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네이션님의 개인사용 목적의 포스트매니저(PostManager) "α버전" 소개

반응형

 

 

 

 이번에는 네이버 카페 마캠뽀개기 카페에서 활동하셨던 알루미네이션님의 개인 작업용으로 개발 중인 포스트매니저(PostManager)의 알파버전(기능 확인용)을 소개합니다.

 포스트매니저의 기능은 일반적인 가공프로그램(마스터캠 기준)의 포스팅 과정시 작업자의 성향 또는 작업환경에 따라 출력되는 가공프로그램(NC 데이터)의 출력형식을 변경하고자 할때 좀 더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통상의 경우는 포스트의 출력형식을 변경하려면 그 출력형태의 맞는 포스트를 골라서 쓰거나 아니면 그때그때 수기로 해당 포스트 파일 내용을 변경하여 적용 출력하는 형식을 취했지만.

 다수가 한 개 컴시스템을 공유해 사용하거나 그때그때 작업상황에 맞게 포스트를 수정하는 것이 불편한 경우 또는 의도하지 않는 형태로 NC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일종의 포스트 출력 관련 설정창을 만들어서 이를 통해 포스트 출력 형식을 지정하여 포스팅 시 원하는 형식의 NC데이터를 출력하게 지원하는 기능입니다.


* 다만 이것은 개인 사용을 전제로 작성된 것이 라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지 용이하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 현재 버전이 알파(기능 확인용)이라 유저 인터베이스가 친절하지 않아 작동 시 사용자 컴퓨터 환경에 따라 오작동할 위험성이 있습니다.

 

 같은 얘기로 사용환경은 순정 상태 마스터캠 2025 ~ 2022(2021도 가능하나 약간의 다른 조작이 필요합니다.)까지 보장되며 2021 이하 버전은 작동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작동 화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되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능 적용 여부는 각 토글키로 on / off를 지정합니다.
(회색이 off 청색이 on 상태입니다.)


*입력칸은 해당 기능 적용 시 적용될 입력값이며 항상 숫자값이 있는 것을 권유하며 마이너스(-) 값은 입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1. Code 사이 띄어쓰기 off


 출력되는 NC데이터의 지령문간 간격(빈칸)을 있냐 없냐를 결정합니다.

 


2. 부가축 A on / off


 출력되는 NC데이터의 부가축(인덱스) A 축 좌표값 출력 여부를 결정합니다.
* 부가축(B, C)은 현재 지원하지 않습니다.



3. G84 가공 시 G95 사용


 탭(Tap) 가공 시(G84) off 상태 이면 G94(분당 이송), on 상태이면 G95(회전당 이송)으로 지령됩니다.
* 마스터캠 설정과 무관하게 적용됩니다.


* 화낙 탭사이클 기본값이 G94이므로 on 선택 시에만 G95가 출력되고 이송값(F)이 자동 변환 됩니다.

 

 

4. G84 가공 시 M29 사용


탭(Tap) 가공 시(G84) off 상태이면 M29 지령 출력이 안되고 on 상태이면 M29 지령이 출력됩니다.


* 자세히 보시면 M29 이후 회전 지령이 중복되게 출력되나 이는 대충 패스....

 


5. 선형배열 시 블록 스킵 (/)


 선행배열 시 1차 가공 이후 생성되는 가공경로는 스킵 (/) 지령을 붙여 실제로는 1차 가공 경로만 실행되게 출력합니다.


* 이는 1~4차 가공물(양산 가공 시) 초품 생산(제품 확인)을 위하여 해당 선형배열 프로그램은 그대로 두고 1차 가공경로만 실행되게 출력하는 기능입니다.

 


6. M30 종료 전 X축 이동 사용


 가공 프로그램이 종료 시점(M30 지령) 또는 톨체인지 지령 시에 G53 지령으로 원점 위치(좌측 전면부 기준)에서 절댓값으로 머시닝 장비 테이블이 위치하게 하는 기능입니다.


* 통상 자동운전 종료 후 현 종료 위치에서 G28 Y0.0로 테이블이 전면부로 오지만 경우에 따라 전체 가공영역 중앙에 테이블이 위치하게 하거나 특정 위치(1차 공정 바이스 위치라던가)로 이송되어 자동운전이 종료되도록 하는 기능을 합니다.


* 사용 시 지령은 G53으로 원점위치에서 절댓값으로 숫자 입력칸에 입력하고 on 하여 사용됩니다.


* 입력 값은 플러스, 마이너스(+/-) 가능하므로 해당 장비 특성에 맞게 값을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자동운전 중인 가공프로그램이 M30을 만나서 가공 프로그램을 종료할 시점에 "G90 G00 G53 X(입력값)"를 지령합니다.


* 이것은 자동운전 종료 후 현 장비 테이블이 G53 지령에 따라 원하는 위치(가공영역 중앙 또는 적절한 위치)에 이송된 상태로 종료되며 1회만 최종 출력됩니다.

 

 


 자동운전 중인 가공프로그램이 톨체인지 지령시점 전(전 가공경로 종료 시점 "M01" 지령위치 전)과 가공 종료 "M30" 시점에 현 장비 테이블이 G53 지령값에 따라 그때그때 이송을 반복합니다.


* 이것은 초품 가공 시나 기타 가공 중 확인이 필요한 경우 또는 톨체인지 시 공구와 소재 충돌 등 톨체인지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자동운전 중 해당 G53 지령값에 따른 위치로 톨체인지 시 마다 이송을 반복합니다.


 이것은 통상의 경우는 자동운전 단계에서 톨체인지시 가공물 높이가 높은 경우 톨체인지 작동 시 공구와 공작물의 충돌이 염려되는 경우 잠시 톨체인지 해당 소재를 충돌 안전위치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포함시키는 기능과 중간의 가공물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 옵티컬 스톱 기능으로 톨체인지 전 가공물 확인 하고 다시 자동운전으로 진행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한 기능입니다.


* 다만 공정별로 구분(톨체인지 도피 이송이 불필요한 공구의 경우)이 안되며 전체 공정에 걸쳐서 적용됩니다.

 


7. 시퀀스 넘버 on / off


 출력되는 가공프로그램(NC 데이터)의 가공 공정을 구분하기 위한 시퀀스 번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합니다.


* 시퀀스 번호 출력 위치는 톨체인지 시점을 기준으로 출력됩니다.


* N 시작값(시퀀스 번호 시작값)은 시퀀스 번호 부여 첫 번째 숫자값입니다.


* N 증분값(시퀀스 번호 증분값)은 위 N 시작값에서 시작하여 다음 시퀀스값에 증분 되어 순차적으로 증분 되는 단계값입니다.


* 마이너스 값은 입력되지 않습니다.

 


8. 대기톨 on / off

 

 해당 가공프로그램이 다수의 공구 사용(톨체인지)시 현재 호출된 공구 다음 공구을 대기톨 형태로 호출지령의 on / off 결정 합니다.

 


9. M08 강제 출력 on / off

 

 해당 가공정의 절삭유 파라미터 설정이 전부 off로 되어 있다고 하는 전제하에서 절삭유 사용으로 변경하고 싶은 경우(사실 선택된 작업 수정 - 공통 파라미터 수정으로 절삭유 on으로 수정해도 되지만..) 이 기능으로 해당 가공프로그램에서 M8 지령이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 이 기능은 단순히 캠 작업 시 절삭유 파라미터 설정(?)을 빼먹는 경우 또는 귀찮아서 설정을 안 하는 경우 등 마스터캠 가공정의 절삭유 파라미터 설정이 off로 될 수도 있다는 전제하에서 전체 가공정의 절삭유 출력을 M8로 고정 출력하는 기능입니다.


* 현재로서는 단순히 M8(절삭유) 적용에만 적용되며 다른 절삭유 사용(에어, 주축, 미스트 등) 항목에 적용되지 않으므로 절삭유 혼합 또는 절삭유(M8) 이외 적용 시에는 사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10. 전체 최소 / 최대 가공깊이 출력


 해당 다수의 가공정의 링크 파라미터 항목의 가공깊이 최소(min), 최대(max) 값의 집합 중 최저 최소값, 최고 최대값을 가공프로그램 최선두 위치(공구 목록 아래)에 표시합니다.



* 위 이미지처럼 공구목록 하단에 1회 표시됩니다.
OVERALL MAX : 최소 가공 깊이값
OVERALL MIN : 최대 가공 깊이값
DR         MIN : 드릴공정 최대 가공 깊이값
CO         MIN : 절삭공정 최대 가공 깊이값



11. 공구 최소 /최대 가공 깊이 출력


 해당 공구별 톨체인지 시점에서 해당 공구가 적용되는 가공깊이 최소 / 최대값을 톨체인지 하단에 표시합니다.


* 이 기능은 해당 공구가 적용되는 전체 가공정의(다수)의 합계 가공깊이 최소 / 최대값을 표시합니다.


 그러므로 다수의 가공정의(체인도 틀리고, 경로도 틀리는)에도 종합하여 합계값에서 1차례 가공깊이 최소 / 최대값을 표시합니다.


12. 선행배열 왕복


 해당의 체결구(바이스)를 사용하여 선형배열로 각각의 워크좌표(G54~)를 사용하여 작업 시 일명 "멀티포스트"라고 하는 별도의 포스트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선형배열 워크좌표값을 좌우 왕복(G54,55,56,57 > G57,56,55,54 > G54,55,56,57)하는 기능을 합니다.


* 다만 본 프로그램 개발자의 인간적 사정으로 인하여 해당 기능은 보류 상태입니다.


13. 자동 계측기 M Code


 해당 가공프로그램 최말단의 현재 출력된 가공 프로그램에 사용된 공구들의 장비 세팅을 위하여 자동 계측기 사용 시 각 공구의 번호와 자동 계측 지령을 별도로 출력하는 기능입니다.


* 해당 자동 계측기 출력 M Code는 (M200 / M527)을 지원하며 공구번호는 자동적으로 순번대로 정렬되어 출력됩니다.


14. 선행제어 출력 (0이면 R 미출력)


 해당 가공프로그램 출력 시 선행제어(G5.1 : AICC1,2 G05 : HPCC)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입니다.


* 해당 선행제어 G-code을 가공경로 선두와 말단에 적용 / 취소 지령을 각각 표시합니다.


* 선행제어가 필요 없는 드릴 공정과 같은 경우 해당 지령은 출력되지 않습니다.


* 해당 선행제어 정도값(R)은 하단의 입력칸에 해당값(R1~R10)을 입력하면 전체적으로 정도값이 입력되며 만일 0 값을 입력 시 해당 정도값(R)을 출력하지 않습니다.

 



설치법

 해당 프로그램은 마스터캠 애드인(Add-in) 형식으로 제작하였으므로 별도의 실행 파일은 없습니다.

* 설치 파일이 없으므로 프로그램 제거도 역순으로 진행하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제공하는 포스트매니저 파일을 다운로드하시고 압축을 풀기 바랍니다.

250426 PostManager.zip
0.22MB





압축을 풀면.

 

* 원본 압축 파일은 우선 삭제하였습니다.

 우선 먼저 아래 4개 *. dll & *. ft 파일(포스트매니저 실행파일)을 먼저 복사합니다.

 복사하여 옮길 폴더는 해당 컴퓨터 사용자 > 공용 > 공용문서 > Shared Mastercam 2025 > Add-Ins 폴더에 복사해 놓습니다.

 경로 예제 "C:\Users\Public\Documents\Shared Mastercam 2025\Add-Ins"
(마스터캠 버전에 따라 해당 마스터캠(Shared Mastercam 2025) 폴더 명칭이 틀려집니다.)


 이때 보면 해당 Add-Ins 폴더는 비워 있습니다.


 그다음의 다시 원래 폴더로 되돌아가 이번에는 전용 포스트 파일 압축 파일을 풀어놓습니다.


 그중 2개 파일(PostManager.pst , PostManager.psb)을 복사하여 해당 마스터캠 포스트 저장 폴더에 옮겨 놓습니다.

경로 예제 "C:\Users\Public\Documents\Shared Mastercam 2025\mill\Posts"
(마스터캠 버전에 따라 해당 마스터캠(Shared Mastercam 2025) 폴더 명칭이 틀려집니다.)


* 위 2개 폴더위치는 포스트매니저 프로그램에서 고정된 위치값으로 찾아가므로 다른 임의 폴더로 복사해 넣으시면 안 됩니다.


* 그리고 해당 애드인 등록 문제로 일단 마스터캠이 종료된 상태에서 해당 파일을 복사해 놓고 이후 마스터캠을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 마스터캠이 실행된 상태에서 복사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권하지 않습니다.)

 


 제대로 복사해 놓으시면 일단 준비는 되었습니다.

 이후 마스터캠을 실행하여 간단하게 실행시키려면 우선 마스터캠 상단 리본메뉴(홈텝)의 우측 애드인 텝의 애드인 실행 아이콘을 클릭하여 아까 Add-Ins 폴더를 찾아가서 "PostManager.dll" 파일을 클릭하면 포스트 매니저가 실행됩니다.

 



포스트매니저 실행 화면


* 설정된 값(토글키 선택값)은 포스트매니저 종료 후 에도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만일 애드인 실행 과정이 불편하다면 "빠른 실행 도구 모음" 사용자 정의로 넣어서 원클릭으로 실행 가능 합니다.

 방법은 우선 애드인 실행이 되는 것을 확인한 후 마스터캠 리본메뉴 상단 빈칸 또는 파일텝의 옵션메뉴로 들어가서 옵션의 빠른 실행 도구 모음텝에서 새로 등록합니다.

우선 전체명령 항목에서 "Post Manager" 찾아 선택하고

 



 선택한 상태에서 "추가" 버턴을 통해 우측의 빠른 실행 도구 목록에 추가시킵니다.


 확인하고 종료하면 마스터캠 상단 좌측에 포스트매니저 빠른 실행 도구 아이콘이 생기며 이를 클릭하면 포스트매니저 가 실행 됩니다.
* 마우스 우클릭 메뉴(콘텍스트 메뉴)에도 같은 방식으로 추가 가 가능합니다.


 

이제 포스트매니저를 실행하여 포스팅을 적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포스트매니저 적용하여 포스팅 시 주의 사항.

1. 포스팅 자체는 해당 파일을 제대로 복사해 넣고 실행이 된다면 자동적으로 적용 포스팅됩니다.
* 별도 마스터캠의 설정을 건들어줄 필요가 없습니다.


* 즉 현재 포스팅할 가공정의를 먼저 선택하고(평상시와 동일하게) 바로 포스트매니저 실행(원래 포스팅용 "G1" 아이콘 클릭하지 말고)하며 해당 포스트매니저 옵션 내용을 적용한 뒤 확인 버턴을 누르면 자동적으로 포스팅 됩니다.


* 포스트매니저 적용하여 포스팅하면 해당 마스터캠 포스트프로세싱 창의 포스트선택은 "PostManager.pst"을 변경됩니다.
그러므로 만일 포스트매니저을 거치지 않고 마스터캠 포스트 프로세싱"G1"을 실행하면 바로 포스트매니저 "PostManager.pst"가 선택되어 포스팅됩니다.

 이경우 포스트프로세싱의 포스트선택 버턴을 활성화(shift+ctrl+alt+p)하여 다른 포스트파일을 선택하여 포스팅을 하여도 나중에 다시 포스트매니저를 실행하면 다시 "PostManager.pst"가 선택되어 포스팅됩니다.

* 아직 알파 버전 수준의 프로그램이라 개발자가 의도치 않는 조작이나 값을 넣은 경우 제대로 작동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 또한 아직 다수의 경험자의 작업 경험이 없으므로 의도치 않은 작동을 할 수 있으니 실제 가공에 적용 시는 충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또한 이 프로그램 사용으로 발생하는 모든 문제에 대한 책임이 없으며 어디까지나 사용하는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여기 공개하는 이유는 이러한 형태의 포스트 관련 프로그램이 유용한 것인지 또한 추가 요청할 별도의 기능이 있는지 실제 사용대상 작업자들의 대한 의견 청취가 목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