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정삭
이제 정삭을 들어가야 합니다.
이제 까지 는 황삭 , 중삭 과정이라 크게 문제 될 소지 가 없지만 최종 마감 가공이니 고민 좀 해봐야 합니다.
우선 고려 해야 할 것 이 가공 공구는 무엇을 쓸 것 인가? , 표면 마감을 어느 정도에서 마감 질 것 인가 (가공 후 사상 작업을 하기 때문 에..) , 캠 작업 요소 (이놈의 캠 연산 속도...)을 고려해야 합니다.
먼저 사용 공구
후보 는 3, 4, 6 파이 볼 엔드밀 , 해당 규격 볼 노즈 R1 가 이 있습니다.
* 볼노우즈 을 사용하냐 볼 엔드밀을 사용하냐 는 필히 고민하셔야 합니다.
우선 맨 처음에 모델링 확인 과정에서 안쪽 포켓 내부 알 값이 R2.0 인 것 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럼 최소 알 단위 가 R2.0이라는 애기입니다.
그리고 형태 자체가 급경사의 형태 라 공구 측면 이 닿을 가능성을 생각하여야 합니다.
(리브 형태 나 제작 공구 적용..)
또한 볼 엔드밀 , 볼 노즈 사용에 따라 가공방법(가공 경로 방식)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래서 3가지로 분류해봅니다.
1. 6파이 볼엔드 밀로 등고선 정삭
바닥면(평면) 4파이 볼 노즈 R1 엔드밀로 포켓 정삭
3파이 볼노우즈 R1 엔드밀 로 등고선 잔삭 가공 (포켓 내부 바닥 알 , 그 외 미절삭 되는 모서리 알 부분) 하는 방법
먼저 중삭까지 완료된 형상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JWv4C/btrCLktuU27/OQIkgiKKzW6SYDV5x13VkK/img.png)
주요 포인트 가 포켓 바닥 부분 미 절삭(정삭 해야 할) 부분과 완만한 경사 가 이어지는 반원 형태 라운딩 부분 계단 형태 미절삭 부분에 대한 정삭입니다.
먼저 등고선 가공으로 포켓 측벽 등 을 정삭 하기 위한 툴패스 을 생성합니다.
먼저 곡면 등고선 가공으로 3 파이 볼 노즈 R0.5로 전체 곡면 (외각 쪽은 공구 중심 영역 설정으로 분리해 놓았습니다.)을 가공 곡면으로 선택하고 특별한 설정 (가공 평면 자동 지정이나 평면 지정을 하지 않고) 하지 않고 가공 간격을 0.15 (가공 깊이 간격)으로 설정하여 툴패스 을 생성해 보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xoRqK/btrCKgZc4Mm/Q8VmORlVNlkkajvbj3X9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qk88B/btrCOKrFacF/jDS9GbCmbiWK9Zj8wCpKE1/img.png)
우선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포켓 바닥 면과 반원 형태의 라운딩 부분 의 원호 바닥 (완만한 경사) 부분이 툴패스 가 출력되지 않았습니다.
저 부분 은 별도로 툴패스 (평면 2D 포켓 가공)을 내기 위하여 정삭 툴패스에서 제외한 것입니다.
이유는 저 부분을 등고선 가공 시 같이 툴패스 을 내면 (다수의 평면 존재 시) 에러 가 발생됩니다.
물론 툴패스 을 가공 깊이 별로 따로 (복수의 높이 가 아닌) 하면 가능한데.... 좀 복잡해져서.. 간단하게 해 보겠습니다.
방법 은 우선 해당 평면을 커브 기능으로 해당 평면 외곽선을 생성 시킨후 필요에 따라 공구 을 외곽 으로 오버 가공 하도록 커브 선 을 이동 하여 살짝 키웁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ndWyL/btrCH7vDGO3/ndPOJXelwGzSM09Vg5QKv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9XaKt/btrCH7I9RJX/B2OePwpVMGHH4u4dYAlniK/img.png)
그리고 이 커브 선 을 기준(체인) 하여 포켓 가공을 생성해 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nThz8/btrCLk76r44/Ao2d3Cc5C0OtSH96zuoKGk/img.png)
여기까지 생성된 툴패스 을 기초하여 모의 가공을 해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93NNB/btrCJJ8ntc3/daIokgMKVXqI2BIpfEabJ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mKcFN/btrCJvXxKE5/cZOGPP9LCqA4p9muV3Gxwk/img.png)
자세히 보면 일부 라운딩 부분 모서리 부분 의 역 알 가공(포켓 쪽) 또는 원형 라운딩 바닥 부분 이 등고선 가공 과정에서 완만한 경사로 인하여 가공 이 덜 된 부분 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러한 부분만 등고선 잔삭 기능 (전 가공 경로 중 등고선 가공 완료된 부분 기초하여 재가공)을 진행합니다.
역시 같은 방법으로 전체 곡면 선택 후 공구 중심 역영 선택하여 재가공을 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Rzwq2/btrCKhcINno/TvWyizazAURgjEBYjLyj6K/img.png)
위 절삭 파라미터 중 중요한 것 이 가공 시작 경사 각도와 끝 각도 경사 각도 설정입니다.
이것 은 등고선 가공 중 완만 한 부분 (경사 각도 가 작은)을 중점으로 퉁 패스 산출하라는 의미로 가공 형태 을 고려하여 입력하시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egWiT/btrCNMQM2dX/YbfltmhHjXRQolKcl14etk/img.png)
등고선 잔삭 툴패스
그리고 외곽 쪽 의 돌출된 부분 은 스켈롭 가공으로 정삭 툴패스 생성하여 보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XAJB/btrCOKkTv6a/TKwTsigc4jCb9a4jgukt2k/img.png)
해당 부분 곡면 만 가공 곡면 지정하고 나머지 부분 은 체크 곡면 지정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aJoR/btrCJSSqOFX/xjqOQeaA5FKwXABTfu1mkk/img.png)
생성된 툴패스
그리고 최종적으로 모의 가공을 돌려 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RoLki/btrCOKd70hD/bGuWSgUrbKKPZwWgZQkAM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8gXKs/btrCNMXy5oc/eFueM8uREGecPpuIbxmLH0/img.png)
그리고 모델링과 비교 을 해보았습니다. (0.05mm 오차 범위 내)
![](https://blog.kakaocdn.net/dn/edgmMq/btrCMXdYUt2/KXyNXi9YObiIAzMmuNdIK1/img.png)
이렇게 해보니 문제 점 이 툴패스 연산 시간 이 너무 깁니다. (통상 한 가공 경로 단 거의 10 ~ 15분 이상)
이러다 보니 정삭 한번 잡고 수정하고 잔삭 한번 잡고 수정 하고 4 ~ 6번 연산 처리시키면 거의 연산 돌아가는 시간 만 1 ~ 2 시간 소요됩니다... (모의 가공 시간 은 좀 짧으니 제외합니다.)
그래서.....
2. 1번 방식과 유사 하지만 좀 빠른 가공 경로 (잔삭 가공을 지향하고 좀 절감(연산 시간) 할 수 있는 다만 곡면 지정 작업 이 복잡한)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일단 중삭 까지 는 동일하게 처리합니다.
정삭 은 똑같이 곡면 등고선 가공으로 하는데 쉘로우 가공을 추가합니다.
먼저 포켓 측벽만 먼저 가공할 것이므로 포켓의 측벽 만 먼저 선택하여 가공 곡면으로 하고 나머지는 전부 체크 곡면으로 설정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jg9r/btrCH8g4rgG/Np2w4d70BvwUVMkYJHAq2K/img.png)
그리고 등고선 가공 툴패스 을 생성해 줍니다.
가공 파라미터는 평범하게 설정해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1RFqi/btrCNNvoTHQ/dR36LXoVVIYKfE0HEMvkz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vYG2h/btrCKW09ZQF/0mQ54vrwilNEYUYLrQQqLk/img.png)
이후 모의 가공으로 가공 형태 을 확인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elWIz/btrCJTcMsUt/3mfZVmQKllDL7KT6NYqp8k/img.png)
중삭 이후 포켓 측벽면 만 정삭 완료되었습니다.
이후 같은 요령으로 포켓 평면을 스켈롭 가공으로 정삭 해줍니다.
먼저 포켓 바닥 면 만 선택하여 가공 곡면 지정하고 나머지는 체크 곡면 지정 (공구 이송 시 충돌 방지용 / 또는 모든 가공 포켓면 가공 후 공구 이송 높이로 이동 후 이송 처리)을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xG1X/btrCOrr7WUb/swSY66aa14CqOfeXlU4gd0/img.png)
스켈롭 가공 파라미터 설정 은 그냥 무난하게 설정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u0NT/btrCOqfGCK6/44Xpu0H6Zs2K4AiQN3eZLk/img.png)
다만 스켈롭 절삭 파라미터 중 공구 중심 영역 설정을 다음과 같이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mgJe/btrCJwhOGvX/7HX5KDGkkNkkosiDrHBmK1/img.png)
공구 중심 영역 공구 위치 을 내측으로 하고 옵셋 -0.6mm (외측으로) 한 이유는 포켓 측벽과 포켓 바닥 이 만나는 지점을 0.1mm 겹치게 (공구 가공 선 이 발생하지 않게) 절삭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때 이렇게 겹쳐서 가공되어도 이상 없는 형태의 가공 인지 필히 확인하고 또 한 공구 도 평 엔드밀 은 적용 안되며 볼 엔드밀 또는 볼 노즈 (추천) 엔드밀로 하셔야 합니다.)
여기서는 3파이 R=0.5mm짜리 볼 노즈 사용을 전제로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Pf0g3/btrCJUiu3Th/7Z2JutXf1GkHGTfGDVeb2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rUTQj/btrCKj3kaQ8/9HbB30kRR4d7o3zKdKyOl0/img.png)
이렇게 하여 포켓 바닥면을 정삭을 마치면 다시 한번 모의 가공을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QltHO/btrCMWzl8at/2k89dc0YlIGXimA5B90Ke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faCge/btrCI22m0cb/eA9wY55kuIZH7kBz2Wxxtk/img.png)
이제 저 모서리 역 알 또는 바닥면 알 그리고 4군데 크게 라운딩 된 부분만 선택하여 가공 곡면 , 나머지는 체크 곡면.. 생략...
![](https://blog.kakaocdn.net/dn/ZjqQs/btrCMXZlJLW/UhKmtd2vT60kiYfggYI7R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llaeW/btrCLk1kXwA/On1HQxRwmdo4fBqU3q4SzK/img.png)
그리고 대망의 마지막 모의 가공을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PEEl9/btrCI288X9V/pXDTsH8S8rkQY0kfiKsqc1/img.png)
역시 마지막 에는 모델링과 비교 과정을 해봅니다. 비교 오차는 0.05mm
![](https://blog.kakaocdn.net/dn/Ynh13/btrCH8agt6D/0dAVkviueYIIowjPkEQ7ek/img.png)
이렇게 마무리하였는데. 1번 안 보다 좀 빠르기는 하지만 해당 캠 연산속도 가 정말 느립니다.... 가공 경로 하나 당 10분 은 보통.... 가공 공차 줄이면 기쁨 두배.... 가 아니고 커피 두 잔 이 됩니다.
3. 4파이 볼 노즈 엔드밀로 전부 스컬롭 가공 처리하는 방법
가공 전체면 을 스켈롭 가공으로 처리 (연산 이 무척 느리다는 단점 이 있음)
뭐 어차피 연산 시간 오래 걸리니 작업자 힘들게 하지 말고 그냥 전체 모델링 잡고 정삭 걸어 줍니다.
짧은 것 여러 개 보다 긴 것 하나로 퉁치자는... 바람직한.... 방식
일단 중삭 까지 는 동일하고 중삭 후 모든 면을 가공 곡면으로 하여 스켈롭 가공으로 마무리합니다.
가공 간격은 0.15mm로 하겠습니다.
(다만 중삭에서 바로 정삭으로 넘어가므로 중삭 시 가능한 가공 여유 을 작게 남겨 놓으셔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nnhkz/btrCIzMdM7L/tTkzs3ZcKfmMbvON0NvE5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IK0mk/btrCKg5WRkI/yLPWvypoFKvsA6Dbk8pTu1/img.png)
장점 이라 하면 일단 툴패스 작업 시간 이 짧으면서(?) 긴 시간 휴식이 가능하고 사용 공구 종류 을 줄일 수 있고 간혹 가다 같은 정삭 공구인데 서로 가공 영역 겹치는 부분이 살짝 선 이 생기는 문제 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 저런 포켓 바닥 도 측벽과 같은 가공 간격으로 가공하다 보니 약간 의 툴패스 낭비 요소 가 보이는 단점 이 있어 보입니다.
간혹 가공 시간 이 크게 문제 되지 않는 (어차피 오늘 밤새 무인으로 돌아가니....) 경우 빨리 가공에 들어갈 수 있는 장점 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공 형태에 좌우되는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단점 은.... 정말 연산 시간 이 길어집니다. 정말 깁니다... 연산 시간 동안 식사 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이러한 방법 도 있다는 것 을 알아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제 잔삭 하고 마무리하겠습니다.
잔삭 은 그냥 간단하게 해당 곡면 선택하고 나머지는 체크 곡면 지정하여 등고선 가공으로 진행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AXRki/btrCJbYmJ6u/iZtr4BfKOPu6MkXDGTsFi1/img.png)
그리고 곡면 등고선으로 툴패스 생성해 보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EKWxy/btrCJbc1BdM/N1SuFet8HB2EIMkNkAYDr0/img.png)
그리고 모의 가공....
![](https://blog.kakaocdn.net/dn/bAwWP8/btrCMXSzYyC/2IavvUWdx0kwv4ZEFmsMg0/img.png)
이렇게 해서 우선 간단하게 진공 성형 형태 금형 툴패스 생성을 알아보았습니다.
원래 목적이 등고선 툴패스 내는 팁 이 었는데..... 계속 자료 찾고 대응해 보니깐 처음 의도와 안 맞아서 졸작으로 우선 종료합니다.
그래도 하나 얻은 것은.... 해당 캠 연산 속도 가 너무 한다 생각 드네요.... 위 툴패스 을 전부 재생성하면 30분 에서 거의 한 시간 연산합니다. (세잔 5800H ram 16g 시스템)
그래서 여러 가지 시도해보려다가 연산 시간 때문에 포기하였습니다.
그리고 일단 이 글을 마지막으로 당분간 눈팅자로 활동하겠습니다.,
원래 해야 할 머시닝 기초 관련 책(출판물 아닙니다.) 진도 가 너무 안 나가서 그나마 남는 시간에 여러 가지 해 보아야 하는 데 못 하고 있어 이제 이쪽에 전념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감사하였습니다.
해당 캠이 제 컴퓨터 괴롭히는 현장....
![](https://blog.kakaocdn.net/dn/b8FDCb/btrCMNa8rev/rTtPMzlaravokWkoyCMZAk/img.png)
'마스터캠 관련 한 여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캠 모의가공시 좀더 실가공 에 가깝게 연습하기-(2D 바이스작업) (0) | 2022.05.22 |
---|---|
바이스 스톱퍼 가공과정 설명기 (재료설정 교육자료용) (0) | 2022.05.22 |
3D 가공 과정 에 대한 짧은 글 입니다. (금형 형태 가공) -3 (0) | 2022.05.21 |
3D 가공 과정 에 대한 짧은 글 입니다. (금형 형태 가공) -2 (0) | 2022.05.21 |
3D 가공 과정 에 대한 짧은 글 입니다. (금형 형태 가공) -1 (0) | 2022.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