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번에는 잠시 중간을 넘어서 다이내믹 가공경로(고속이송 고회전 트로코이드(Trochoid) 형태 경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일반적인 가공경로(윤곽, 포켓경로등)과 다이내믹 가공경로와 차이점은 주로 아래와 같습니다. 1. 일반적인 가공경로는 해당 공구의 절삭면에 직접적으로(정면에서) 소재을 절삭하는 형태 가공경로를 취하고 다이내믹경로는 해당 공구의 절삭 측면을 원호형태로 측면가공(일반적인 경로에 비하여)을 유도하는 형태로 경로를 생성합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일반 가공경로는 절삭경로가 소재 절삭방향과 같은 방향(소재를 직접 앞으로 절삭하는 방식 : 직선 경로)으로 진행하며 다이내믹 경로는 가능한 절삭 공구의 절삭측면(소재 진행 방향과 절삭공구 진행방향이 가능한 비껴가도록..)으로 소재 절삭면을..
그럼 마지막으로 저번 2D 도면 형태로 작업평면 설정하여 작업하는 방법에 이어 3D 형태로 작업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사실 일반적인 2D 가공물(다공정이 아닌)에는 이러한 방법이 별로 도움이(빨리 하려는....) 안됩니다. 다만 페이퍼업(문서화) 또는 작업 메뉴얼이 필요한 경우 이러한 절차를 회사 매뉴얼화 하면 차후 타 작업자(인수인계 미비한)의 경우나 또한 본인이 작업한 것이지만 오랜 시간 경과(?)로 어떻게 작업했는지 생소할 경우 이전 작업내용을 유추하기 용이하여 설명해 드립니다. 2D 도면 요소를 활용한 3D형태 작업평면 설정하여 작업 하는 방법 그럼 먼저 작업도면을 준비(3D로 접을)합니다. 그리고 해당 공정별로 레벨정리를 해둡니다. (항상 레벨로 분리하는 습관을...) 그리고 ..
역시 이번에도 전번 도면정리(평면)에 이어 알아보겠습니다.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가 최초 가공정의를 생성하는 것부터 진행하겠습니다. 그럼 가공정의를 생성합니다. 해당 공정별 가공정의 생성시 고려 사항이 있는데... 주된 사항중 하나는 공작물(소재) 설정을 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즉 4개 공정이므로 이 가공 공정을 전부 모의가공을 해보고 싶다면 앞서 말씀드린 가공 도형요소를 입체적으로 접기 또는 3D 모델링을 기반으로 가공정의를 적용하여(작업명면도 같이 적용하여야 합니다.) 가공정의를 생성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조금 복잡한 과정이 있어 이를 피하고 마치 그냥 2D 가공정의 생성 하듯이 하고 싶으면 각 공정별로 머신그룹을 생성하여 각각 공정별 머신그룹의 공작물 설정을 각 해당 작업평면에 기반하여 적..
저번에 이어서 이번에도 도면정리(뷰시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저번의 원본도면 뷰시트 지정으로 원본도면 참조과정이 쉬워졌습니다. 그럼 이제 각공정별 뷰시트를 생성하여야 합니다. 006 그럼 다시 계획된 공정 순서에 맞추어 원본도면의 해당 도형요소를 복사하여 가공원점에 맞게 배치하여야 합니다. * 우선 현재 원본도면에서 레벨 복사기능으로 가공정의 체인 선택할 도형요소만 임의 번호(여기서는 "2") 레벨에 복사합니다 그리고 각 공정별로 분리된 레벨(#2,3,4,5)에 각각 필요한 도형요소를 레벨 이동하여 배치합니다. 그리고 실제 가공하게 될 소재형태에 맞추어 도형요소를 가공원점에 맞추어 배치합니다. 일단 이렇게 하고 먼저 1차 공정 뷰시트를 생성합니다.* 이때 생성할 뷰시트에 맞는 화면구성(작..
저번 도면정리(투영이동)에 이어 도면정리(레벨/뷰시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저번 투영이동으로 모든 도면 도형요소를 일정한 높이(Z값)를 갖추도록 작업하였습니다. 그럼 레벨변경(이동)의 기능별 사용법은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랍니다. https://momoman83.tistory.com/121 마스터캠 2021 유저-인터페이스 에 관하여 -5 (레벨 관리자 창)레벨(LEVEL) 관리자 창 마스터캠 에는 오토 캐드의 레이어 계념의 레벨 기능 이 있습니다. 주목적은 마스터캠에서 사용되는 도형 요소의 대한 구별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이러한 레벨 기능momoman83.tistory.com 그럼 우선적으로 현재 도면(원본)을 작업시 참조하기 위하여 별도 레벨에 몰아서 저장합니다.* 이때 원본..
이번에는 일반적으로 2D도면(CAD 파일)을 받아서 마스터캠에서 캠작업을 하는 순서(개인적인 스타일)를 설명하겠습니다.* 방법론은 일반적인 개인적 스타일이며 여러 가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소 난잡하게 여러 가지를 섞어서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발주처(?)에서 해당 CAD 도면 파일 받아옵니다. 해당 캐드 파일 버전에 문제 없으면 마스터캠에서는 열기가 가능합니다. * 대충 사용하는 마스터캠 버전 보다 늦게 나온 최신 캐드 파일은 안 열릴 가능성이 높다는 애기입니다.. 해당 도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우에 따라 (캐드 도면 작성자 스타일 또는 마스터캠 와이어프레임 표시 스타일등) 여러 가지 이유로 해당 도면이 칼라플하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이것은 기본적으로 캐드에서 사용하는 색상코드(번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