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 마지막으로 윤곽가공의 롤가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이번 예제는 먼 옛날 한때 유행했던 방역 마스크(코로나) 제작용 장비 부품 중 하나인 마스크롤(?) 가공방법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방법론 자체는 실제 가공방법이 아니고 롤가공 경로 설명을 위하여 적당히 간략화 하였습니다. 우선 가공할 공작물은 모델링만 가져왔습니다. * 인터넷 모델링 공유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한 것이라... 도면은 없습니다. * 마스크 원단 재단용 커터날 롤입니다. 모델링 규격(제작 규격)을 먼저 살펴보아야 하는데... 가공면 (재단용 칼날이 위치한 부분)은 68 Ø, 길이 180.5이고 외부 외형 부분이 72.8 Ø(실제 모델링은 73 Ø이지만 설명을 위해 각색)입니다.* 즉 칼날 높이가 2.4이라는..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 롤가공 경로를 생성하는 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이번에 다음과 같은 형태의 스크류(?) 가공을 작업해 봅니다. 모델링 형태는 처음 시작점(좌측면에서 볼 때 A-90도 방향)에서 90도 CW 방향으로 직선 회전 후(A0) 이어서 CW 방향으로 피치 100 간격으로 2.5회전(3회전)으로 같은 단면이 헬릭스 이동 합니다. 이러한 형태는 이전과 같이 와이어프레임을 생성하여 그 와이어프레임을 기초로 해서 체인 선택하여 가공경로(윤곽 가공경로)을 활용하는 방식은 적용할 수 없습니다.* 사실 롤가공 적용시 이러한 방법은 만일 가공공차나 조립되는 상대물이 있는 경우 권장하기 어렵습니다. 이유는 롤가공이 하나의 축으로 기준으로 단순히 말기(롤이동)하는 방식이라 해당 가공경로(가공면)가 약간 왜곡되..
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롤가공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이번에는 전개도가 없고 일반 2D도면만 있거나 해당 모델링만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 먼저 초를 치자면 저의 의견은 가능한 전개도가 없거나 불확정한 형태의 모델링 파일을 가지고 작업하는 경우 가능한 다축 가공경로를 사용하는 것을 권합니다. 2D 롤가공 경로를 적용하기 어려운 형태가 많습니다. (전개도를 생성하는것이 불가능한 경우(불확실한 경우 작업자가 생성하기는....)가 은근히 많습니다.) 우선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금 까지 동일한 예제 입니다.) * 100Øx 300L 피치 60 5회전 헬릭스 형태입니다. (첫 헬릭스 시작점이 A0.0 지점 입니다.) 이렇게 전개규격(?)을 알면 만일 전개도가 없는 경우 작업자가 전개 도을 ..
이번에는 저번 맨 처음 돌출형과 포켓형 윤곽 가공경로 롤가공 적용하여 불량난 형태에 대하여 좀 더 심화형으로 들어가겠습니다. 만일의 경우 처음 애기한 형태의 윤곽가공을 해야하는데 약간의 예외사항을 적용할 수 있어서 유사하게만 가공되면 된다고 할 때 어떻게 하면 좀 더 가공치수를 준수하며 할 수 있는가을 생각해 봅니다. 원점으로 돌아가서 윤곽 가공의 경우 선택한 체인 도형요소에 기준하여 생성된 2D 윤곽형태 가공경로를 롤가공(축 대체)기능에 의하여 롤이동 하여 말기 하는 과정이 롤가공 경로입니다. 그러면 한가지 의문점이 생깁니다. 맨처음 예제의 경우를 자세히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돌출형은 윤곽 가공의 체인요소가 공구 날끝와 일치(체인 도형요소 위치와 링크 파라미터 가공깊이값이 동일 Z값)합니다..
저번 드릴공정 롤가공에 이어서 솔리드 모델링에서 드릴공정 롤가공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이번 공작물은 제작도면이 솔리드 모델링으로만 왔습니다.....(일단 묵념) 모델링의 형태는 사실 앞전 가공물과 동일합니다. 소재 80 Ø이며 홀은 10 Ø 깊이 30.0입니다. 제작도면이 모델링만 있는 경우 롤가공 가공정의 요소를 선택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1. 해당 모델링에서 홀위치(드릴공정) 좌표 또는 도형요소를 언롤이동 기능으로 작업 평면에 전개하여 다시 이것을 이용하여 가공정의(2D)를 생성하여 다시 롤가공(말기) 작업하는 법 2. 해당 모델링 요소에서 홀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도형요소(훌축)를 생성 후 이 도형요소를 선택하여 다축 드릴 가공정의를 정의합니다. 먼저 1번 작업자가 모델링에서 홀..
이번에는 분위기를 바꿀 겸 드릴공정의 롤가공경로 생성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드릴공정도 앞서 윤곽 가공과 동일하게 생각하셔도 됩니다.* 단 모델링 특성상(모델링에서 와이어프레임(커브)을 풀면 정원이 안 나온다는 점) 모델링에서 직접 드릴공정 가공경로를 생성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다시 설명하지만 사실상 모델링에서 홀위치 (정원 : 포인트(point)점)을 생성하여 말기 작업 하기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은 모델링 기준에서 드릴공정을 롤가공(말기)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80 Ø 원통형 소재에 10 Ø 드릴로 깊이 30.0으로 가공하는 공정을 시작합니다.* 드릴 사이클(G81, G73, G83, G84)은 크게 관련 없습니다. 먼저 드릴 공정은 전개도 생성후 말기작업 하는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