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저번에 이어서 아큐센터를 활용한 소재 가공원점 설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이번에는 정원형태(정원이라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재의 내 외곽 측면을 측정하여 그 원형의 중심점(센터)을 찾아서 그 위치를 해당 워크좌표계에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여기서는 정원형태(정확한 360도 원형 형태)의 소재의 중심점을 찾는것을 전제로 합니다.
즉 아래와 같은 형태는 사실상 아큐센터를 활용한 중심점의 위치를 찾는것은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이론적으로는 기울어진(상대적으로 대칭되는 거리값이 있는) 형태일지라도 기본적으로 아큐센터는 측정하는 측면과 아큐센터 이송축 방향이 90도 직각으로 만나는 형태가 되어야 정확한 거리값이 나오며 아큐센터 측정면 특성상 기울어진 면에는 정확한 접촉(임팩트) 발생 시점을 특정하기 어려워 측정된 거리값의 신빙성이 떨어집니다.
* 다만 같은 방식이지만 자동적으로 측정되는 터치 프로그 같은 동일한 측정 감각으로 측정시에는 어느 정도 정밀성이 보장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럼 이러한 정원형태 소재의 중심점을 아큐센터로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기본적으로 소재의 중심점(센터)을 가공원점으로 정의된 경우에 해당 합니다.
* 간혹 소재는 정원형태 인데 가공원점은 중심점이 아닌 다른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적용(1차적으로)되는 측정 방법입니다.
* 또한 앞서 설명한(사각형 형태) 양센터 측정 방식과 동일한 절차와 동일한 방식을 따릅니다.
* 다만 사각형의 경우 접촉면이 정확한 90도 직각면이라는 전제하에 양쪽 측정하는 위치가 틀려도 무방하나(사각형 경우 약간 불규칙적인 형태(명확한 직각이 아닌 경우) 좀 평균적인 위치 거리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부로 대각선 형태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는 있습니다.) 정원형태의 경우는 반드시 동일 축선상에서 측정을 하여야 합니다.
위 이미지를 참조하면.
사각형 형태 소재
①②③④ 정상적으로 준수하게 양센터 측정이 가능한 방향
* 사각형(90도 직각이라는 전제하에)에서 동일하지 않은 축선상(다른 축좌표값이 서로 틀리는)에서 측정하여도 무방하게 아큐센터로 측정 가능합니다.
정원형태 소재
⑤ 제일 권장하는 양센터 측정이 가능한 방향
⑥ 살짝 권장하지는 않지만(사실 맨처음 어떠한 기준이 없으면 정확한 센터 지점에서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작업자 조작에 따라 측정이 가능한 방향
⑦ 만일 정확한 센터점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정확하게 양분하지 못할 시에는 전혀 권장하지 않는 측정 방향입니다.
(사실 정확하게 양분할 수 있는 (정확한 대각선 방향) 좌표값을 알수 있다는 그것이 바로 원하는 중앙지점(센터) 좌표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사실 간단하게 사각형 소재처럼 양센터를 측정하면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 이것은 먼저 소재의 직경값을 알고 있으면 양센터 측정시 측정되는 거리값을 가지고 어느 정도 정밀 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기는 하나..... 약간 부정확합니다.
* 그래서 반드시 정확한(어느 정도 가공작업이 요구하는 정밀도을 충족하기 위하여) 소재 원점을 찾기 위함이라면 좀 여러 번에 걸친 아큐센터 측정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저는 아래 소개하는 방식으로 정원형 소재 중심점을 아큐센터로 측정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권합니다.
* 다만 이것은 해당 가공제품의 가공정밀도에 따라 조절하셔야 합니다.
먼저 해당 소재를 준비하고 잠깐 생각해 봅니다.
* 해당 원형소재의 외경(측정면)의 지름값은 120 Ø으로 정의됩니다.
아까 설명한 것처럼 먼저 양센터를 측정하기 위하여 가능한 소재의 센터점 일치하는 축선에 아큐센터를 위치하기 하려고 노력하나 사실상 어느 정도 비슷한 위치로 위치(눈대중으로)할 수밖에 없습니다.
* 이렇게 맨 처음 한축을 측정 시 어긋나면 다음 축을 측정 시에 같은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센터 이므로 먼저 한축을 측정하여 중간거리값을 구하는데 이것이 어긋난 위치로 지정되면 다음 축 측정시도 어긋난 기점을 기준으로 측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 실제로는 작업자가 크게 아큐센터 조작을 실수하기 전에는 위와 같이 하더라도 크게 차이 나지 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위치공차나 중심점이 맞아야 하는 정밀 제품에서는 좀 주의 사항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저는 X, Y축별로 2번으로 아큐센터 측정을 끝내지 말고 3~4회 정도 반복 측정하시길 권합니다.
그래서 저의 경우는 우선 Y축 방향으로 어느 정도 대충(일반적으로 하는 정도..) 양센터를 측정①합니다.
* 이미지처럼 우선 소재의 중심위치를 대충 눈대중으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보통의 경우 알고 있는 소재의 지름값보다 작게(크게 나오면 뭔가 이상한 것이지요..) 측정될 것입니다.
그리고 X축 측정 방향으로 와서 아까 Y축방향으로 측정한 지점의 중간 지점으로 아큐센터를 위치합니다.
(이때 위치가 앞서 Y축 측정으로 어느 정도 X축 중심위치와 유사한 위치가 됩니다.)
이 상태에서 X축 방향으로 양센터를 측정②합니다.
(이때 가능하다면 소재의 지름값을 먼저 측정(다른 측정 기구를 사용해서)또는 알 수 있다면 그 치수를 기억하고 있다가 이때 측정한 X축 양센터 거리값과 비교해 봅니다.)
(이때 이 거리값(야큐센터 측정경값을 뺀)이 알고 있는 소재의 지름값과 근사치(가공 공차 기준)에 부합하면 어느 정도 측정이 잘된 것입니다.)
그럼 이 상태에서 X축의 측정 중간위치에서 다시 Y축 양센터 측정③을 해봅니다.
(이때도 이미 알고 있는 소재 지름값과 비교해 봅니다.)
(제대로 하셨으면 측정하면 할수록 해당 소재 지름값과 양센터 측정거리값과 유사(가공공차 내)하여야 합니다.)
이때 만일 측정거리값이 알고 있는 소재 지름값과 가공공차 이상의 오차가 있다면 다시 한번 순서대로(X > Y > X > Y...)양 센터 측정하여 어느 정도 일치하는 값이 나오도록 측정해야 합니다.
(보통의 경우 대충 Y축 측정(1차) > 정밀 X축 측정(2차) > 정밀 Y축 측정(3차) 이면 거의 ±0.05 이내 거리값이 나옵니다.)
여기까지 실행하셨으면 현재 측정한 소재의 중심점의 위치(이미지에서는 나중에 한 번에 X, Y 0.0 프리셋 하나 실제로는 X, Y축 한축 중간거리값 산출후 그 위치에서 해당 축 0.0 프리셋을 실행합니다. 착각에 주의..)에 아큐센터가 위치④하였습니다.
그러면 여기서 완전히 상태좌표계에서 X,Y 0.0을 프리셋 하고(필수 강제 사항은 아닙니다. 생략 가능합니다.) 그 위치에서 OSF/SET - 좌표계에서 해당 워크좌표계의 좌표값칸에 커서(노란색)를 위치한 후 각각 X, Y축 0.0을 측정합니다.
* 측정 시 한 번에 한축만 측정이 됩니다.. ("X0.0 Y0.0" 입력하고 측정하면 형식이 맞지 않는다고 에러 메시지가 뜹니다.)
그러면 여기까지 원형 소재 중심점 좌표값을 해당 워크좌표계에 입력하는 것이 완료된 것입니다.
* X, Y 축만 설정된 것이고 Z 축 또는 다른 부가축은 또 별도의 방법으로 입력하셔야 합니다.
'3개월 미만 초보자 가 보는 머시닝 교재 (초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6(화낙 자동운전시 진행율(%)파악하기) (3) | 2025.02.18 |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5(화낙 조작반 가동 상태 표시바의 표시사항 설명) (1) | 2025.02.01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3(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4) (0) | 2025.01.27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2(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3) (2) | 2025.01.16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1(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2) (3)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