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2편에 이어서 설명 하겠습니다. 아래 의 이미지 형태 을 간단하게 쿤스 가공 툴패스 생성 하는 과정 을 동영상 으로 보여드립니다. 체인 선택 하는 요령 만 알면 간단히 가능 합니다. 그럼 이제 좀 어려운 형태 을 알 아보겠습니다. 저 가운데 포켓 부분 측면 부 만 가공 한다고 정의 하여 쿤스 가공 툴패스 을 생성 해보겠습니다. 그런데.... 살펴 보니깐 가로 방향 패치 수량 이 외곽쪽은 8개 인데... 내부 내측 은 4개 이네요....? 패치 수량 은 한번 만 가능 하니 .... 우선 8개 을 입력 하고... 외곽 패치 을 우선 8번 선택 하고 내부 내측 패치 을 연속적으로 4개 선택 하였지만.... 선택 할수 있는 것은 전부 선택 하였는데.. 해당 캠 은 계속 선택 하라고 메세지 가 나오네요.....ㅠ..
안녕하십니까? 이번에는 와이어프레임 가공 중 쿤스(Coons) 가공 을 살펴 보겠습니다 쿤스 란 곡면 을 만들어 수학적인 방식 으로 그 방식은…….. 조금 알아 보다 수학 실력 이 안되서 바로 포기 하였습니다. (콘스 패치 설명 논문 찾아 보다 한글 보다 영문 , 숫자 가 많아 포기 했습니다.) 일단 쿤스 가공 해서 가능 한 곡면(와이어프레임) 의 형태 는 다음 과 같습니다. 쿤스 가공 은 쿤스 곡면 패치 방식 을 통한 (네트 곡면 생성 과 유사 합니다.) 와이어 프레임 방식 가공 툴패스 생성 방법 입니다. 다시 설명 드리면 해당 생성 예측 되는 곡면 의 각변 (사각형 이면 사각 외각선) 을 세로 가로 순 으로 지정 하여 이 을 기준 으로 툴패스(곡면 생성) 하는 것 입니다. 위 이미지 와 같이 가로 ,..
안녕하십니까 여러분 이 간혹 가다 2.5D(곡면가공) 을 해야 하는 경우 가 있습니다. 마스터캠 교육(?) 을 받으신 분들 은 곡면 을 그리거나 선택 하여 (모델링 이 있는 경우) 곡면 가공 을 시도 하십니다. 그런데 이런 경우 (모델링 이 없고 도면 만 있는 경우) 에는 툴패스 작업 전 에 곡면 생성 작업 을 하셔야 만 하는 경우 가 있습니다. 물론 모델링 가능 한 분 이나 간단 한 곡면 정도 는 생성 가능 하신 분 은 문제 없으나 모델링 도 도면 도 좀 이해 안가고 특히 마캠 9.1 사용자 분 경우 이러한 곡면 가공 이 불편 하신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곡면 가공 을 하면서 우선 문제 되는 것 이 연산 속도 입니다. 가뜩 이나 어렵게 곡면 그려서 또는 곡면 가공 툴패스 (절삭 파라미터 도 복잡한) 을..
저 번에 이어 이번 에는 아래 와 같은 도면 을 작업 해 보겠습니다. 도면 은 아래 와 같습니다. 위 도면 을 우선 두가지 방법 으로 작업 하겠습니다. (사실 동일 한 절차 의 방식 입니다.) 먼저 위 2D 도면 을 모아서 결합 후 작업 평면 또는 뷰시트 을 작성 하여 모의 가공 까지 해보겠습니다. 1차 로 불필요한 도면 치수 요소 을 삭제 하거나 블링크 하여 우선 화면 에서 지웁니다. 이후 제품 의 상부 도면 요소 을 도형 이동 기능 으로 선택 하여 이동 시켜 놓습니다. 그 다음 측면 의 도면 요소 을 다이나믹 이동 명령 으로 선택 하여 가운데 도형 요소 로 이동 시킵니다. 이러한 과정 을 아래 동영상 으로 표현 했습니다. 이렇게 도면 정리 가 끝나면 이 을 기준 으로 작업 평면 을 작성 해 줍니다. ..
작업 평면 에 이은 뷰시트 관련 입니다. 뷰시트 는 말 그대로 화면 표시 관련 기능 입니다. 활용점 은 여러가지 도면 을 즉각 찾아서 본다 던가 아니면 특정 위치 (방향 각도) 등 통해서 항상 같은 화면 을 표시 하고 싶을 때 사용 합니다. 일단 아래 와 같은 도면 이 있습니다. 만일 위 같은 경우에 같이 도면 작업 을 할려면 줌 인/아웃 을 계속 하거나 마우스 로 화면 이동 을 계속 드래그 해야 합니다. A도면 작업 하다 C도면 갈려면 다시 전체 화면 줌 아웃 했다가 다시 C도면 으로 줌 인 하는 등 계속되는 작업 을 진행 해야 하고 또 도면 수량이 많으면 어느 것이 어느 도면 인지 인지 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뷰시트 이라는 기능 이 있습니다. 그래서 한번 뷰시트 을 전체 화면, A도면, B도면, C..
안녕 하십니까? 이번에는 한장 또는 여러장 이 포함된 CAD 도면 을 활용한 캠 작업시 유용하게 활용 할 방법 을 알아봅니다. 여기서 설명 드리는 것 은 처음 하시는 분 들 위주로 설명 하므로 조금 유치 할수 있으니 참고 로 봐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한장의 도면 이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원점 이동 기능 을 이용하여 각각 의 가공면(정면, 평면, 측면 등...) 을 이동 해 가며 캠 작업 을 하는데 이렇게 하면 간단 하나 나중에 다시 작업 하거나 수정 시 또 다시 가공 원점 을 잡아야 하는 문제 점 이 있습니다. 그래서 조금 생각 한것 이 각 가공면 을 각각 레벨 을 설정 하여 각각 의 도면 을 한 원점 을 기준 하여 이동 시킨 후 해당 가공 면 도면 만 레벨 을 이용 하여 화면 에 출력 해 캠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