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캠 3D 가공경로 설명의 앞서 각 가공경로 의 특성 에 관하여 -3 (고속 가공경로/정삭)

반응형

 이번에는 마스터캠에서 계속 추가 개량되는 고속 곡면 가공경로 의 정삭 부분을 알아보겠습니다.\

 

* 다시 말씀드리자면 기존 3D 곡면 가공경로 와 3D 고속 곡면 가공경로 의 차이점은 기존 공구 이송 진입 / 복귀 방식이 고속 이송에 맞게(진입이 부드럽게 곡선...) 바뀌었고 공구와 공작물(모델링/곡면부)과 의 충돌 여부, 공구 홀더 의 충돌 체크 등 추가된 것 과 공구 절삭 이송 속도 가 빠르다(가공시간이 짧다 와는 좀 틀립니다. 결과론 적으로는 가공시간이 짧다 이지만요)라는 것이 고려 사항입니다.

 

 

워터라인 가공경로 (Water line)

 

 사실 그냥 보면 등고선 가공경로 와 뭐가 틀린가 할 수 있는 가공경로입니다.

등고선 가공경로 와 틀림 점은 우선 가공 경로 간 (Z값 절삭간격 구분된) 간격 이송이 좀 더 부드럽게 지원되고 측면 경사면(30~90˚ 미만 경사)에 적합 한 가공경로 이며 등고선 가공경로 경우 평면 같은 가공면은 별도의 포켓 가공경로가 지원 된다면 워터라인 은 이러한 평면류 가공경로 을 좀더 유연하게 생성해줍니다.

* 아주 간단하게 얘기하면 가공경로가 물 흐르듯이 생성된다는 애기입니다.

 

* 위 이미지처럼 등고선 가공 경로 의 진입 방식을 워터라인 은 좀 더 가공경로 의 단순화 처리 하며 등고선 은 보통 위에서 아래인데 워터라인 은 아래에서 위가 기본 (가공면 형태에 따라 틀림)입니다.

* 경우에 따라 등고선 가공경로는 공구 진입 경로를 가공면에서 안 떨어지게 (Z축 이송 을 적게) 할수도 있으나 워터라인 은 가능한 부드럽게 (물흐르듯이) 가공면에서 안떨어지게 (가공 흔적이 남지 않게) 이송됩니다.

 

일반적인 가공형태는 등고선 가공경로 와 유사한 형태 을 생성 합니다.

 

 

수평영역 가공경로 (Horizontal area) 호리젠탈 에리어

 

 가공물의 수평 평면 영역에 한하여 가공경로 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특이점은 가공물의 곡면 중 수평 평면(작업 평면과 평행된 면만) 포켓 가공경로 형식의 영역 가공경로 을 생성 합니다.

* 더욱 특이한 것은 정삭 가공경로인데 Z 축 절삭 간격 적용이 가능하여 경우에 따라 황삭, 중삭, 정삭 가공 경로 을 생성 할 수 있습니다.

 

* 보통 수평평면을 대상으로한 가공 경로 을 생성 하지만 우측 이미지처럼 Z축 절삭 간격을 적용한 가공경로 을 층별로 생성 가능 합니다.

* 다만 해당 가공 평면 을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여 그 영역 내에서만 가공경로 가 생성 되므로 수평 평면 측면 경사면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똑같은 가공경로가 층별로 생성된다는 의미입니다.)

 

 

라스터 가공경로 (Raster)

 

 위 수평영역 가공경로와 달리 이 라스트 가공경로는 평행 가공경로 을 생성하는 것은 동일 하나 수평영역 가공경로 는 작업 평면과 수평한 가공면 만 가공 할 수 있다하면 라스트 가공경로 은 각도가 있는(일정한) 가공면을 일정 평행 가공경로 을 생성 할수 있습니다.

 

* 위 이미지처럼 평행한 면에 지정된 각도로 가공경로 을 생성 하며 가운데 돌출물 처럼 Z축 으로 절삭 이송 이 가능한 경로을 생성 할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형태 은 위 이미지 처럼 포켓부 나 가공경로 방향과 평행된 측경사면에는 적합하지 않는 가공경로 을 생성 합니다.

 

 

스켈롭 &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 (Scallop & Equal scallop)

 

 스켈롭(조개껍데기 형태 : 일정형태) 가공경로는 등고선 가공경로에서 발전하여 등고선 가공경로가 Z값 구분에 의하여 연산처리 되다 보니 경사면 (곡률)에 취약한 점을 보강하여 Z값이 아닌 해당 가공면(서페이스)의 절삭간격에 의한 가공경로 생성 방법입니다.

 

* 이러한 스컬렙 가공경로 가 너무 획일적인 가공경로 연산 기능으로 인하여 극하게 Z값 변동 이 있는 경사면(골짜기, 높은 코너 등)의 경우 이러한 일정 간격을 유지 하기 위하여 Z값이 급변하는 경우와 이러한 곡률이 있는 코너 부분에 가공경로가 돌출(뽀쪽하게) 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대한 대비로 좀 더 부드러운 일정간격의 가공경로 와 가공경로가 급격하게 꺽이는 경로을 개선 하여 부드러운 곡선으로 변경하여 좀더 빠른 공구 이송 시 가공성을 유지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가공경로 생성 방법입니다.

 

*  위 이미지처럼 일반 스컬롭 가공경로가 다소 거칠게 나오는 부분이 일정한 스컬롭 가공경로 적용 시 좀 더 부드러운 가공경로로 생성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역시 마찬가지로 약간 불규칙 정으로 움직이는 공구 이송을 좀 더 부드럽게 유도 하여 좋은 가공성 과 좀더 빠른 이 송속 도을 유지 할 수 있습니다.

 

* 스캘롭 관련 설명은 앞에서 대략 하였습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겠습니다.

 

 

투영 가공경로 (Project)

 

 기존 3D  곡면 가공경로 중 투영 가공경로 와 동일한 가공경로입니다.

다만 고속 곡면 가공경로 설정에 따라 해당 고속이송 관련 파라미터 을 적용 되어 좀 더 부드러운 공구 진입/복귀 을 도와줍니다.

* 앞서 투영가공 설명과 동일한 설명이 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하이브리드 가공경로 (Hybrid)

 

 하이브리드 가공경로는 측경사 가공면에 적합한 워터라인 가공경로 와 완만한 평면 가공면에 적합한 스컬롭 가공경로 을 각각 적용하여 이을 최적화 한 가공경로입니다.

 

 이것이 하이브리드 가공경로 적용 가공경로입니다.

 어떻게 보면 간단한 가공경로 적용으로 모든 가공면에 일정한 가공결을 유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그에 따른 작은 단점도 존재합니다.

 

  우선 은 하이브리드 가공경로는 위 와 같이 워터라인 의 경사면 가공경로 와 스칼롭 평면 가공경로 을 합쳐서 조화스럽게 생성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 다만 연산시간이 약간 길고 공구 진입/복귀 가 조금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어 보입니다.

 

 

면방향 가공경로 (Flowline)

 

 기존 3D  곡면 가공경로 중 면방향 가공경로 와 동일한 가공경로입니다.

다만 고속 곡면 가공경로 설정에 따라 해당 고속이송 관련 파라미터 을 적용 되어 좀 더 부드러운 공구 진입/복귀 을 도와줍니다.

* 앞서 면방향 가공 설명과 동일한 설명이 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펜슬 가공경로 (Pencil)

 

 기존 3D  곡면 가공경로 중 펜슬 가공경로 와 동일한 가공경로입니다.

다만 고속 곡면 가공경로 설정에 따라 해당 고속이송 관련 파라미터 을 적용 되어 좀 더 부드러운 공구 진입/복귀 을 도와줍니다.

* 앞서 펜슬 가공 설명과 동일한 설명이 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나선 가공경로 (Sporal)

 

 시작점이 있는 나선형(회오리형태) 형태 가공경로 입니다.

특이점은 원형 형태 가공면의 조도가 중요한 (가공성이 아닙니다.) 형태 의 가공경로 가 필요시 적용 가능 한 방식 입니다.

 

* 위 이미지처럼 사실상 원형 형태 가공면에 적합한 가공경로 입니다. 

* 가공 조도가 좋다는 이유로는 위 이미지 처럼 가공경로가 공구가 소재에서 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나선형) 가공이 이루워지는 (왼쪽 가공경로) , 스켈롭 가공경로 경우 가공경로(절삭 간격) 간 이동 자국이 발생 하는데(오른쪽 가공경로) 나선형은 그러한 가공흔적을 줄일수 있는 방식 입니다.

 

* 특히 경사 가 있는 (평행 하면서 일정 경사 가 있는 경우) 가공면 조도가 좋습니다.

 

  * 그렇지만 일반적인 가공형태 의 가공경로 로는 적합 하지 않습니다.

 

 

블렌드 가공 경로 (Bland)

 

 기존 3D  곡면 가공경로 중 블렌드 가공경로 와 동일한 가공경로입니다.

다만 고속 곡면 가공경로 설정에 따라 해당 고속이송 관련 파라미터 을 적용 되어 좀 더 부드러운 공구 진입/복귀 을 도와줍니다.

* 앞서 블렌드 가공 설명과 동일한 설명이 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방사상 가공경로 (Radial)

 

 기존 3D  곡면 가공경로 중 방사상 가공경로 와 동일한 가공경로입니다.

다만 고속 곡면 가공경로 설정에 따라 해당 고속이송 관련 파라미터 을 적용 되어 좀 더 부드러운 공구 진입/복귀 을 도와줍니다.

* 앞서 방사상 가공 설명과 동일한 설명이 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등고선 가공경로 (Contour)

 

 기존 3D  곡면 가공경로 중 등고선 가공경로 와 동일한 가공경로입니다.

다만 고속 곡면 가공경로 설정에 따라 해당 고속이송 관련 파라미터 을 적용 되어 좀 더 부드러운 공구 진입/복귀 을 도와줍니다.

* 앞서 등고선 가공 설명과 동일한 설명이 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이후 다시 처음부터 3D 곡면 가공경로의 자세한 가공적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