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4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 생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가공 공작물은 저번것을 계속 활용합니다. 그러면 우선 이 공작물의 가공곡면을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로 가공 시 고려해봐야 할 사항을 한 가지 설명하겠습니다. 흔히 곡면가공(볼엔드밀 종류 사용)시 가공 방향이 위에서 아래보다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것을 선호한다고 합니다. 이것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우선적으로 생각해 볼 것이 다음과 같습니다. 1. 하향/상향 가공문제 통상적으로 2D 윤곽가공 보정방향에 기준하여 생각하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것이 하향 가공, 위에서 내려오면 상향가공이 됩니다. * 물론 이것은 가공정의 생성시 작업자가 임의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2. 볼엔드밀 형태 공구 절삭 접촉면의 상이한 점 ..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5. 2. 21.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3
이번에는 저번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 생성 방법에 대한 여러 예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먼저 간단하게 일정한 스컬롭 가공정의 생성법을 배워보겠습니다. 가공 대상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일단 가공조건은 가공물 상단 높이 Z0.0에서 하단 높이 Z-35.0(바닥면 제외)까지 진행하며 나머지 부분(회피영역)은 먼저 선 가공 완료되고 현재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 적용 부분은 가공여유 0.1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시작합니다.* 특히 스컬롭 가공경로는 사전에 황/중삭 가공을 통해서 가공부하를 적게 받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별도 미절삭 부분이 많이 남아 있는 부분을 자동 감지(?)하지 못하므로 경우에 따라 푹 박는다는 느낌으로 가공경로가 생성되는 경향(일반적인 스컬롭이 좀 심합니다.)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5. 2. 15.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스컬롭(Scallop) 가공경로-5
저번에 이어 이번에도 스컬롭 가공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저번에 돌출부에 생성된 스컬롭 가공경로를 다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해당 스컬롭 가공경로 파라미터 값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습니다. 그렇게 해서 생성된 스컬롭 가공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런데 경로확인으로 살펴본 경로가 돌출부 외곽바닥(Z-22.225) 쪽으로 바로 진입하여 상부 쪽으로 상승하면서 경로를 이송하다가 돌출부 중간 높이 근처까지 이송되자 다시 수직복귀 하여 가공물 상부(최저높이)에서 다시 가공경로 이송하며 내려와서 돌출부 중간 높이까지 이송하고 가공경로를 마감합니다. 이것은 해당 스컬롭 경로 절삭 파라미터 항목 중 절삭형태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확장" 항목이 체크되어 있지 않은 상태(비활성화)이면 이러한 이송형태를 ..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 · 2024.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