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캠 2021 활용한 소소한 팁-4 (각인 공정 관련 매크로 관련하여)

반응형

 이번에는 흔히 제품 시리얼 번호 각인 매크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시리얼(제품번호) 매크로는 흔히 양산 품목의 각각 가공 완료된 제품 순번대로 지정된 번호를 증분값으로 각인 작업하는 과정 자체를 자동적(약간 반자동) 처리해주는 매크로(MACRO)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 또한 생산 날짜(가공날짜) 기재도 같은 방식으로 실행 가능합니다.

 각인 작업자체는 볼공구 또는 각인공구로 단선체 형태의 문자를 살짝만 그어주는(윤곽가공) 형식으로 하겠습니다.

* 깊은 각인으로 포켓가공을 해야 하는 각인 경우도 해당되지만 너무 범위가 넓어지므로 생략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먼저 예제를 들어보겠습니다.

아래 같은 작업에 작은 제품번호를 각인 하는 공정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위와같이 가공이 완료된 후 제품번호 각인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보통의 경우(?) 일일이 번호를 증분 한 것을 각각 가공정의를 만들어서 제품번호를 별도 프로그램 명으로 사용하여 완료 후 별도로 불러드려서 작업하는 방식을 보통(?) 사용합니다.

예로:
O0000 : 제품 전체 가공정의 프로그램.
O0001 : 제품번호 0001번 각인 프로그램.
O0002 : 제품번호 0002번 각인 프로그램.
.
.
.
 등 하나 가공 할때마다 각인 완료된 프로그램은 완료 후 삭제하고 다시 전체 가공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다음 각인번호 프로그램 실행, 삭제 다시 전체 가공 프로그램 실행...... 을 반복합니다.

 이경우 전체 가공제품 수량이 작은경우 잠시의 수공예 캠작업으로 정리되지만 가공수량이 많거나 또는 가공일자를 같이 각인해야 하는 경우 등 여러가지 이유로 작업이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이러한 제품번호(증분되는) 각인작업을 매크로 프로그램 적용하여 전체 가공프로그램만 계속 실행시키면 각인 매크로 프로그램에 의하여 계속 증분되어 각인 작업을 실행되길 원합니다.

 이러한 각인 프로그램은 특정 프로그램(마스터캠이라던가?)에서 별도 기능으로 제공하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보통의 경우 작업자가 본인의 필요에 따라 작성하여 사용됩니다.

 

* 이러한 문제로 작업환경를 가리지 않는 범용적인 각인 매크로 가  없는 이유 이기는 합니다. 다들 특성이 다 달라서....


* 이러한 점은 사실 각각 작업환경(각인의 형태, 작업자 성향 등)에 따라 틀리기 때문에 가능한 작업자가 이러한 매크로 프로그램 활용법을 인식하여 본인의 작업 환경에 맞게 작업하시길 바랍니다.


 각인 프로그램의 기본적인 방법 (방법론 간단설명 하겠습니다.)

 먼저 각인될 문자 또는 숫자 의 가공정의를 생성합니다.
*즉 각인 작업할 문자 "A~Z등" , 숫자"0~9"의 가공경로 (NC 데이터)를 생성할 가공정의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러한 가공정의(글자)를 우선적으로 일괄된 가공원점으로 이동하여 별도 지정된 레벨별로 저장 합니다.

* 위와 같이 각각의 글자를 위치 잡기 편하게 일종의 박스에 담아서 미리 고려된 원점위치으로 이동시킵니다.
* 이러한 글자의 원점이나 어떻게 각인 작업을 할 것인지 사전에 잠시 고민해보시고 어떻게 할것인지 를 정한 다음에 하시기 바랍니다.

 

* 이것이 왜 그런가 하면 글자 가공경로 출력 시 절댓값 또는 증분값으로 출력할 것인지 생각해 보셔야 합니다.
* 레벨명이나 이름등은  특별한 제한조건 없이 작업자가 식별하기 용이한 것으로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글자 하나하나당 가공정의를 생성합니다.

가공경로는 간단하게 윤곽가공(공구보정 안함) 으로 해서 원도우 체인 으로 시작점만 적절하게(공구 진입방향고려해서) 적용 하였습니다.

 

 이때 약간 논외로 볼엔드밀로 가공한다는 전제에서 만일 2파이 볼엔드밀 로 글자폭(각인된) 1.0mm로 작업하려면 볼엔드밀을 얼마 내려야 하나요? 하는 질문의 답중 하나를 말씀드리겠습니다.

* 사실 이것은 볼엔드밀 공구경 원 그리고 하단에 각인폭만큼 최단선으로 원하는 폭만큼 선를 그린후 원에서 직선 간격를 측정하면 나옵니다.

* 위 표에서 원하는 공구경 과 각인 깊이 를 적용시 각인되는 폭이 나오니 이를 참조하여 각인 깊이를 정의 하시면 됩니다.

 

 

그런 후 제품번호 배치할 위치를 정의합니다.

*이때 글자 간격이나 배열등을 잘 고려하셔서 하여야 합니다.(겹치거나 간격이 이상한경우가 있어 폰트에 따라)

 이러한 글자 배치 위치에 앞에서 글자 하나당 정의된 기공정의(NC데이터)를 호출하거나 프로그램 내 구간 (GOTO) 하여 불러드려 배치하게 됩니다.

 이때 적용될 방법이 크게 두 가지입니다.


 앞에 정의가공정의는 보통의 경우 원점(여기 예에서는 박스 왼쪽 상단위치) 기준 절댓값으로 출력됩니다.

* G55 등 적용되는 워크좌표 적용순번은 작업자 환경에 맞게 적용하시면됩니다. 

 

 이것을 각각의 글자 위치에 배치하려면 가장 간단한 방법이 각 글자배치 원점을 각각 잔여 워크좌표 (보통의 경우 G54는 제품 가공에 사용된다는 조건하에 나머지 워크좌표)에 지정하여 절대좌표로 출력된 글자당 가공경로를 불러드리는 것입니다.


* 이러한 경우 한번 생성된 글자 가공경로(절대값)를 재활용이 가능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글자배치를 살짝 수정도 가능한 편의점이 있으나 대신 다량의 워크좌표 값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경우 확장 워크좌표 값 G54 P1~G54P48등)를 사용합니다.) 다수의 바이스 공정의 경우는 고려가 필요합니다.

 만일 워크좌표를 이용할 수 없거나 불편하신 경우 현재 제품 가공원점에서 기준한 절대좌표값으로 각각 글자배치별로 글자 가공정의를 절대값으로 정의하여 각각 불러드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 이경우 4자리 이므로 숫자만 보면 40개의 가공경로가 필요합니다.

* 만일 이러한 것이 불필요하다 생각되면 우선 0~9 10개의 가공경로(상대값으로 출력된)를 저장 후 글자 각인 때마다 각 배치별로 절대값으로 각인 위치 이동후 그 위치에서 상대값 가공경로를 불러드리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러한 준비가 완료되었으면 다음으로 생각할 것은 어떻게 각인매크로를 생성할 것인지 궁리하여야 합니다.

 매크로 프로그램 구성방법은 우선 아래와 같이 생각해 봅니다.

 

1. 숫자별 가공경로 생성(절대값)된것을 별도 호출프로그램 형식으로 저장 하고 각숫자단위(천,백,십,일)별로 워크좌표를 설정하고 이 워크좌표를 활용하여 매크로 프로그램에서 각 하나씩 숫자 가공경로를 호출하여 해당 단위별 워크좌표에 각인작업를 하는 경우 입니다.

*제일 단순 간단한 방법 입니다.

 

2. 숫자별 가공경로 생성(상대값)된것을 별도 호출프로그램 형식으로 저장 하고 각숫자단위(천,백,십,일)별로 배치원점(현 가공제품 원점에 기준한 절대값)를 설정하고 이 배치원점를 활용하여 매크로 프로그램에서 각 하나씩 숫자 가공경로를 호출하여 해당 단위별 배치원점에 절대값 이동 후 해당 숫자 각인 프로그램(상대값)를 실행하여 각인작업하는 경우 입니다.

* 장비의 워크좌표 를 쓰질않아 평소작업 처럼 할수 있으나 매크로 프로그램 이 다소 복잡해 질수 있으며 각인 프로그램은 재활용이 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숫자별 가공경로 생성(상대값)된것을 매크로 프로그램 하단에 배치하고(호출하지 않음) 각숫자단위(천,백,십,일)별로 배치원점(현 가공제품 원점에 기준한 절대값)를 설정하고 이 배치원점를 활용하여 매크로 프로그램에서 각 하나씩 숫자 가공경로로 이동(GOTO)하여 해당 단위별 배치원점에 절대값 이동 후 해당 숫자 각인 프로그램(상대값)를 실행하여 각인작업하는 경우 입니다.

* 장비의 워크좌표 를 쓰질않아 평소작업 처럼 할수 있고 별도 매크로 프로그램이 아닌 가공프로그램내 배치 할수 있으나매크로 프로그램 이 많이 복잡해 질수 있으며 각인 프로그램은 재활용이 가능 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가공프로그램에서 각인 매크로 프로그램을 범용적으로 (재활용가능) 호출해 사용할수 있습니다.


 이러한 매크로 과정을 다시 1~3번까지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