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POST관련 정보(포스팅 공구목록 출력-1)-9
이번에는 포스팅 과정에서 적용되는 공구목록 생성과 표시 관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포스트의 공구목록(Tool table)은 포스팅되는 가공정의에 적용된(마스터캠에서 관할) 공구에 대한 정보를 따로 모아 포스팅된 가공데이터(가공프로그램) 선두에 표시되는 것을 말합니다. 먼저 해당 포스트의 공구목록 형태를 살펴보겠습니다. * 예제로서 마스터캠 기본 제공 포스트(MPFAN.pst)와 외부 애드인 제작업체(IHS : 인하우스 솔리션)제공 포스트(MPMASTER.pst)를 예제로 사용하겠습니다. 2개의 포스트 파일를 사용하여 가공데이터(가공프로그램)를 출력해 보면 프로그램 선두에 다음과 같은 목록이 표시됩니다. - 마스터캠 기본 포스트(MPFAN.pst) - 인하우스 솔리션 제공 포스트(MPMASTER...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POST(포스트)활용 관련하여
- · 2025. 4. 10.

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틸팅인덱스(3+2) 작업평면 적용방법-3
이번에는 저번에 이어서 작업평면 설정방식과 실무에 적용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저번까지 설명에 의하면 WCS(원점 기준)평면을 선택하고 차후 각 각도별로 생성된 작업평면들을 WCS원점으로 이동한 후 2D 가공정의 경우 링크파라미터 선택을 증분값으로 하여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에는 크게 2가지 고려점이 있습니다. 1. WCS원점의 위치 저번 설명에서는 공작물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WCS평면을 배치하고 가공정의를 생성하는것을 설명하였습니다. 그런데 문제점은 이렇게 WCS평면을 배치하면 사실상 모든 좌표값 연산이 그 WCS원점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는 뜻이 됩니다.* (3+2)틸팅 인덱스 기준이므로 저 WCS평면 원점을 기준으로 해당 부가축(A, B, C)이 회전되어야 각 가..
-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다축 가공 경로 관련
- · 2025.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