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는 많은 분 들 이 보신 비너스 상을 가공 하겠습니다.
이러한 형상 가공 이 의외로 간단합니다. 공차 도 없으니..
먼저 비너스 상 을 불러 드립니다.
보통 이러한 모델링 을 STL 파일 로 받는 경우 가 많은데 가능하면 다름 모델링 프로그램 또는 포맷변환 프로그램 을 이용 하여 파라솔라드(*. xt)(*.xt) 나 스텝(*. step)으로(*.step) 변환하여 사용 하시 길 권합니다.
우선 STL 파일을 곡면 변환 한 후 고정구 을 만들어 부착해 주고 소재 설정 해 줍니다.
먼저 황삭 을 하기 위하여 상하부로 나뉠 곡면(체크 곡면용)을) 생성해줍니다..
가공 방법 은 상하로 황삭,, 중삭 하고 좌우로 중삭 가공 후 전체 적으로 로터리 축 가공으로 정삭 가공 할 예정입니다..
우선 각각 회전할 작업 좌표 용 평면을 생성 합니다.
앞서 상하부 체크용 곡면을 서로 겹쳐서 가공되도록 상하 겹치게 이동하여 두 개 을 만들어 주고 그 을 기준으로 공구 중심 영역을 만들어 줍니다.
① 공구 중심 영역
② 하부 가공 체크 곡면
③ 상부 가공 체크 곡면
상하부 황삭가공을 걸어줍니다.
작업 평면을 각각 걸어주어 자동으로 회전하게 해서 일반적으로 곡면 황삭 포켓 가공 합니다.
이렇게 해서 모의 가공 을 해보면 위 와 같습니다.
이후 공구 을 볼 엔드밀엔드밀로 교체 하여 중삭 을 해 줍니다.
황삭 이 완료된 후 볼 엔드밀로중삭 을 해줍니다.
중삭 용 툴 패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모의 가공 결과 위 와 같습니다.
정삭 은 다축 로터리 축 가공으로 마무리합니다..
그렇지만 다축 로터리 축 가공 이 파라미터 설정 이 어렵습니다.
특히 소재와 공구 충돌 이 은근히 많고 해결 이 어려워 저는 작업 평면을 이용한 다공정 가공을 권합니다.
전 페이지에서 설명 한 것처럼 작업 평면 생성 하여 상하좌우 곡면 정삭 스켈롭가공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더 연산 속도 도 빠르고 오류 도 적습니다.
다만 접합선(?) 같은 가공 무늬결 이 보일 수 있으나 가공 후 처리 나 별도 사상 작업으로 마무리 가능 합니다.
'마스터캠 관련 한 여러 이야기 > 마스터캠 을 활용한 인덱스 (부가축) 가공 캠 방법 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덱스(4축) 설치 후 CAM(가공경로) 스크류형태 모프가공경로에 관하여 (웹버전) (0) | 2023.02.12 |
---|---|
인덱스(4축) 설치 후 CAM(가공경로) 로터리지그(ROTARY JIG) 활용가공 에 관하여 (웹버전) (0) | 2023.02.05 |
인덱스(4축) 설치 후 CAM(가공경로) 생성된 곡면 형태 가공 에 관하여 (웹버전) (1) | 2023.01.21 |
인덱스(4축) 설치 후 CAM(가공경로) 생성 방식 생성된 체인(커브) & 바닥 곡면 형태 가공 에 관하여 (웹버전) (1) | 2023.01.20 |
인덱스(4축) 설치 후 CAM(가공경로) 생성 방식 스크류(SCREW) 형태 가공 에 관하여 (웹버전) (0) | 202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