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2D가공경로에 대하여 -26(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18(절삭유))

반응형

 

 이번에는 2D 윤곽가공 파라미터 중 절삭유 파라미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통상적인 절삭유 파라미터 항목을 살펴보면..


 위와 같은 화면으로 되어 있습니다.

 기본값으로 3가지 절삭유(통칭)-(비/수용성 절삭유(Coolant), 오일 미스트(Oil-mist), 주축관통 절삭유(Thru-tool)) 그리고 에어분사(Air blow)가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비/수용성 절삭유을 많이 쓰시기 때문에 절삭유 사용을 전제로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마스터캠을 신규로 설치하고 절삭유 관련 설정을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고 전제하고 우선 가공정의를 하나 생성해 봅니다.


 이때 신규 공구 생성시 절삭유 관련 설정을 하지 않고 생성하여 가공정의에 적용하였습니다.


* 기존 공구 또는 미리 생성된 공구목록에서 공구 파라미터에 절삭유 관련 설정을 하지 않은 전제입니다.

 


 가공정의 생성 후 우선 마스터캠 기본 포스트 "MPFAN.PST"을 이용하여 가공데이터를 생성했습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해당 가공데이터(NC데이터) 출력물에는 절삭유 출력 "M08" 중지 "M09"가 자동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출력 포스트는 마스터캠 기본포스트 MPFAN.PST 와 IHC사의 포스트 MPMASTER.PST을 적용하였습니다.

 


 그럼 어떠한 설정 없어도 절삭유 관련 M코드(M08/M09)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마스터캠 기본값으로 가공정의 생성 시 절삭유 사용 "ON"상태로 생성됩니다.

 


 그래서 해당 가공정의 파라미터값을 보면...

 


* 위와 같이 가공정의 기본값으로 절삭유(FLOOD : 방수) 값이 "ON"으로 되어 있습니다.


* 그런 관계로 마스터캠은 포스트 변환과정에서 절삭유 출력 변숫값을 "Scool50"으로 출력하여 해당 포스트에서 "M8"을 출력하도록 합니다.


* 이것은 마스터캠 X버전 이후 포스트 전환 출력 스타일(9.1과 틀립니다.)입니다.

 

 


 그렇지만 이렇게 하면 단순 절삭유 출력환경은 큰 문제가 없지만 뭔가 좀 더 자세한 옵션을 적용하길 희망합니다.

 


 예을 들면..

 절삭유 출력 지점위치(가공 데이터문에서 "M8" 출력위치를 변동)를 조절하였으면 하는 것 과 비/수용성 절삭유 사용(Coolant) 외 주축관통절삭유(Thru-tool) 사용 또는 에어 블로우(Air blow) 사용을 번갈아가면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입니다.

 

 

 

먼저 절삭유 출력 위치 조절

 마스터캠은 가공정의 실행 시 절삭유 방수위치(M8출력위치)를 3가지(전에, 함께, 후에) 옵션을 제공합니다.


* 정확하게는 포스팅 작업할 포스트의 절삭유 설정을 따라갈 것인가? 아니면 마스터캠에서 지정하는 절삭유 출력위치를 따라갈 것인가?을 해당 머신정의 일반 파라미터 절삭유 명령 항목에서 정의합니다.

 


 우선 마스터캠에서 설정할 수 있는 절삭유 출력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 설정은 마스터캠에서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MPFAN.PST에 주로 적용되며 다른 포스트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MPFAN.PST 이외 포스트는 자신만의 절삭유 출력위치가 있어 그것을 준수하므로 그것 이외 지령이 있으면 절삭유 출력 지령 자체가 출력되지 않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일 현재 사용 중인 포스트의 절삭유 출력위치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시면 마스터캠 절삭유 지령은 단순 "ON / OFF"만 정하시면 됩니다.


* 보통 기본값이 절삭유 사용"ON"으로 되어 있으므로 별다른 조작 없이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 좌측 이미지가 절삭유 출력을 포스트 설정으로 정의한 화면이고 우측 화면이 절삭유 출력을 마스터캠 파라미터 설정으로 정의한 화면입니다.

 


 그럼 이번에는 절삭유 출력위치 지령을 마스터캠 설정으로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이방식은 사실상 해당 머신정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라 다른 머신정의를 사용하거나(특히 타업체 캠파일을 열어보는 경우 등..) 머신정의를 수정하는 경우 적용이 안될 수 있습니다.

 

 


 현재 적용 중인 머신 정의를 수정하는 방법으로 설명합니다.

 우선 해당 머신 그룹의 머신 속성의 파일 트리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머신 그룹 속성 옵션창 이 표시됩니다.

 머신-가공경로 복사 항목에서 수정(따옴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이것은 현재 적용된 머신정의 설정을 수정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머신 정의 관리자 창이 표시됩니다.

 


 머신 정의 관리자 창 상단부 기능별 아이콘 중 일반 머신 파라미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여러 항목탭 중 절삭유 명령 탭을 선택합니다.

 


 먼저 해당 절삭유 지령을 포스트에서 하느냐 마스터캠에서 하느냐는 상단 "포스트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절삭유 값을 사용해 절삭유 지원(하위 포스트와 역호환 가능)" 항목입니다.



* 좌측이 절삭유 지령을 포스트에서 지령, 우측이 절삭유 지령을 마스터캠 절삭유 파라미터에서 지령 선택 체크박스입니다.

 


* 위와 같이 절삭유 지령이 포스트로 정의하면 하위 옵션이 비활성화되고 절삭유 지령이 마스터캠으로 정의되면 하위 옵션이 활성화됩니다.

 


 기능설명을 하면..

 포스트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절삭유 값을 사용해 절삭유 지원(하위 포스트와 역호환 가능)

위에 설명하듯이 절삭유 출력지령을 포스트 설정에서 정의 또는 마스터캠 설정에 정의 함을 선택합니다.


첫 번째 절삭유 off 명령으로 모든 절삭유 off
절삭유 출력지령을 마스터캠 설정으로 정의된 상태에서 전체 가공정의 주의 첫 번째 가공정의 절삭유 지령이 off(무시)로 되어 있는 경우 나머지 하위 가공정의 절삭유 지령 유무(ON/OFF)에 관계없이 무조건 절삭유 off 상태로 가공데이터가 출력됩니다.


* 주의사항이 포인트가 되는 첫번째 가공정의 절삭유 지령이 off(무시)로 되어있는 경우이며 다른 같은 역할을 하는 사용자 지령의 경우 적용되지 않습니다.

 


 포스트 상으로 해당 기능은 아래와 같이 작동합니다.

#Coolant variables for X style coolant (마스터캠 X버전 이상 해당 절삭유 변수 설정 항목)

all_cool_off : 0     #First coolant off command shuts off ALL coolant options

위 항목의 변숫값(all_cool_off)을 "0"에서 "1"로 변경하면 해당 가공정의 포스팅 작업 시 절삭유 출력 관련 M코드가 출력되지 않습니다.


* 주로 가공데이터 상에서 절삭유 출력 설정을 비활성화하고 실 가공 시 해당 장비 조작반에서 수동조작으로 절삭유 출력을 조작할 경우 적용합니다.

 

* 그리고 저 항목의 기능이 절삭유 출력기능(전체)의 OFF 출력 코드의 통일화를 일률 적용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래 절삭유 출력(M8 이외) 선택 시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트리구조 컨트롤 절삭유 텍스트 (Coolant...)
 트리(Tree) 구조(가공정의 파라미터 트리구조) 형태의 가공경로(2D, 드릴, 다이내믹 가공경로 등) 이외 자체 파라미터 옵션창을 가진 가공경로(3D 곡면 가공경로 등)의 경우 절삭유 지령 파라미터 버턴의 텍스트(표시문자)의 철자를 정의합니다.



 절삭유 이벤트 라벨
절삭유 관련 이벤트(지령문) 라벨(문자열)에 대하여 설정을 정의합니다.


 해당 절삭유 항목에 대한 파라미터에 표시되는 지령문(절삭유 형태)과 지령 활성화(ON/OFF)에 대한 표시되는 문자열에 대한 정의 합니다.



기본값 : 입력된 텍스트가 표시되며 필드가 활성화됩니다.
 해당 절삭유 이벤트칸에 해당 절삭유 지령문(코드로서 의미는 없고 단지 명칭 문자열만 반영)을 입력하면 반영되며 이벤트 활성화/비활성화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 해당 이벤트 문자칸에 작업자가 식별할 수 있는 문자열(의미 있는 지령문이 아님)을 입력 가능하고 그 이벤트(절삭유 출력 기능 ON/OFF) 선택에 대한 문자열(의미 있는 코드가 아님)을 입력 가능하게 활성화합니다.


* 여러 번 설명드리지만 여기 적는 문자열(이벤트, 이벤트 활성화/비활성화)은 말 그대로 해당 파라미터에 표시되는 문자열이며 실제 출력 시 적용되는 지령문(코드)으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 해당 절삭유 출력 지령문은 적용하는 포스트(post)의 해당 절삭유 적용 항목의 지정된 지령문으로 출력됩니다.


* 여기 이벤트칸의 문자열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이벤트 순서 번호(Flood = "1")가 해당 포스트의 절삭유 항목의 출력형태 번호와 연관됩니다.

 


예로...


 위와 같이 절삭유 이벤트에 명기된 문자열 내용과 관계없이 절삭유 이벤트 항목 순번에 따라 포스팅인 포스트의 절삭유 변수 항목 내용에 따라 해당 절삭유 지령문이 출력됩니다.


* 위 사항은 마스터캠 버전 V9.1은 해당되지 않는 X버전 형태 마스터캠 (X ~ 2025...)에만 해당됩니다.

 


예로서..

 1번 절삭유 이벤트는 수용성 절삭유 출력 지령, 2번 절삭유 이벤트는 에어 블로우 출력 지령으로 한다면..

 먼저 적용되는 포스트(post)(여기서는 예로서 MPFAN.pst 적용합니다.)을 열어서 해당 절삭유 출력 코드 설정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포스트 내용을 찾아보면..


# Coolant output code selection for X style coolant
# Note: To enable X style coolant, click on the General Machine Parameters icon
#   in the Machine Definition Manager, Coolant tab, disable first check box
#   Output of X style coolant commands in this post is controlled by pcan, pcan1, & pcan2
scool50 : "M8"                 #Coolant 1 on value
scool51 : "M9"                 #Coolant 1 off value
scool52 : "M7"                 #Coolant 2 on value
scool53 : "M9"                 #Coolant 2 off value
scool54 : "M88"                #Coolant 3 on value
scool55 : "M89"                #Coolant 3 off value

 여기서 #Coolant 1(순번 1)의 on/off 변숫값을 지정하여야 합니다.
* 이미 기본값이 수용성 절삭유 출력 on/off 코드명(M8 / M9)으로 되어 있으므로 기본값 그대로 둡니다.

 


#Coolant 2(순번 2)은 에어 블로우 출력 on/off 코드명(M14 / M15)으로 변경해 줍니다.

scool50 : "M8"                 #Coolant 1 on value
scool51 : "M9"                 #Coolant 1 off value
scool52 : "M14"                #Coolant 2 on value
scool53 : "M15"                #Coolant 2 off value

 이후 해당 포스트를 저장합니다.


* 가능하면 다른 이름으로 (변경된 사항을 명기한) 저장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변경된 절삭유 지령 선택을 마스터캠에서 할 수 있도록 마스터캠 머신정의에서 일반 머신 파라미터탭 항목 중 절삭유 명령 항목으로 가서 (위의 내용과 동일합니다.) "포스트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절삭유 값을 사용해 절삭유 지원(하위 포스트와 역호환 가능)" 항목을 체크 해제 합니다.


* 사실 변경 안 하고도 작동은 하나 마스터캠 기본값이 순번 2번은 미스트 출력으로 표기되므로 이를 에어 블로우로 변경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그리고 절삭유 이벤트 항목으로 가서 해당 절삭유 지령문(식별가능한)으로 변경합니다.

 


* 우측처럼 순번 1 : 수용성 절삭유, 순번 2 : 에어 블로우로 변경합니다.


* 여러 번 말씀드리지만 위 이벤트 문자열은 출력되는 절삭유 관련 코드와는 관련 없습니다.

 


 다시 해당 파라미터 창을 확인하여 종료하고 머신 정의 관리자 창을 확인 종료하시면 경우에 따라 해당 머신정의 변경 저장 확인 메시지창이 표시됩니다.
* 맨 처음 한번 표시됩니다.


*변경된 머신정의를 적용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확인을 클릭하여 다시 머신 그룹 속성창으로 되돌아서 마지막으로 확인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해당 가공정의 절삭유 파라미터를 보면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 있습니다.


 그럼 먼저 절삭유 출력을 수용성 절삭유 "M8", "함께" 항목으로 적용하여 해당 가공정의를 출력해 봅니다.


* 수용성 절삭유 출력 on/off 가 무난히 M8 / M9로 출력됩니다.

 


 이번에는 절삭유 출력을 에어 블로우 "M14", "함께" 항목으로 적용하여 해당 가공정의를 출력해 봅니다.


* 이때 앞서 수용성 절삭유 출력 항목을 "무시"로 되돌려 놓아야 합니다.
 만일 그대로 설정하면 M8, M14가 같이 출력됩니다.

 


 그런데 출력된 가공 데이터를 보니 뭔가 이상합니다.

 

 에어블로우 출력 M코드 M14는 무사히 잘 출력되는데 M15가 출력되지 않고 M09가 출력되어 있습니다.


* 절삭유 관련 M코드는 우선 DN솔리션(구 두산) 머시닝 장비에 국한되어 설명하겠습니다.


다른 장비 메이커에 따라 관련 M코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해당 포스트(MPFAN.pst)에서 기본적으로 절삭유 출력 off가 M09로 되어 있습니다.
* 이것은 해당 포스트마다 차이점이 있습니다.

 


 해당 포스트를 찾아보니 다음과 같은 지령문이 있어 절삭유 출력 off시 "M09"로 출력되게끔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위에 있습니다.

 머신정의 절삭유 명령 항목의 "첫 번째 절삭유 off 명령으로 모든 절삭유 off" 항목이 절삭유 off 지령이 전부 "M09"로 출력되겠음 작동합니다.



 그래서 이 항목을 체크 해제하여 다시 출력해 보았습니다.


 

 무사히 에어 블로우 출력 M코드 M14 / M15가 출력됩니다.


* 이것은 해당 포스트마다 틀리므로 각자 적용 포스트 내용을 인지하고 수정하셔야 합니다.

 


* IHC사의 MPMASTER.pst의 경우는 조금 다릅니다.

 해당 포스트 내용을 보면 MPFAN.pst와 달리 X버전 형태와 V9.1 버전과 구분을 하지 않습니다.


* 위 포스트 경우 절삭유 출력 순번 1 코드 ON(sm08), OFF(sm09), 순번 2 ON(sm08_1), OFF(sm09_1)...(sm08_2)(sm09_2).... 형식으로 절삭유 출력 코드 순번을 지정합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만일 작업자가 절삭유 출력(M08/M09), 에어 블로우 출력(M14/M15), 주축관통 절삭유 출력(M07/M09), 미스트 분사 출력(M55/M56)을 지정한다고 할 때 다음과 같이 지정합니다.

 


 해당 포스트(MPFAN.PST)의 해당 부분을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그러면 작업자가 원하는 형태로 각각 가공상황에 따라 절삭유 출력 설정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