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아큐센터를 이용한 소재 가공원점을 해당 머시닝 장비 워크좌표계에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저번에 아래와 같은 가공원점을 가진 소재의 X축 방향 원점위치 좌표값을 아큐센터로 측정하여 해당 워크좌표계 X축 좌표값칸에 입력하였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Y축 소재 측면을 측정하여 해당 소재 가공원점을 해당 장비 워크좌표계에 입력하겠습니다.
요령은 X축과 동일합니다.
다만 -Y축 방향에서 들어오는 것만 틀립니다.
설명을 간략하기 위하여 저번 측정방법중 3번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하겠습니다.
먼저 소재 Y축 방향 측면을 +Y축 방향으로 해서 진입합니다.
아큐센터와 소재측정면(Y축방향)과 접촉후 임팩트하면 바로 OFS/SET모드로 들어가서 좌표계 - 워크좌표계 해당 축값 칸에 가서 "Y5.0"(+)을 입력 후 "측정"소프트키를 눌러 현워치를 측정하여 해당축값칸에 계산된 기계좌표값을 입력합니다.
* 실직적으로는 해당 아큐센터 접촉(임팩트)후 MPG조작으로 Z축방향 안전한 높이 까지 올려놓고 해당 워크좌표계 입력과정을 진행합니다.
* 경우에 따라서 아큐센터 접촉(임팩트)된 상태 그대로 다음 조작을 하셔도 무방하나 가능한 아큐센터 측정면 마모 또는 안전한 위치(높이만)에 해당 공구를 이동후 다음작업을 하는 것이 안전작업에 유리하므로 가능한 이동후 하시기 바랍니다.
* 만일 여기서(지정된 원점에서 벗어난 위치) 해당 가공원점으로 정확히 이송되는지 확인 할려면 우선 해당축을 충돌이 없는 안전한 높이로 이송 후 MDI모드에서 해당 이송지령 "G00 G90X0.0 Y0.0;"을 입력 후 실행(스타트버턴누름)하면 급속이송으로 해당 가공원점으로 이동합니다.
(이 작업은 급속이송으로 아무런 안전 조치없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반드시 이송경로에 충돌물이 있는지 확인하시고 허공에서 시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소재의 한 모서리지점(외부 측면의 교차점)을 가공원점으로 하는 경우에는 지금 까지의 방식을 적용하여 실행하시면 되고 참고로 사각형 또는 원형 내 외경 진입 시 워크좌표계에서 입력하는 아큐센터 측정반경 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각형 형태 소재 외경 측정시
위와 같은 아큐센터 측정반경값(5.0)을 측정방향(+/-X , +/-Y)에 따른 워크좌표계 입력 시 입력값 예입니다.
(방향에 주의)
사각형 형태 소재 내경 측정 시
사각형 외형 측정 시의 입력값의 (+/-) 반대로 되는 것에 주의하십시오.
* 입력값의 (+/-)가 중요한 것은 아니고 해당 아쿠센터의 진입방향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 만일 이전에 설명한 1, 2번 방법(아큐센터축을 소재 측면(측정면)에 일치하게 이동한 경우에는 (+/-)에 관계없이 해당축"0.0"값을 입력하셔야 합니다.)의 경우 입력값(+/-5.0 >> 0.0)이 틀리게 됩니다.
이외 원형(정원)의 소재형태 경우 역시 같은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다만 원형(정원) 형태 소재 가공원점은 보통의 경우 소재 중심점(원형의 중심)을 가공원점으로 잡는 경우가 많아 이 경우는 양센터(소재 중심점 구하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아큐센터 진입방향에 대한 측면기준 가공원점 설정에 대한 참고 사항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러한 소재의 한쪽 모서리를 가공원점으로 하는 경우에 대한 마무리 설명을 하겠습니다.
위 이미지처럼 고정 죠쪽 좌측에 가공원점을 선택한 경우 해당 소재의 X축 방향과 -Y축방향(기계좌표 기준)에서 아큐센터를 접촉(임팩트) 하신 후 해당 워크좌표계에 바로 해당 각축별로 가공원점 위치값을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 만일 바로 워크좌표계(상대좌표계에 X0.0, Y0.0를 만들지 않고)에 원점위치를 입력 시 각축별로(순서관계없이) 하나씩 접촉(임팩트) 후 해당축 원점위치를 측정하셔야 합니다.
위 이미지처럼 고정 죠쪽 우측에 가공원점을 선택한 경우 해당 소재의 -X축 방향과 -Y축 방향(기계좌표기준)에서 아큐센터를 접촉(임팩트) 하신 후 해당 워크좌표계에 바로 해당 각축별로 가공원점 위치값을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 가공원점의 좌우 구분은 큰 의미는 없으며(가공 제품의 데이텀(위치 공차 기준면)) 작업자의 작업습관에 좌우됩니다.
(물론 가공경로 생성 시 마스터캠의 가공원점 위치와 해당 소재 가공원점 위치는 동일하여야 합니다.)
* 위 이미지와 반대로 이동 죠 쪽의 소재 측면을 측정면으로 하지 않는 이유는 고정 죠쪽에 접한 면은 거의 99.9% 고정적인 좌표값을 나타내지만 이동 죠쪽은 이동되는 죠이라 바이스 조이는 방식에 따라 거리값(위치값)이 차이 날 수 있어 변동되는 위치라 하여 가능한(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이동 죠 쪽 면에 가공원점을 설정하지는 않습니다.
이제 다음에는 해당 소재의 중심점(양센터)을 아큐센터로 측정하여 워크좌표계에 입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3개월 미만 초보자 가 보는 머시닝 교재 (초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4(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5) (0) | 2025.01.30 |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3(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4) (0) | 2025.01.27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1(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2) (3) | 2025.01.12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0(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1) (2) | 2025.01.04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09(양센터 매크로 사용법-1) (0)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