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댓값 / 증분값 / 관련값
절댓값
각 링크 파라미터의 높이값을 절댓값으로 지정시 해당 가공원점(Z0.0 : 재료상단 높이값이 아닙니다.)을 기준으로 높이값을 고정(입력된 깊이값 그대로 적용)적으로 적용합니다.
* 기본적으로 링크 파라미터의 높이값은 절대값 사용을 전제로 사용됩니다.
(특히 각 가공정의 체인요소 Z값이 동일한 경우 절대값 사용을 권장합니다.)
* 이러한 이유로 절댓값 적용 시 순차적인 단계(위에서 아래로 와 같은) 높이값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전체 절대값 적용시 +40 > +15 > +5 > 0 > -10 > -20과 같은.....)
* 만일 위와 같은 경우 (안전높이 +40.0, 이송높이 +15.0, 진입높이 +5.0, 재료상단 0.0, 가공깊이 -10.0) 여기서 가공깊이 값을 +25.0으로 입력(실수로..) 할 경우 가공경로는 Z+25.0에 생성되고 +25.0 이하값(이송높이, 진입높이, 재료상단)은 무시됩니다.
* 만일 위와 같은 경우 (안전높이 +40.0, 이송높이 +15.0, 진입높이 +5.0, 재료상단 0.0, 가공깊이 -10.0)에서 만일 이송높이 값을 -15.0으로 입력(또 실수로..)할 경우 이송높이값이 가공깊이값 보다 낮다(범위를 벗어난)것이 되므로 무효화되고 이송높이 다음 낮은 값인 진입높이값이 이송높이값으로 적용됩니다.
* 이와 같이 절댓값 적용시 순차적인 단계 범위안에 모든 높이값이 있는것을 권합니다.
* 일반적인 가공공정은 절대값 적용을 적극 권합니다.
(특히 드릴 공정은 주의하셔야 합니다. (복귀값 높이 설정 때문))
증분값
각 링크 파라미터 값의 단계별 값 기준은 절댓값의 경우 Z0.0에 기준하지만 증분값의 경우 각 링크 파라미터 항목별 지정된(서로 동일하지 않습니다. 주의!!..) 기준값에 근거하여 증분 된 값을 가지게 됩니다.
*무난한 예을 보며 여러 개의 가공깊이가 다른 여러 체인요소을 링크 파라미터를 절댓값으로 설정시 전체 이송 높이는 전체 체인요소의 제일 높은 높이를 기준으로 선정 하여야 합니다.
링크파라미터 절댓값 적용 시(각 가공깊이별 가공정의 생성)
* 절대값 적용시 각 가공정의는 1개의 가공깊이값(절댓값)을 가져야 하므로 만일 가공깊이값이 틀린 3개 체인요소의 대한 가공정의를 생성한다면 3개의 가공정의를 생성하여야 합니다.
* 이렇게 각각의 가공정의의 가공경로는 일정한 이송높이 값(절대값)을 가진다고 해도 안전높이값으로 각각의 체인요소 간 이송이 이루어집니다.
* 만일의 경우 안전높이를 비활성화된 가공정의 경우 이송높이 값으로 각각의 가공정의 간 이송이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위와 같은 경우 낮은 깊이의 가공 체인 요소는 긴 급속이송 진입/복귀 경로가 생성되어 가공시간이 짧고 수량이 많은 양산에 가까운 가공물의 경우 다소 가공시간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링크파라미터 증분값 적용 시(일부값 증분값 적용, 1개의 가공정의 의 다수의 체인요소 적용(가공깊이가 각기 다른))
* 증분값 적용 시 각기 다른 높이값을 가진 체인요소에 동일한(1개 가공정의에 1개 가공깊이값만 적용되므로)가공깊이를 가진경우 이송높이, 진입높이, 재료상단, 가공깊이 값을 증분값으로 정의하여 생성하면 위와 같이 각 체인 요소간 이송 높이가 각각의 가공물 높이에 근접한 높이로 생성 가능합니다.
* 다만 이러한 경우 증분값의 적용시 절댓값에 비하여 다소간의 고려(증분값이 부적합하면 오히려 엉뚱한 높이로 생성됩니다.)하여 입력하셔야 합니다.
* 또한 가공 체인요소 간 장애물(소재 높이 간 차이, 소재 체결용 클램프, 고정구 등)이 있는 경우 각 가공정의 링크 파라미터 값이 절댓값 적용에 비하여 복잡할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절댓값, 증분값 적용 또는 해당 가공정의 선형배열 시 이송높이에 대한 적용은 안전높이 또는 이송높이값(안전높이 미적용 시)에 기준합니다.
* 안전높이값도 당연히 증분값 적용이 되지만 가능한 안전높이값은 절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권합니다.
안전 높이을 가공영역의 어느 정도 미가공영역으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고 싶다고 한다면 절댓값으로 유지해야 일정한 높이에서 미가공영역이 유지됩니다.
그럼 다시 되돌아가서 링크파라미터 각 항목당 증분값 적용 시 어떠한 값기준으로 증분 되는지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 절댓값의 경우는 가공원점(Z0.0)을 기점으로 정해집니다.
안전높이
기본적으로 안전높이는 재료상단값에서 산출됩니다.
절댓값 적용 시는 재료상단값과 관련없이 입력된 절대값 높이를 가지지만 증분값 적용시 재료상단값에서부터 증분 되어 산출됩니다.
* 위 이미지(좌측)처럼 안전높이가 증분갑을 가지므로 재료상단 높이 Z0.0에서 증분 되어 Z40.0 값을 가집니다.
그렇지만 우측 이미지처럼 재료상단 높이가 Z-5.0을 가지면 안전높이는 Z-5.0에서 증분 되어 Z35.0 값을 가지게 됩니다.
* 주의사항 만일 재료상단 높이값이 증분값 적용되어 있으면 안전높이는 재료상단 입력된 값이 아니고 재료상단 입력값에서 증분 계산된 최종 재료상단 높이에서 증분 됩니다.
(예로 재료상단 값이 증분 Z-5 값인데 선택한 체인요소가 Z-5위치에 있는 경우 실제적인 재료상단 높이는 Z-10 값을 가지게 되므로 안전높이 증분 Z40.0 값은 실제 Z30.0 값을 가지게 됩니다.)
* 간단하게 정의하면 안전높이 증분값은 산출된 재료상단 높이값에서부터 증분 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로 거의 안전높이는 일정한 높이 절댓값을 주로 사용합니다.
이송높이
기본적으로 이송높이는 가공깊이값에서 산출됩니다.
절댓값 적용 시는 가공깊이값과 관련없이 입력된 절대값 높이를 가지지만 증분값 적용시 가공깊이값에서부터 증분 되어 산출됩니다.
* 위 이미지(좌측)처럼 이송높이값이 절댓값20.0을 가지므로 절대값 Z20.0에서 이송됩니다.
그렇지만 우측 이미지처럼 이송높이값이 증분 20.0을 가지면 가공깊이 Z-5.0에서 증분되어 Z15.0값에서 이송이 됩니다.
* 위 이미지(좌측)처럼 이송높이값이 증분20.0을 가지고 가공깊이값 증분-5.0(선택한 체인요소 위치 Z-5.0)이면 합해서 Z-10.0이 되므로 이송높이는 Z10.0이 됩니다.
그리고 우측 이미지처럼 이송높이값이 증분 20.0을 가지고 가공깊이값 증분 0.0(선택한 체인요소 위치 Z-3.0)이면 현재 가공깊이값은 Z-3.0이 되므로 여기서 증분 해서 이송높이는 Z17.0이 됩니다.
이러한 예제로 인하여 이송높이 값을 증분값으로 하면 결구 해당 가공정의 가공깊이(최종) 값에서 증분 되어 이송하므로 가공이 완료한 위치에서 일정한 높이를 복귀한 후 이송하게 됩니다.
* 즉 해당 가공정의 가공이 완료된 위치 Z값에서 일정한 높이(이송높이값만큼)로 복귀하여 다음 가공정의 영역으로 이송됩니다.
진입높이
기본적으로 진입높이는 재료상단값에서 산출됩니다.
*이것은 당연하다고 볼 수 있지요
항상 가공이 시작되는 높이에서 일정 높이를 떨어져서 가공진입을 대비하는 위치의 값이 진입높이이라 해당 가공정의 안의 서로 다른 재료상단 높이값이 있더라도 동일한 길이의 진입높이값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공시간 단축에 도움이 됩니다.
* 위 이미지(좌측)처럼 진입높이값이 증분 5.0을 가지고 재료상단 높이가 절댓값 Z0.0을 가진 경우 진입높이(급속이송에서 해당 공구 Z 축 이송속도로 전환되는) 값은 Z5.0이 됩니다.
그리고 우측 이미지처럼 진입높이값이 증분 5.0을 가지고 재료상단 높이가 증분 2.0(선택한 체인의 위치는 Z-5.0)인 경우 재료상단 높이값은 Z-3.0이 되며 진입높이값은 Z2.0이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진입 높이는 실제 가공시작될 높이(재료상단 : 가공경로 산출시작 위치)에서 정해진 높이 여유값(진입높이)을 설정하는 것이라 보통의 경우 증분값으로 두고 가공경로를 생성하여도 무방합니다.
* 다만 대부분의 경우 Z0.0(가공원점)을 기준으로 절댓값 적용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그냥 다같이 절대값 적용(진입높이도)하는 것이 보통의 경우 이고 절대값 적용시 공구의 움직임이 안전높이, 이송높이, 진입높이등 일정한 적용을 원하는 경우가 많아 주로 절대값 적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절대값 적용 할 때와 증분값 적용 할때 예는 링크파라미터 실무 설명시 다시 합니다.
재료상단
기본적으로 재료상단 높이는 해당 가공정의 선택한 체인요소 높이에 따라갑니다.
* 그러므로 재료상단 높이는 선택된 체인요소(체인요소가 다수인 경우 각각의 체인요소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기준으로 산출되며 해당 체인요소 위치값(Z 축)에 현재 링크파라미터에 지정한 재료상단 값을 적용(절대/증분)하여 적용합니다.
다만 절댓값 경우 선택한 체인요소 위치값에 관계없이 지정한 재료상단 높이값(Z0.0 가공원점에 기준한)으로 산출되고 증분값 적용 시에만 해당 가공정의 체인요소 위치값에 기준하여 링크 파라미터 재료상단값에 기준하여 증분 산출됩니다.
* 위 이미지(좌측)처럼 재료상단값이 0.0인 경우 절댓값 적용시 가공원점(Z0.0)기준 절대값 좌표 적용되어 해당 가공정의 재료상단 높이값(가공경로 산출기준 높이)이 Z0.0이 적용됩니다.
(주의사항은 윤곽 가공의 경우 깊이가공이 적용되지 않았으면 바로 가공깊이 높이로 가공경로가 생성되고, 깊이가공이 생성되면 현재 재료상단 적용높이에서 깊이가공 단계별 높이(황삭 간격)가 한 단계 적용된 높이에서부터 가공경로가 생성됩니다.)
(즉 재료상단 높이가 Z0.0 이면 깊이가공(1.0 깊이단계시) 적용 시 가공경로는 Z0.0에서 부터 생성되는것이 아니고 깊이가공 단계값(1.0)을 제외한 Z-1.0에서 부터 가공깊이값 까지 생성됩니다.)
그리고 증분값 적용시 해당 가공정의 체인요소 높이값(절대좌표값) 기준 증분된 높이값으로 재료상단값이 적용됩니다.
즉 이미지(우측)처럼 재료상단 값이 0.0이고 증분값 적용 체인요소 높잇값(Z-3.0)이면 가공경로는 체인요소 높이값에서 부터 가공경로(Z-4.0부터/깊이가공 단계값(1.0)경우)가 산출됩니다.
*위 이미지(좌측)처럼 재료상단값이 증분 0.0인 경우 가공깊이값이 절대-5.0 그리고 해당 가공정의 체인요소 높이값이 Z-2.0인 경우 가공경로가 체인요소 높이값 Z-2.0에서 가공깊이 Z-5.0까지의 경로를 생성합니다.
위 이미지(우측)처럼 재료상단값 증분 3.0이고 가공깊이값 증분 0.0 그리고 체인요소는 Z-3.0인 경우 체인요소 높잇값 Z-3.0에서 재료상단 증분 3.0만큼 증분 되어 결국 Z0.0 위치에서 가공깊이값 증분 0.0(결국 체인요소 높이값)이므로 가공경로는 Z0.0에서 Z-3.0까지 가공경로가 생성됩니다.
* 재료상단값이 증분 0.0의 의미는 해당 가공정의 체인요소의 높이값을 재료상단(가공경로 산출기준값)으로 지정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주로 1개 가공정의 안의 각각 높이값이 틀린 체인요소 높이값을 각각 재료상단 높이값으로 정하고 싶은 경우 이렇게 합니다.
(다만 가공정의 1개에는 1개의 재료상단값과 1개의 가공깊이값만 지정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패턴에서만 적용 가능 합니다.))
가공깊이
기본적으로 가공깊이값은 해당 가공정의 선택한 체인요소 높이값에 기준합니다.
* 그러므로 가공깊이값은 선택된 체인요소 높이값(체인요소가 다수인 경우 각각의 체인요소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기준으로 산출되며 해당 체인요소 높이값(Z 축)에 현재 링크파라미터에 지정한 가공깊이 값을 적용(증분)하여 적용합니다.
다만 절댓값 경우 선택한 체인요소 위치값에 관계없이 지정한 가공깊이값(절대좌표)에서 산출되고 증분값 적용 시에만 해당 가공정의 산출된 재료상단 높이값에 기준하여 링크 파라미터 가공깊이값으로 증분 산출됩니다.
* 위 이미지(좌측)처럼 재료상단값이 절대 0.0이고 가공깊이값은 절대-5.0 이면 해당 가공정의 경로는 Z0.0에서 Z-5.0까지 생성됩니다.
위 이미지(우측) 경우 재료상단값이 절대-3.0이고 가공깊이값은 증분-5.0 이면 우선 재료상단값은 절댓값 Z-3.0이므로 가공경로는 Z-3.0에서 시작하며 가공깊이값이 증분-5.0 이면 앞서 재료상단 높이가 Z-3.0에서 증분-5.0 하여 Z-8.0까지 가공경로가 생성됩니다.
* 위 이미지(좌측)처럼 재료상단값이 증분-3.0이고 가공깊이값은 증분-5.0 이면 우선 재료상단높이는 증분-3.0이고 체인요소 높이가 Z-3.0 이므로 재료상단 높이값은 Z-6.0이 되며 가공깊이값은 증분 -5.0이므로 체인요소 높이 Z-3.0에서 증분 -5.0 이면 가공깊이값은 Z-8.0이 되므로 가공경로는 Z-6.0에서 Z-8.0까지 생성됩니다.
위 이미지(우측) 경우 재료상단값이 증분 8.0이고 가공깊이값은 증분1.0 이면 우선 재료상단높이는 체인요소 높이 Z-3.0에서 증분8.0 하여 Z5.0에서 시작하며 가공깊이값은 체인요소 높이 Z-3.0에서 증분 1.0 하여 Z-2.0이 되어 가공경로는 Z5.0에서 Z-2.0까지 생성됩니다.
링크파라미터 값 절대/증분시 적용요약.
절댓값 적용 시 : 해당 파라미터 입력값이 해당 가공정의 가공원점(Z0.0) 기준으로 절댓값으로 적용됩니다.
* 이때 파라미터값 또는 체인요소 높이값등이 상호 영향을 주지 않고 각자 개별적인 동일 적용 절댓값을 가집니다.
증분값 적용 시 : 해당 파라미터값은 각 항목당 연관되는 항목 최종 높이값에 기준하여 증분 산출됩니다.
안전높이 - 재료상단 산출값에 대하여 증분
이송높이 - 가공깊이 산출값에 대하여 증분
진입높이 - 재료상단 산출값에 대하여 증분
재료상단 - 체인요소 높이값에 대하여 증분
가공깊이 - 체인요소 높이값에 대하여 증분
관련값
링크파라미터의 각항목에 대한 기준점높이를 작업자가 임의적으로 점을 선택(Z좌표값이 표현될 수 있는 3D이어야 합니다.)하면 각항목 파라미터값은 그 선택한 점의 높잇값 기준으로 증분 적용됩니다.
* 관련값 적용 시 앞서 절대/증분값 적요시 체인요소의 대한 연관관계가 무효화 되며 오직 관련값 선택점에 의하여 높이값이 산출됩니다.
* 그렇다고 관련값 적용시 관련 체인요소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해당 가공정의에서는 체인요소가 선택되어야 합니다.)
* 만일 현재 화면 구성모드가 2D이면 Z 축 높이를 선택할 수 없으니 화면 구성모드를 3D로 변경하여야 하며 만일 현재 2D 모드 이면 아래와 같은 경고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위 메시지에서 확인을 클릭하면 자동적으로 2D에서 3D모드로 변경됩니다.
* 마스터캠 작업화면 하단 평면, 좌표 관련 표시 부분의 2D/3D
해당 파라미터 항목의 높잇값 기준점을 선택하는 방법은 링크 파라미터의 오른쪽 사방화살표 표시 아이콘 중 점 선택 / 점 삭제 버턴을 클릭하여 선택/삭제합니다.
링크 파라미터 관련값 적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위 이미지(좌측)처럼 해당 항목값을 "0.0"으로 입력 시 해당 관련값으로 선택한 점의 높이를 절댓값으로 정의됩니다.
위 이미지(우측)처럼 해당 항목값을 입력 시 입력된 값을 해당 관련값으로 선택한 점의 높이값에 증분 산출됩니다.
(해당 항목 값을 입력시 선택점의 증분값으로 된다는 의미는 만일 재료상단 값을 -2.0으로 입력하고 해당 관련값 선택점을 Z2.0에 선택했는데 적용 재료상단 높이는 -2.0 증분 되어 Z0.0으로 산출됩니다.
* 이러한 관련값 선택방식은 어떠한 높이값이 아닌 가공물(소재)의 형태에 따라 안전높이, 이송높이, 진입높이, 재료상단, 가공깊이 값을 지정하고 싶은 경우 활용되며 주로 3D 모델링 데이터만 가지고 소재형상에 따라 링크파라미터값을 지정하여야 할 때 사용됩니다.
링크파라미터 항목 입력 선택버턴
해당 항목의 높이값을 입력받기 위하여 작업화면상 도형요소(와이프레임/솔리드)의 위치점을 클릭하여 해당 위치점의 절대높이값(WCS기준)을 해당 파라미터 항목값에 입력됩니다.
* 이때 입력되는 값은 절대/증분 양쪽에 사용가능합니다.
* 입력된 값은 단지 측정된 숫자값으로 어떠한 의미는 안 가집니다.
* 선택한 위치점에 해당하는 도형요소가 차후 변경되어도 링크파라미터 항목값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선택한 도형요소와 연동되지 않음)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 > 2D 가공 경로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D가공경로에 대하여 -22(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14(홈/참고점)) (0) | 2024.06.01 |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D가공경로에 대하여 -21(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13(링크 파라미터-3)) (1) | 2024.05.29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D가공경로에 대하여 -19(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11(링크 파라미터-1)) (0) | 2024.05.23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D가공경로에 대하여 -18(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10(탭(Taps))) (1) | 2024.05.09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D가공경로에 대하여 -17(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9(측면가공)) (0) | 2024.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