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머시닝 가공 시 또는 조작 시 해당 장비 조작반 화면(화낙 기준)의 현재 조작 관련 상태 메시지 표시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입니다.
상태 표시가 되는 부분은 조작화면에 입력칸 밑에 표시된 부분 입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해당 장비 운전 모드(현재 적용된 작동모드의 종류를 표시합니다.)
② 해당 장비 자동운전(가공 프로그램 가동 중)의 상태를 표시합니다.
③ 현재 작동 중인 축 이송 관련 상태(수동/자동)를 표시합니다.
④ 현재 장비가 어떠한 대기 상태(다음 작동이 있는지 /없는지)를 표시합니다.
⑤ 비상정지(EMG STOP) 또는 리셋키 적용상태(RESET KEY)를 표시합니다.
⑥ 현재 장비의 알람(ALARM) 발생 시 알람내용을 간략히 표시합니다.
⑦ 현재 장비의 등록된 시계(CNC 자체 시계)의 시간을 표시합니다.
⑧ 현재 장비의 테이터(프로그램, 수치, 데이터)의 입출력 상태를 표시 합니다.
* 대부분의 기능 표시는 해당 기능 실행 시에만 표시됩니다.
다시 설명해 드리면..
① 해당 장비 운전 모드
* 머시닝 장비가 현재 작업자가 선택한 또는 실행 중 인 운전(가동) 모드의 종류를 표시합니다.
① EDIT : 에디트(EDIT) 모드 해당 가공프로그램의 등록, 편집, 선택, 작성, 수정 등의 모드 선택 시 표시됩니다.
② MEM : 메모리(MEMORY) 모드 해당 장비 내장 메모리(CNC MEM)에 저장된 가공프로그램의 실행 시 표시됩니다.
③ RMT : 테이프(TAPE) 모드 해당 장비 CNC MEM 외 저장된 저장매체(CF CARD, DATA SEVER, DNC/호출)의 가공 프로그램의 실행(REMOTE) 시 표시됩니다.
④ MDI : 엠디아이(MANUAL DATAT INPUT) 모드 해당 장비 조작반 입력상태에서 수동(키보드) 입력으로 일회성 지령(G/M코드)을 실행하는 모드 선택 시 표시됩니다.
⑤ REF : 알이에프(REFERENCE : 원점복귀) 모드 해당 장비의 가동축(X, Y, Z, 부가축) 원점복귀를 수동/자동 복귀하는 모드 선택 시 표시됩니다.
⑥ JOG : 조그(JOGGING) 모드 해당 장비 가동축(X, Y, Z, 부가축)을 정의된 일정한 피드로 수동 이송하는 모드 선택 시 표시됩니다.
⑦ HND : 핸들(HANDLE) 모드 해당 장비 가동축(X, Y, Z, 부가축)을 수동 펄스발생기(MPG)를 사용하여 해당 가동축을 이송하는 모드 선택 시 표시됩니다.
② 해당 장비 자동운전
* 해당 장비 자동운전(MEM, RMT(TAPE)) 가공 시 가동 중 현재 상태를 표시합니다.
① **** : 현재 장비가 가동할 준비(가공 프로그램 실행 전 또는 실행 후)된 상태로서 다른 의미로 작업자 지령 입력 대기 중 상태시 표시됩니다.
② STRT : 현재 장비가 가공 프로그램 실행(자동운전) 상태이며 가동 중 상태시 표시됩니다.
③ STOP : 현재 장비가 가공 프로그램 실행 중 상태에서 가동(축이송)이 중단된 상태이며 현재 지령된 실행문 한블럭(줄)이 실행 완료되고 다음 지령 블럭 실행을 대기 중 상태시 표시됩니다.
④ HOLD : 현재 장비가 가공 프로그램 실행중 상태에서 가동(축이송)이 중단된 상태이며 현재 지령된 실행문 한블럭 실행중 상태에서 중지 대기중 상태시 표시됩니다.
* 이 차이점은 자동운전 실행 시(스타트 버턴) 중간과정에서 스톱버턴 누르는 경우와 싱글블록 스톱 또는 옵셔널 스톱 기능 사용 시 표시되는 메시지가 틀리게 됩니다.
③ 현재 작동 중인 축 이송 관련 상태
* 현재 가동 중인 장비의 이송축이 어떤 지령을 받고 이송 중인지 을 표시 합니다.
① **** : 현재 장비의 이송축은 지령 대기 중 상태로 정지상태(이송되지 않는) 상태를 표시합니다.
② MTN : 현재 장비의 이송축은 자동운전 또는 MDI모드에서 지령문에 따라 이송 중임을 표시합니다.
③ DWL : 현재 장비의 이송축은 자동운전 또는 MDI모드 지령문에 의하여 이송중 드웰(DWELL : G04)을 지령받아 현재 이송을 중지한 상태(드웰 타임이 종료되면 다시 이송 시작)를 표시합니다.
④ 현재 장비 대기 상태
* 해당 장비가 MDI보드에서 특정 지령문(사이클) M, S, T등의 지령이 내려진 경우 그 지령문이 실행 완료되기 까지 실행중 이라는 상태를 표시합니다.
( MDI 모드상에서 일정 싸이클 루틴을 가진(일개 작동이 아닌 여러 가지 단계를 거치는)(스타트 버턴을 누르고 스타트버턴의 점등이 꺼지기 전까지 상태) 지령문을 실행 시 실행 중에 표시됩니다.)
① FIN : 자동운전 중 또는 MDI상 지령문 입력 시 일정 사이클이 필요한 작동시(일반적인 지령시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작동 구간만 표시됩니다.
② **** : 어떠한 특정 싸이클 지령이 실행되지 않고 있는(스타트 버턴에 점등이 되지 않은..) 대기 상태 또는 일반적인 다른 지령문이 실행 중 상태를 표시합니다.
⑤ 비상정지(EMG STOP) 또는 리셋키 적용(RESET KEY) 시 표시
* 해당 장비 조작시(가동 중 이거나 미가동중 이던) 해당 조작(비상정지 버턴 누르거나 리셋키를 누른 경우)을 하면 해당 상태를 표시 합니다.
① --EMG-- : 해당 장비 가동 중 비상정지 스위치를 누를 경우 이를 해제 할때 까지 계속 전멸을 반복 표시 합니다.
② --RESET-- : 해당 장비 가동중 리셋키(RESET) 키를 누르면 리셋 가능 작동 시에만 리셋 상태임을 표시합니다.
⑥ 현재 장비의 알람 발생 시 표시
* 해당 장비의 가동 중 기계적인 요소로 발생하는 알람 내용을 표시합니다.
① ALM : 해당 장비의 일반적인 작동상 오류로 인한 가동의 이상 상태를 표시합니다.
* 구형 기종의 경우 아래 ②③번 알람 발생시도 이 ALM 표시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종합적으로 아래 알람내용 외 모든 알람내용은 이 ALM 표시로 상태를 표시합니다.
② BAT : 해당 장비의 메인보드(MAIN BORAD)와 앰프(APM) 쪽에 장착된 구형 스타일의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이상 상태를 표시합니다.
③ APC : 해당장비의 해당축 앰프(AMP)에 장착된 신형스타일의 배터리 또는 장비 외부에 장착된 일반 배터리 등 각축별 원점위치 보존용 기억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이상 상태를 표시 합니다.
* 위 BAT와 APC는 사실상 동일한 증세(배터리 방전)이지만 장비 메인보드 및 앰프의 장착위치 와 종류 등에 따라 다르게 표시됩니다.
④ FAN : 해당장비의 전자장비의 냉각을 위해 설치된 주요 팬(FAN)의 작동여부를 판별하여 이에 이상 상태(팬 회전수 저하 포함)를 표시합니다.
* 위 알람은 주로 해당 위치(여러 개 있습니다.)의 팬들의 마모 또는 오염(기름때)등으로 일정 회전수 이하로 떨어지면 발생합니다.
⑤ LKG : 해당 장비 가동축의 서브모터의 전원공급의 이상(절연 저항 검출) 발생 시 표시합니다.
⑥ PMC : 해당 장비의 PMC(PROGRAMMABLE MACHINE CONTROL : 프로그램에 의한 기계 제어) 관련 오류 발생 시 표시합니다.
⑦ (BLANK) : 해당 장비 가동 중 아무런 알람(오류)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는 표시(아무런 표시 없는) 합니다.
⑦ 현재 장비의 시계의 시간을 표시
* 이 시간은 외부(현지시간)와 따로 연동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장비 가동상황에 따라 시간이 부정확합니다.
CLOCK DISPLAY : 해당 장비에 설정된 자체 시계 저장값에 따라 표시되는 시간(hh:mm:ss)입니다.
⑧ 현재 장비의 테이터의 입출력 상태 표시
* 현재 장비의 기본메모리(CNC MEM)와 I/O채널에 등록된 외부 저장매체(CF CARAD, DATA SEVER, USB, DNC입출력 시) 현재 입출력 상황(IN/OUT)을 표시합니다.
① INPUT : EDIT모드 등에서 외부 메모리 매체에서 내부 메모리 매체(CNC MEM)로 데이터(프로그램)등을 입력 시 표시됩니다.
② OUTOUT : EDIT모드 등에서 내부 메모리 매체(CNC MEM)에서 외부 메모리 매체로 데이터(프로그램)등을 출력 시 표시됩니다.
③ SEARCH : EDIT모드 등에서 해당 메모리 매체(대용량, 다량의 프로그램 저장된...)의 내용을 검색해야 하는 상황(주로 검색, 치환 등)에서 표시됩니다.
④ EDIT : EDIT모드 등에서 선택한 프로그램 내에서 직접적인 지령문의 삽입, 수정, 변경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표시됩니다.
⑤ LSK : EDIT모드 등에서 외부 메모리 매체에서 내부 메모리 매체(CNC MEM)로 데이터 전송과정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전송이 중지된(중지라기보다는 전송을 위하여 대기 중인 상태) 상태로서 대기 상태임을 표시합니다.
'3개월 미만 초보자 가 보는 머시닝 교재 (초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4(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5) (0) | 2025.01.30 |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3(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4) (0) | 2025.01.27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2(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3) (2) | 2025.01.16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1(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2) (3) | 2025.01.12 |
머시닝 관련 초 기초사항 익히기 과정 - 10(아큐센터 사용 가공원점 입력-1) (2)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