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번에는 윤곽가공 절삭 파라미터 중 링크파라미터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링크파라미터의 기능별 설명을 먼저 하겠습니다. ① 급속이송 관련 전체 적용 항목 급송이송 최대 원호 반경 윤곽가공경로 중 급속이송 진입/복귀중 타 가공영역(체인)으로 이송 시 수직진입/복귀 경로에서 수평이송 경로로 전환하는 경로를 기존 직선형(90도) 전환에서 지정된 반경값에 준하는 원호 이송으로 변경합니다.* 사용목적은 뇌피셜이지만 급속으로 이송시 90도로 꺾는 것이 부담되는(이송축 볼스크루 마모 관련) 경우 좀 더 부드러운 경로로 급속이송 하길 원하는 경우 선택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해당 부분(원호경로 라고 되어 있지만) 전부 점데이터(G00 좌표)로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실제 상황에서 기존 방식보다 좀더 느린 이..
이번에는 윤곽 가공정의 관통 파라미터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관통(Break Through) 관통 기능은 의미적으로 어떠한 소재를 가공하는데 소재 두께이상(관통) 가공깊이를 생성하여야 할 경우 선택할 수 있는 보조 기능입니다. 윤곽 가공과 포켓 가공정의에 적용 가능한 기능으로 주로 라우터 같은 판재류 재단(소재 두께이상 가공깊이)하여야 할 경우 적용 가능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한 예를 들면 위와 같이 MDF판(희생배드) 상단을 Z0.0으로 두고 가공판재을 그 위에 놓고 소재 두께를 재료상단 높이로 둔다는 전제로 설명하면(희생배드 상단을 일정한 고정 Z값 0.0으로 고정한다는 의미에서) 먼저 소재판재(15.0mm) 아래와 같이 윤곽가공으로 따내는 작업을 한다 할 때. 해당 형태 윤곽 가공 체인을 잡고 ..
㉡ 보정방향(Compensation direction) 마스터캠에서 선택한 체인요소를 중앙에 놓고 해당 공구가 보정되는 방향이 왼쪽이면 체인 왼쪽면에 공구가 놓이고 보정되는 방향이 오른쪽이면 체인 오른쪽면에 공구가 놓입니다. 보정 형태가 안 함이면 체인 기준으로 공구 축이 놓이며 원쪽/오른쪽 보정방향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 다만 보정 안함으로 적용 시 해당 가공정의의 가공여유값 적용 시 보정방향에 따라 보정(오프셋)되는 방향이 틀립니다.(적용된다는 의미입니다.) 기본적인 보정 방향은 위와 같지만 보정 형태(컴퓨터/컨트롤/중복보정/안 함)에 따라 출력되는 가공 데이터(G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컴퓨터 보정 형태 * 출력되는 가공경로 좌표는 마스터캠 내에서 연산처리(보정되어 절대좌표값으로 출력되는)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