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마스터캠의 3D 곡면 가공경로 중 기존의(곡면 고속가공경로 나오기 전) 곡면 가공경로 중 하나인 등고선 가공경로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등고선 가공경로는 곡면 대상 적용가능한 가공경로 이며 솔리드면 또는 곡면 대상으로 하는 가공경로입니다.
우선 마스터캠 2021에서 등고선 가공경로를 적용하는(실행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 입니다.
먼저 가공경로 관리자창에서 가공정의 입력칸에 마우스 우클릭으로 풀다운 옵션메뉴창을 표시후 "밀링가공경로 - 곡면황삭 - 등고선 (곡면정삭 - 등고선)"을 선택하여 등고선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 구형 등고선 가공경로는 크게 3가지 입니다.
(황삭경로 - 등고선, 정삭경로 - 등고선, 등고선잔삭)
* 마스터캠 작업화면 상단 리본메뉴에서도 지원이 되나 순정 상태에서는 표시가 되지 않고 별도로 리본메뉴 사용자 설정을 해야 나타납니다.
(리본메뉴 3D 탭을 보면 정삭경로-등고선(정삭용)이 있기는 합니다.)
등고선 가공경로의 특징은 대상 곡면의 둘레를 절삭방향으로 빙빙 돌아가면서 경로를 Z 축 높이 간격값에 따라 분배하여 단계별로 생성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위 동영상 과 이미지로 볼 때 등고선 가공경로는 일반적으로 각 절삭 깊이간격별로 평행하게 나누어진 윤곽 가공경로를 절삭방향(하향/상향) 생성하여 배치하는 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등고선 가공경로는 평평한(Z축값 변동이 없는) 작업평면 기준 경로가 생성되나 경우에 따라 스파이럴 적용으로 대각선방향(Z축값이 계속 변동되는) 형태로 경로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그럼 먼저 황삭/정삭 등고선 가공경로의 사용법과 절삭 파라미터 항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먼저 애기하자면 등고선 가공경로 특성상(대상 곡면대상 Z 축 절삭깊이 간격별로 1개 단위 경로만 생성... 즉 측면 경로간격이 없다는 점입니다.) 황사 / 정삭 가공경로 차이점이 없습니다.
어떻게 보면 등고선으로 황삭경로(여기서 황삭경로는 가공영역에서 측면 간격이 적용되어 대상 곡면이 아닌 전체 가공 소재(공작물)전체에 대한 가공경로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 이러한 이유로 마스터캠에서도 황삭 등고선 경로는 기존 가공경로 관리자창에서 마우스 우클릭으로 나오는 폴다운 옵션메뉴에만 존재하고 상단 리본메뉴에는 정삭 등고선 경로만 존재합니다.
(비슷한 이유로 정삭 등고선 잔삭 기능도 사라졌다는.....)
일단 살펴보면..
만일 황삭 가공경로 로 등고선이 사용된다면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 좌측의 가공경로는 곡면 포켁 가공경로입니다.
이러한 황삭 목적에 적합한 황삭 곡면 가공경로로서 이미 다른 가공경로가 있으므로 등고선 황삭 가공경로는 크게 사용 의미가 없습니다.
다만 이 가공경로가 황삭 목적으로 적용된 것이라는 의미로서 같은 등고선 가공경로이지만 황삭/정삭 구분 시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실제로는 황삭 경로로서 등고선 가공경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 그럼 의미에서 황삭 등고선 가공경로는 패스하고(실제 경로 적용 방식이나 파라미터 항목은 정삭 등고선 가공경로와 동일합니다.)
* 위 동영상처럼 황삭/정삭 등고선 가공경로를 동일한 조건에서 가공경로를 생성하면 동일한 경로가 생성됩니다.
( 심지어 가공경로 용량까지 동일합니다.)
그러므로 황삭 가공경로의 등고선경로는 설명을 패스하겠습니다.
바로 정삭 가공경로의 등고선 경로 설명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우선 등고선 가공경로를 생성하면..
위 이미지처럼 돌출된 피라미드형태 곡면을 선택합니다.
* 솔리드(곡면) 면의 선택하는 방법의 설명은 아래 동영상 내용을 참조하십시오.
(주의 사항 : 이 기능은 솔리드, 곡면요소만 적용되며 메쉬형태의 모델링(대표적인 것인 *. stl 호환파일)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1. 일반적인 마우스 좌클릭 또는 원도우 선택 등으로 선택하는 법
2. 접하는 솔리면을 선택하려면 [Shift+클릭]
* 맨 처음 클릭한 곡면에 접하는(꺾이게 연결되지 않고 부드럽게(필렛처리된) 연결된 모든 면을 선택합니다.
동영상에 보이는 것처럼 가운데 90도 꺾이는(각도 갚는 관계없음) 사각형 돌출물은 선택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벡터를 선택하려면 [Alt+클릭]
* 알트키(Alt)와 마우스 좌클릭으로 직선(벡터)을 생성하여 이 벡터요소에 걸쳐지는 솔리드면은 전부(뒤면에 위치한 곡면도 선택됨) 선택합니다.
* 주의 사항 : 맨 처음 알트키와 마우스 좌클릭(시작점) 한 후 벡터(직선)를 생성하고 그 상태에서 다시 한번 마우스 좌클릭(끝점)을 해주어야 벡터(직선)가 형성되어 해당 곡면이 선택됩니다.
* 주로 선형배열된 것 같은 솔리드면에 대한 선택 시 적용하며 주로 솔리드요소 보다 곡면요소 선택시 유용합니다.
4. 일치하는 솔리드 필렛/홀을 선택하려면 [Ctrl+shift+클릭)
* 이 기능은 솔리드(가능하면 마스터캠 모델링 기능으로 생성된) 요소만 가능합니다.
* 일치하는 필렛(R값), 홀(D값)을 기준으로 선택되며 홀의 경우 D값만 일치하면 홀의 깊이(H값)는 관계없이 선택됩니다.
* 다만 주의 사항이 홀 관련 곡면만(D값이 적용되는) 선택되므로 막힌 홀의 경우 홀바닥의 곡면은 선택되지 않습니다.
(같은 이유로 홀 테두리에서 필렛 또는 모따기 형태가 있는 경우 필렛, 모따기 곡면은 선택되지 않습니다.)
5. 솔리드 피처를 선택하려면 더블클릭
* 이 기능은 솔리드 형태가 구분될 수 있는 한 덩어리(피처)를 인식하여 한 개 피처요소의 면을 선택합니다.
* 이 기능은 솔리드요소만 가능하며 곡면 또는 메쉬형태의 요소는 적용이 안됩니다.
6. 비슷한 솔리드 피처를 선택하려면 [Ctrl+shift+더블클릭]
* 이 기능은 솔리드(가능하면 마스터캠 모델링 기능으로 생성된) 요소만 가능합니다.
* 선택되는 솔리드 피처는 방향과 관계없이 동일한 형태(모양, 크기등)이면 현재 작업화면에 표시되는 모든 솔리드 피처요소가 선택됩니다.
* 솔리드 피처 이므로 해당 솔리드 형태를 생성한 기초면을 선택하여야 선택이 되므로 간단한 형태의 솔리드 피처는 선택이 용이하나 여러 가지 변형이 가해진 솔리드 피처는 적용이 어렵습니다.
7. 솔리드 보디를 선택하려면 삼중(3번) 클릭하십시오
* 이 기능은 솔리드요소만 가능하며 곡면 또는 메쉬형태의 요소는 적용이 안됩니다.
* 3번 연속 클릭하는 것이 조끔 까다롭습니다.
우선 여기서는 돌출된 피라미드 형태만 가공 대상 곡면으로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가공경로/곡면 선택" 설정창이 표시됩니다.
우선 여기서 "가공경로/곡면 선택창의 기능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드라이브 대상 곡면
* 드라이브(Drive) 대상 곡면(가공경로 적용하게 될 곡면 선택)
해당 가공경로의 연산 대상이 될 가공 대상 곡면을 선택하면 다시 재 선택하면 선택취소가 가능하며 선택 후 다시 추가 선택하면 추가 가공 대상 곡면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선택 가능한 요소는 솔리드면, 곡면뿐입니다.
(별도로 CAD파일(*. stl)은 전체 요소(일부면만 선택 불가)로서 선택할 수 있으나 이는 CAD파일 선택에서 적용합니다.)
① 화살표(선택)
가공 대상이 될 솔리드면 또는 곡면을 마우스 좌클릭으로 선택합니다.
* 곡면 재선택은 취소, 다른 곡면(미선택)을 선택하면 가공 대상 곡면으로 선택됩니다.
② 화살표 취소(전체 선택취소)
현재 선택된 ①의 가공 대상 곡면의 선택을 전체 취소 합니다.
* 일부 면만 취소는 불가능하며 일부 면 취소는 ①화살표 항목에서 재선택 취소 하여야 합니다.
③ CAD파일(*. stl형식 파일 전체 선택)
외부 파일 중(stl호환 파일)을 선택하여 현재 가공 대상 곡면 선택에 선택한 stl파일(메쉬) 전체를 포함 선택합니다.
* 해당 stl파일의 부분적인 선택적면 적용은 불가능하며 다만 해당 stl파일(메쉬)의 형태는 유지되는 가운데 이동, 배율이동, 회전 등은 가능합니다.
* 이러한 CAD파일을 가공 대상 곡면으로 선택하여도 현재 작업화면상에선 표시되지 않습니다.
(심지어 아래 ⑤번 보기 항목에서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④ CAD파일 선택 전체 취소
가공 대상 곡면으로 선택된 *. stl파일(메쉬) 요소를 전체 취소 합니다.
* 일부 메쉬면 선택 취소는 불가능합니다.
⑤ 보기 (드라이브 대상 곡면)
가공 대상으로 선택된 드라이브 대상 곡면만 화면에 하이라이트(광채를 띤) 형태로 표시합니다.
* 선택한 가공 대상 곡면의 정보(개수와 히든 여부(대상 곡면이 생성되는데 기본이 되는(트림되는) 숨은 곡면))을 표시합니다.
* 여기서는 앞서 ④번 CAD파일의 정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⑥ 색상 (불필요 기능)
색상이라고 표시되어 있으나 사실상 기능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체크 곡면
가공 대상 곡면의 반대되는 속성으로 가공경로가 생성되면 안 되는 영역 또는 가공 깊이값의 제한 등의 역할을 할 곡면을 선택합니다.
* 주로 가공경로 생성 되면 안 되는 영역(곡면)으로 선택합니다.
⑦ 화살표(선택)
체크 곡면 대상이 될 솔리드면 또는 곡면을 마우스 좌클릭으로 선택합니다.
* 곡면 재선택은 취소, 다른 곡면(미선택)을 선택하면 가공 대상 곡면으로 선택됩니다.
예제.
돌출형 피라미드 형태는 가공 대상 곡면으로 선택, 바닥면은 가공경로가 생성되지 않도록 체크 곡면으로 선택함
⑧ 화살표 취소(전체 선택취소)
현재 선택된 ⑦의 체크 곡면의 선택을 전체 취소 합니다.
* 일부 면만 취소는 불가능하며 일부 면 취소는 ⑦화살표 항목에서 재선택 취소 하여야 합니다.
⑨ 보기 (체크 곡면)
체크 대상으로 선택된 체크 대상 곡면만 화면에 하이라이트(광채를 띤) 형태로 표시합니다.
* 선택한 체크 대상 곡면의 정보(개수와 히든 여부(대상 곡면이 생성되는데 기본이 되는(트림되는) 숨은 곡면))을 표시합니다.
⑩ 색상 (불필요 기능)
색상이라고 표시되어 있으나 사실상 기능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공구중심영역
공구중심영역 체인은 바운더리 체인(Boundary chains)(가공영역 경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공구중심영역은 와이어프레임/솔리드 요소로 체인을 성립할 수 있고 공구중심영역의 영역범위는 현재 작업평면에 기준하는 2D 평면형태로 적용됩니다.
기본적으로 와이어프레임 요소(먼저 생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는 솔리드 요소(솔리드 자체를 체인으로 선택가능) 대상 체인으로 기본적으로 닫힌 체인형태로 선택합니다.
* 곡면(Surfaces)의 경우 솔리드 체인 적용이 안되며 와이어프레임으로 먼저 생성해 놓고 와이어프레임 체인 방식으로 선택하여야 합니다.
(곡면 자체로는 체인 요소 선택이 안됩니다.)
체인 성립위치는 기본적으로 해당 가공 대상곡면의 최외곽선 경계를 중점으로 선택합니다.
그렇지만 경우에 따라 가공 대상곡면의 영역을 벗어나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가공 대상곡면 영역 내에서도 성립이 가능합니다.
경우에 따라 가공 대상곡면 영역 내에서도 공구중심영역 체인이 생성 선택된 경우 체인 영역내 에서 만 가공경로가 생성됩니다.
그렇지만 동일한 가공 대상곡면 영역내에서 1개 이상의 공구중심영역 체인이 선택된 경우 기본적으로 해당 영역내 가공경로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 즉 가공영역 내 1개 공구중심영역(바운더리 영역)만 존재하는 것이 기본적인 적용 방법입니다.
* 이 얘기는 다수의 가공영역 내 각 1개씩 공구중심영역 체인이 존재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 다만 저런 형태 가공경로(가운데 영역이 미생성되는)가 생성 불가한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서 적용 가능 합니다.
또한 적용하는 공구중심영역 체인요소 중 와이어프레임 도형요소 경우 작업평면상에서 내려다보는(작업평면(C-plan)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경우 그 도형요소가 위치한 Z높이값에 관계없이 무난하게 공구중심영역 체인으로 성립됩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해당 공구중심영역 체인요소가 3D형태 와이어프레임의 경우에도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합니다.
* 작업평면상에서 동일한 평면 상태 형태로 공구중심영역 체인이 성립되는 경우입니다.
⑪ 화살표(선택)
공구중심영역 체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하여 와이어프레임 & 솔리드 체인 선택창이 표시되어 해당 공구중심영역 체인을 선택합니다.
체인 선택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랍니다.
https://momoman83.tistory.com/151
마스터캠 3D 가공경로 설명 곡면 고속가공경로-2 (공통 파라미터-가공제어-공구중심영역)
이번에는 곡면 고속 가공경로 공통 파라미터 중 가공제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가공경로 제어는 공구중심영역(바운더리 : Boundary : 영역경계) 관련 설정창 입니다. * 공구중심영역 은 공구
momoman83.tistory.com
⑫ 화살표 취소(전체 선택취소)
현재 선택된 공구중심영역 체인요소를 모두 취소합니다.
* 만일 일부 체인 요소만 취소할 경우 ⑪번 기능으로 다시 들어가 재선택하여야 합니다.
근접 시작점
등고선 가공경로 진입 시작점 위치는 고속 곡면가공경로와 마찬가지로 어느 지정된 지점(주로 좌측 하단)을 기점으로 생성됩니다.
그렇지만 경우에 이러한 진입점 위치를 임의 위치(근접한 위치)에서 시작하길 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마치 2D포켓가공경로의 진입점 기능과 유사하게(직접적인 위치 지정은 불가 어디까지나 근접....) 해당 가공경로의 진입 시작점위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기 위해서 앞서 얘기한 진입점처럼 근접점을 지정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 이 근접점 또한 해당 근접점(점 도형요소)이 위치하는 작업평면상 위치값만 참조하고 해당 도형요소가 위치한 Z값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해당 근접점을 생성하면 점 도형요소가 생성되며 그 도형요소를 참조하여 가공경로 진입 시작위치를 선택하므로 그 점 도형요소를 차후 삭제하거나 움직이시면 해당 가공경로는 재생성되어야 합니다.
⑬ 화살표(선택)
근접점(도형요소)을 생성하기 위한 위치를 마우스 클릭으로 지정합니다.
* 마우스 좌클릭으로 지정된 위치에 점 도형요소를 생성합니다.
(이 도형요소는 계속 남아 있으며 차후 작업의 용이함을 기하기 위하여 블랭크 기능등으로 우선 화면상에서는 표시 off 하시길 바랍니다.)
⑭ 화살표 취소(전체 선택취소)
근접점 지정을 위한 선택을 취소합니다.
* 근접점 지정을 위한 생성된 점 도형요소도 같이 삭제됩니다.
확인/도움말
⑮ 확인 /도움말
가공경로/곡면 선택 설정 내용을 저장하고 해당 창을 종료합니다.
해당 기능에 대한 영문 도움말을 제공합니다.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 > 3D 곡면 , 솔리드 적용 가공 경로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기존 곡면 가공경로 공통 파라미터 항목에 대하여-2 (0) | 2025.05.11 |
---|---|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기존 곡면 가공경로 공통 파라미터 항목에 대하여-1 (0) | 2025.05.08 |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7 (0) | 2025.02.26 |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6 (5) | 2025.02.23 |
마스터캠 3D 곡면 고속 일정한 스컬롭(Equal Scallop) 가공경로-5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