳐 시리얼 번호 을 인증 해제 (인터넷 연결 필요) 후 다시 다른 컴퓨터 에서 인증 절차 을 받아 사용 이 가능하며 다시 원래 컴퓨터로 돌아 갈려면 다시 인증 해제 절차 와 재 인증 승인 절차 을 진행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 은 한국 엠텍 에 모니터 됩니다.

그러므로 다수의 인증 해제 재인증 절차는 사실상 불편함 을 감수하여야 하며 만일 이러한 인증 절차 을 순서대로 진행하지 않은 경우 해당 시리얼 번호는 사용 중지 가 되며 한국 엠텍 에 영업시간 내 문의하여 해당 인증 문제 을 소명한 후 재 인증 절차 을 진행하여 합니다.

이점 은 분실(?) 자체는 없다는 것 (다만 한국 엠텍 에 분실(?) 소명 절차 을 진행하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 특이사항 으로 현재 사용중인 컴퓨터 에서 시리얼번호 인증 하여 사용중 인증 해제 절차 없이 컴퓨터 고장 이나 분실 또는 포멧 등의 절차(?) 을 진행하게 되시면 새로운 시스템 에서 재사용 이 안됩니다.
 
*만일 시리얼 번호 자체 을 분실 한 경우 에는 최악 이됩니다.
 
* 현재 엠텍에서는 기본적 으로 인증 해제 절차 을 거치지 않고 새로운 시스템에서 그 인증 해제 절차 을 준수 하지 못한 시리얼 번호 (라이센스) 을 사용 하는 것을 인정 하지 않고 있습니다.
 
 즉 라이센스 가 말 그대로 분실 되는 것 입니다.
 
이는 라이센스 당 1대 시스템 사용 을 전제로 한 소프트웨어 사용권리 을 구매 한것 이므로 1개 라이센스 당 1개 시스템 을 사용중 이라는 것 을 관리 할 의무 가 사용자 에게 있다는 전제 하에서 발생 하는 일 입니다.
 
* 이는 사실 요즘 발매 하는 주요 소프트 웨어 는 거의 같은 형태 라이센스 발행 을 유지 합니다.
 
* 다만 정도 의 차이가 있을 뿐 입니다.
 
그러므로 적절한 절차 없이 인증 관련 문제 가 발생 하면 쉽게 라이센스 갱신 이 어려므로 시스템 유지 에 각별한 주의 가 필요하며 만일 의 경우 을 대비 하여 해당 시스템 에 대한 백업(저장 장치 에 대한 전체 백업) 을 필히 하셔야 하며 만일 의 경우 시스템 교체 또는 수리 등의 경우 필히 우선적으로 인증 해제 절차 을 진행 하셔야 합니다.
 
* 제일 최악 은 시스템 자체도 분실 하고 시리얼 번호 백업 도 안한 경우 입니다.
* 다만 해당 업체 소프트 웨어 사용권 구매 기록 이 엠텍 에 있으므로 소명 하시면 사용이 가능 하나 많은 비용 이 발생 합니다. (거의 새로 구매가 에 준하는...)

참고로 전 하드웨어 락 (USB) 경우 만일 분실 시 즉각적인 재 제공이 어렵고 (USB는 미국 본사만 제공 가능하며 분실 시 이에 대한 소명 절차 을 진행 후 미국 본사에서 직접 받아야 (한국 엠텍 에는 재고 없음) 하는 등 복잡한 절차 와 상당한 비용(아주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을 지불하여야 합니다.

또한 앞으로 이러한 소프트웨어 판매 방식에 따라 사실상 소프트웨어 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한정된 기간 내 해당 소프트웨어 사용권 을 구매 하는 방식으로 진행 되므로 만일 하드웨어 락 또는 시리얼 번호 분실 , 파손 등 의 문제는 전부 해당 사용자 가 부담 하는 방식 으로 진행됩니다.

그러므로 처음 마스터캠 구매 시 본 사용자의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해당 버전을 구매하여야 합니다.

참고로 마스터캠 은 사업자 등록 번호가 존재하는 사업자 , 법인 등 에게 만 판매 가 가능하며 일반 사용자는 구매 불가능합니다.

이미 구매한 사용자는 자신의 소프트 웨어 사용 권리 을 타인 (사업자 , 법인 등) 에게 양도 가능 하나 실직적으로 양도 절차 에 한국 엠텍 이 관여 (해당 소프트웨어 의 사용자 재등록) 하여 그 양도 비용 이 해당 소프트 웨어 가격 의 50~60% 선 을 요구 하므로 실직적 으로 양도 시 금액 적인 메리트는 없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