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D가공경로에 대하여 -37(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29(로터리 축 조절-실무8))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 롤가공 경로를 생성하는 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이번에 다음과 같은 형태의 스크류(?) 가공을 작업해 봅니다. 모델링 형태는 처음 시작점(좌측면에서 볼 때 A-90도 방향)에서 90도 CW 방향으로 직선 회전 후(A0) 이어서 CW 방향으로 피치 100 간격으로 2.5회전(3회전)으로 같은 단면이 헬릭스 이동 합니다. 이러한 형태는 이전과 같이 와이어프레임을 생성하여 그 와이어프레임을 기초로 해서 체인 선택하여 가공경로(윤곽 가공경로)을 활용하는 방식은 적용할 수 없습니다.* 사실 롤가공 적용시 이러한 방법은 만일 가공공차나 조립되는 상대물이 있는 경우 권장하기 어렵습니다. 이유는 롤가공이 하나의 축으로 기준으로 단순히 말기(롤이동)하는 방식이라 해당 가공경로(가공면)가 약간 왜곡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