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윤곽 가공정의 측면 가공(Multi passes)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측면 가공은 윤곽 가공정의 중 해당 단계별(Z 축 좌표값 기준) 해당 공구평면상의 측면상(보정방향)으로 일정 방식으로 오프셋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영역의 너비(X,Y방향 기준)가 해당 공구경(가공가능한 영역) 보다 큰 경우 1회 가공경로만으로 가공완료가 되지 않아 해당 가공경로 형태를 그대로 일정 간격으로 오프셋(확장 복사)하는 기능입니다.
기본적인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 기본적으로 오프셋 되는 가공경로의 방향은 처음 선택한 체인의 보정방향(작은 화살표) 쪽으로 오프셋 됩니다.
먼저 측면 가공 파라미터의 기능을 살펴봅니다.
① 측면 가공
해당 가공정의의 측면 가공경로 생성을 활성화하려면 해당 체크칸을 체크하여야 해당 측면 가공 파라미터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② 황삭
횟수 : 해당 가공경로의 오프셋 횟수를 입력합니다.
* 참고로 오프셋 횟수 이므로 "1 = 원본 경로" "2 = 원본 경로+오프셋 된 경로 1회" 이므로 만일 황삭 횟수에 "1"을 입력하시면 원본 경로 그대로(오프셋 된 경로 없이)로 생성됩니다.
* 당연한 것이지만 마이너스(-) 값은 입력하지 못합니다.
가공 간격 : 오프셋 되는 해당 경로 간의 간격(절삭간격)의 절대값을 입력합니다.
* 당연한 것이지만 마이너스(-) 값은 입력하지 못합니다.
* 이때 만일 정삭 측면가공이 적용되면 그 정삭 측면가공 오프셋된 거리(정삭 경로 전체)만큼 오프셋 된 후 거기에서부터 황삭 측면 가공간격값이 적용됩니다.
* 만일 황삭 측면가공 횟수(오프셋) 값이 "1" 이면 해당 가공 간격값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주의사항은 원본경로(첫 번째)의 체인요소 와 떨어진 간격은 공구경(지름)과 보정방법 그리고 가공여유값에 따라 지정되고 그다음 오프셋되는 경로부터 여기서 지정되는 가공 간격값이 지정됩니다.
* 이러한 관계로 측면가공 적용 시 가능한 "경로확인" 또는 "모의가공" 기능을 이용하여 실제 생성된 가공경로 영역이 작업자가 원하는 가공영역과 일치 한지 확인하고 작업하는 것을 권합니다.
③ 정삭
해당 가공정의 경로의 황삭 가공경로 외 정삭경로를 생성합니다.
횟수 : 해당 가공경로의 오프셋 횟수를 입력합니다.
* 참고로 오프셋 횟수 이므로 "1 = 원본 경로" "2 = 원본 경로+오프셋 된 경로 1회" 이므로 만일 정삭 횟수에 "1"을 입력하시면 원본 경로 그대로(오프셋 된 경로 없이)로 생성됩니다.
* 당연한 것이지만 마이너스(-) 값은 입력하지 못합니다.
가공 간격 : 오프셋 되는 해당 경로 간의 간격(절삭간격)의 절대값을 입력합니다.
* 당연한 것이지만 마이너스(-) 값은 입력하지 못합니다.
해당 가공정의의 측면 가공경로 생성 중 황삭 가공경로 외 정삭 가공경로(황삭 가공경로 와 차이점은 정삭 가공경로는 절삭 조건(회전수, 이송속도)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 만일 별도의 "정삭 스핀들 회전수, 이송속도 적용"항목을 적용하지 않았으면 해당 가공정의 공구 절삭조건에 따라갑니다.
* 만일 황삭 가공경로는 비활성화(경로 미생성) 하여도 별도의 "정삭 스핀들 회전수, 이송속도 적용"항목을 적용하지 않았으면 해당 가공정의 공구 절삭조건에 따라갑니다.
* 만일 "정삭 스핀들 회전수, 이송속도 적용"항목을 적용했으면 정삭 가공경로 절삭 조건은 해당 가공정의(황삭) 절삭조건을 따라가지 않고 "정삭 스핀들 회전수, 이송속도 적용"에 입력된 절삭 조건에 따라갑니다.
오프셋 된 정삭 경로 예제를 들면...
좌측의 경우 황삭 2회 / 정삭 2회 적용 시 해당 경로는 최종경로(가공여유:0.0)에서 정삭 2회(0.5x2=1.0)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황삭 1회 경로와 오프셋된 경로(5.0 가공간격 적용)등 총 2회 경로가 생성되고 0.5 가공 간격을 가진 정삭 경로 2회가 생성됩니다.
우측의 경우 황삭 0회 / 정삭 2회 적용시 해당 경로는 최종경로(가공여유:0.0)에서 정삭 2회(가공간격 0.5만큼 떨어진) 가공 경로가 생성됩니다.
좌측의 경우 황삭 1회 / 정삭 1회 적용시 해당 경로는 최종경로(가공여유:0.0) = 정삭 1회 경로 생성되고 여기서 정삭 가공경로 0.5만큼 떨어진 황삭 가공경로 1회가 생성됩니다.
우측의 경우 정삭 1회만 적용시 해당 경로는 최종경로(가공경로:0.0) = 정삭 1회 이므로 정삭 경로 1회만 생성됩니다.
* 이와 같이 경로 횟수 1회는 해당 경로(황삭/정삭) 1회만 발생하고 가공간격은 다음 경로 설정에 따라갑니다.
(즉 황삭 1회 + 정삭 1회는 황삭 가공간격(5.0)은 무시되며 다음 경로 인 정삭 가공간격(0.5)이 적용됩니다.
반복경로
만일 최종 정삭 가공경로를 동일하게 다시 반복하고 싶다면 여기서 반복되길 바라는 횟수를 입력합니다.
* 여기서 횟수는 반복되길 바라는 횟수 이므로 실제 이송되는 경로 횟수는(원본 정삭경로 + 반복경로 횟수 = 총 반복 횟수) 이므로 반복 횟수가 "1"이면 최종 정삭 가공경로는 2회 생성됩니다.
참고 영상으로 반복 횟수 "1"을 입력시 최종 정삭 경로가 두번 반복되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모든 정삭 경로에 적용
위 반복 횟수 적용을 모든 정삭 가공경로(깊이 가공 적용시)에 적용하는냐 아니면 최종 가공깊이의 정삭 가공경로에만 적용하는냐을 설정합니다.
만일 반복 횟수 "1"회 적용하고 깊이가공을 적용한 상태에서 위 모든 정삭 경로에 적용을 비활성화하면 해당 반복 횟수를 마지막 최종 가공깊이의 정삭 경로에만 적용하면 중간깊이의 정삭 가공경로는 반복하지 않습니다.
만일 반복횟수 "1"회 적용하고 깊이가공을 적용한 상태에서 위 모든 정삭 경로에 적용을 활성화 하면 해당 반복횟수를 모든 단계(깊이가공)의 정삭 경로에 모두 적용합니다.
④ 정삭 스핀들 회전수, 이송속도 적용
이항목은 만일의 경우 정삭 가공경로에만 해당 가공정의에 적용된 절삭조건(회전수:RPM, 이송속도:FEED) 이외에 다른 절삭조건을 적용하고자 할 때 적용합니다.
즉 예로서 황삭 가공경로는 절삭조건(RPM:5,500 , FEED:1,600)을 적용하고 정삭 가공경로시는 다른 절삭조건(RPM:4,000 , FEED:1,000)을 적용하고 싶다면 해당 조건 체크칸에 체크(활성화)하여 적용이 가능합니다.
* 회전, 이송속도 각각 별도 적용 가능합니다.
정삭 스핀들 회전수, 이송속도 미적용 시
정삭 스핀들 회전수, 이송속도 적용 시
⑤ 정삭 횟수
이 항목은 해당 가공경로 중 적용된 정삭 가공경로의 경로 적용방식을 정의합니다.
* 즉 정삭 가공경로 생성 방식(최종, 모든, 추가)중 선택합니다.
* 해당 가공정의 깊이가공 적용 시에만 적용됩니다.
전체깊이 : 깊이가공 적용된 해당 가공정의 모든 단계별(Z값기준) 가공경로에 정삭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최종깊이 : 깊이가공 적용된 해당 가공정의의 최종 가공깊이 가공경로애만 정삭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황삭 깊이가공 : 깊이가공이 적용된 해당 가공정의의 황삭 가공경로 사이(Z값별로) 중간단계 Z값에 정삭 가공경로만을 추가합니다.
정삭 가공경로 추가 조건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사이에 추가 : 해당 가공정의 깊이가공 단계별 Z값 사이 Z값 위치에 입력된 값만큼 정삭 경로를 추가합니다.
* 주의 사항 : 만일 최종 가공 깊이 -15에서 깊이가공 7.5를 적용 시 첫번째 황삭 가공경로는 Z-7.5에서 시작하고 황삭 가공경로가 종료되면(Z-7.5위치에서) 다시 정삭 가공경로를 0 ~ -7.5 사이값인 Z-3.75위치에서 정삭 경로가 이송되고 다시 Z-7.5위치에서 다시 정삭 경로 이송되고 다시 Z-15.0위치에서 황삭 경로가 이송되고 다시 Z-11.25위치에서 정삭 경로가 이송되고 마지막으로 Z-15.0위치에서 정삭 경로가 이송됩니다.
횟수당 : 해당 가공정의 깊이가공 적용시 깊이가공 단계별 Z값 황삭경로의 경로 횟수당 정삭경로 생성 횟수를 입력합니다.
* 즉 입력된 횟수당 값만큼 깊이가공 단계 횟수를 지난 후 정삭 가공경로가 생성됩니다.
⑥ 측면가공 순서
이 항목은 다수의 체인요소 선택하고 측면가공 적용 시 윤곽기준(선택한 체인별로), 깊이기준(가공경로의 Z값 단계별)중 하나를 선택하여 측면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윤곽기준: 해당 가공정의가 선택한 체인요소 선택순으로 하나의 체인요소에 적용된 모든 가공경로를 종료한 후 다음 체인요소의 가공경로로 넘어갑니다.
깊이기준 : 해당 가공정의가 깊이가공적용 시 해당 깊이가공 단계별 Z값별로 해당 측면 가공경로 순번대로 완료 후 다음 체인요소 측면 가공경로 순번으로 넘어갑니다.
* 주의 사항이 윤곽 가공정의의 깊이가공과 달리 이것은 해당 측면 가공경로 순번(황삭 가공경로 시작순번 >> 정삭 가공경로 순번)대로 해당 가공경로를 진행합니다.
(즉 황삭 가공경로 순번 1번이 전체 깊이가공 단계별 Z값 위치에서 완료 후 다음 황삭 가공경로 순번으로 전체 깊이가공 단계별 Z값위치에서 시작하고 황삭 가공경로가 종료되면 정삭 가공경로 순번에 따라 다시 깊이가공 단계별 순번으로 진행합니다.)
⑦ 황삭 가공방향
이 항목은 황삭 가공경로에 한하여(정삭 가공경로는 한 방향만 적용됩니다.) 한방향, 왕복 이송중 선택합니다.
한방향 : 황삭 가공경로의 이송방향은 한 방향(체인 진행 방향에 따른)으로만 이송합니다.
왕복 : 황삭 가공경로의 이송방향은 왕복(황삭 가공경로 순번에 따른)으로 이송합니다.
* 왕복 기능은 열린 체인 형태의 가공정의만 적용됩니다.
⑧ 기타 설정
공구 유지 : 깊이 가공의 공구유지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 참고로 깊이가공의 공구유지와 측면가공의 공구유지는 각자 별도로 적용됩니다.
모든 윤곽 황삭 후 정삭 실행 : 깊이가공 적용이 된 가공정의 황삭 가공경로를 모두 종료한 후 다시 처음 깊이가공 높이로 가서 정삭 가공경로만 다시 시작합니다.
모든 윤곽 정삭 후 반복경로 실행 : 깊이가공 적용이 된 가공정의 중 반복경로 적용이 된 경우 모든 황삭, 정삭 가공경로가 완료된 후(반복경로만 실행이 안된 상태)에서 최종 가공깊이 정삭 가공경로만 반복 실행 합니다.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 > 2D 가공 경로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D가공경로에 대하여 -19(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11(링크 파라미터-1)) (0) | 2024.05.23 |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D가공경로에 대하여 -18(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10(탭(Taps))) (1) | 2024.05.09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D가공경로에 대하여 -16(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8(관통)) (0) | 2024.05.04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D가공경로에 대하여 -15(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7(진입/복귀)) (3) | 2024.05.01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D가공경로에 대하여 -14(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6(깊이가공)) (0) | 2024.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