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번에는 2.5D 면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2D , 2.5D(?) , 3D에 관련된 것 은 차후 설명하고 여기서는 가공 시 X , Y , Z 값이 동시 적용되는 것 을 3D X , Y , Z 값 중 동시 두 가지만 적용되는 방식을 2.5D이라고 규정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서 얘기하는 2.5D는 X , Y , Z 값 중 동시 두 개 값((X , Z) (Y , Z) (X , Y) 중 한 가지) 이 가공 시 적용되는 것입니다. 우선 다음과 같은 면취 가공을 하여야 합니다. ① 선반 물 축 키 자리 면취 과정 ② 45° 경사면 면취 과정 ③ 25° 경사면 면취 과정 ④ 65° 경사면 면취 과정 ⑤ 라운딩(반원) 면 면취 과정 그리고 사용 공구는 아래 3가지 을 선택하였습니다. ① Ø8.0 챔퍼밀 (90°..
이번에는 흔히 역알가공 에 사용되는 역R엔드밀 (반경밀 / INNER RADIUS MILL)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엔드밀로 보통 소재 외곽의 테두리 부분에 둥그런 (필렛) 모따기 가공을 하기 위한 엔드밀입니다. 즉 위 와 같은 형태입니다. (시각적 효과 때문 에 과장되어 있습니다.) 그럼 먼저 공구 설정부터 시작합니다. 공구 설정 은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1. 반경밀 공구 설정 (공구경 Ø10 R4.0 날끝 지름 2.2) 2. 사용자 공구 설정 (공구경 Ø12 R4.0 날끝지름 3.9) 우선 역R밀 (반경밀) 공구 설정하는 법 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윤곽 가공에서 공구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반경밀 을 선택합니다. 해당 공구의 규격을 입력합니다. 날끝 지름 : 2.2mm ..
이번에는 보편적인 면취 공구 챔퍼밀을 활용한 면취 작업을 알아보겠습니다. ③ Ø6.0 90° 날끝직경 0.0 직선날 4 ④ Ø8.0 90° 날끝직경 2.0 헬리컬 날 3 위 두 가지 공구 을 이용하여 면취 작업을 진행합니다. 면취 하고자 하는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각 부분 별 면취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각 챔퍼밀 공구 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해당 공구는 공구 설정 란으로 가서 챔퍼밀을 선택하여 작업하겠습니다. 우선 공구 형태는 챔퍼밀을 선택합니다. 특별한 경우 따로 사용자 공구 을 생성하셔서 사용하셔도 무방 합니다. 먼저 ③번 공구 을 생성하겠습니다. 필수 입력해주어야 하는 부분은 외측 지름 : Ø 6.0 (공구 구경 입력) 전체 길이는 무난하게 입력하셔도 됩니다. 절삭 길이 : 4.0mm (우..
이번에는 간단하게 NC드릴과 카운터 싱크 공구로 홀 면취 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일단 NC드릴로 해당 홀 드릴링 작업 전 센터링 작업과 해당 홀 면취 작업을 겸 하는 것 과 기초 외곽 면취 작업 을 설명하겠습니다. 일단 가공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Ø6 홀 드릴링과 면취 작업 병행) ① NC 드릴을 준비합니다. ② Ø6 홀 면취 가 가능한 깊이만큼 센터링 작업을 해줍니다. ③ 이후 Ø6 드릴을 준비합니다. ④ 적합한 절삭 조건으로 관통 드릴링 작업을 완료합니다. ⑤ Ø6 홀 가공과 홀 면취 을 완료하였습니다. 여기서 는 면취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모따기 규격이 지정되지 않은 모따기 경우 KS 규격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볼트 관통 용 홀의 경우입니..
마스터캠의 면취 가공에 관하여 얘기 해보겠습니다. 면취 란? 가공 제품 의 외곽부의 모서리 등 을 날카로움 방지 , 파손 방지(찍힘) , 외곽부 미관 , 결합 시 결합면의 진입 용이성 등 의 이유로 일정한 각도와 크기 , 모양으로 가공해주는 것 을 말합니다. 즉. 제품 외곽을 다음과 같이 가공하는 것 을 말합니다.여기서는 다음과 같이 비대칭 형태의 가공은 3D에 준한 것으로 보고 우선 설명에서 제외합니다. 우선 면취 가공에 사용될 공구들을 알아보겠습니다.① 카운터 싱크 공구 (Ø20 / 90°) 원래 는 이름 그대로 카운터 싱크 가공을 위한 공구입니다. 그렇지만 약간 큰 홀 면취 작업 시 사용되며 머시닝에서 사용되기보다는 범용밀링 또는 전동드릴에 부착하여 수가 공시 사용됩니다. 장점 : 중..
안녕하십니까? 이번에는 부가축(A축) 적용할 인덱스 머신 시물레이션 생성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앞에 사용 한 3축 적용 머신 시물 구성 을 재활용합니다. 우선 구상하는 머신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3축 베이스 장비에 부가축 인덱스 을 배드 위에 올린 상태입니다. (일단 일반적인 바이스 작업 이 없는 인덱스 가공만 한다는 전제 조건 하입니다.) 우선 해당 장비 (인덱스 본체 , 심압대) 모델링을 배치합니다. 이것을 전에 작업 한 3축 베이스 머신 시물 모델링에 배치합니다. 이때 부가축 가공 특성상 바이스 작업과 달리 소재 위치 (소재 원점)이 사실상 고정되어 있습니다. 더 정확히 얘기 해서 회전축 (부가축) 이 고정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각 축의 모델링 위치 을 부가축 원점으로 잡아야 합니..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