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캠 2021 활용한 다각도면 홀가공 작업에 대하여-3 (지그(ZIG)활용-3)

반응형

 이번에는 마지막으로 해당 경사면에 가공정의(캠작업) 하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 사실 캠작업 관련 자체는 특이한 점은 없습니다.

  먼저 다시 처음 각 경사면의 작업 평면 생성 작업으로 돌아갑니다.

우선 사방 4군데 경사홀면만 먼저 보겠습니다.

 먼저 한군데 홀가공면을 선택하고 그 해당 평면을 평면관리자에서 GVIEW로 선택합니다.
(해당평면을 마스터캠 화면상 평행으로(GVIEW, WCS, 작업평면(CPLAN, 공구평면(TPLAN) 전환) 합니다.)

 그리고 해당 평면원점이 마스터캠에서 사용될 가공원점과 나중에 소재 세팅할 원점과 일치하는지 확인 합니다.

 그리고 현재 평면에서 각 가공홀의 외형을 와이어프레임으로 생성후(와이어프레임탭의 커브 한 끝단) 그 도형요소에 기초하여 가공정의를 정의합니다.


 가공정의 작업은 통상 하던대로 하시면 됩니다. 다만...


해당 가공정의 파라미터중 평면 항목은 전부 다음과 같이 수정확인 하셔야 합니다.
* 평면 지정은 해당 작업평면을 작업평면 좌표계(WCS), 작업평면(CPLAN), 공구평면(TPLAN)으로 평면관리자에서 선택하였으면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평면 파라미터 항목을 보면

 위처럼 되어 있을것 입니다.


 주의해서 볼 점은 우선 모든 평면(작업좌표, 작업, 공구)이 홀가공면 평면과 일치해야 하고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중간의 원점 좌표를 자세히 보셔야 합니다.


 특별한 수정(평면생성 시)을 하지 않았다면 좌표값이 위처럼 되어 있을 것입니다. 
* 이러한 좌표값 적용은 저기에 있는 좌표값이 기본평면(WCS) 원점에서 해당 작업평면(홀가공용) 원점까지의 좌표 변동값입니다. (자동 대입 됩니다.)

* 평면 원점 좌표값은 실직적으로 현재와 같은 사항에서는(3개 평면이 동일한 경우) 0.0으로 동일시켜도 NC데이터 출력 시 문제없이 출력됩니다.

* 다만 이러한 경우 경로확인이나 모의가공 시 WCS 원점에 기초(전부 0.0 인경우)하여 이송되므로 엉뚱한 곳으로 이송됩니다.(주의 필요)

* 그러므로 이 가공정의 평면 파라미터의 평면이름과 원점값은 주의하여 보셔야 합니다.

홀가공면에 대한 경로확인을 해보았습니다.

 

그리고 모의 가공을 해보았습니다.

 이러한 듯 각 홀가공면의 작업평면을 각 가공정의의 작업평면(WCS, CPLAN, TPLAN)등으로 정의하여 작업하면 일단 캠작업은 마무리됩니다.


* 실상 이러하면 예제 모델링의 경우 사방 4면의 가공정의 4개 곡면상의 홀 5개 등 전부 9개의 작업평면과 가공정의가 필요합니다.
(물론 실가공시도 9번의 소재 세팅과 워크좌표(소재원점) 세팅도 해주어야 합니다.)


* 실수하기 딱 좋은 환경이므로 실제 이러한 작업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럼 이렇게 하여 지그(ZIG)를 활용한 경사면 홀가공 작업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2. 4축 인덱스 또는 3+2축 틸팅인덱스 상에서 수기로 각 가공면 좌표값 지정하여 가공하는 방법 (가공원점 수기 입력)을 하는데 좀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