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에는 저번에 이어서 2D 툴패스 와 3D 툴패스 을 겸 하여 가공 툴패스 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우선 캠 작업 전 잠시 생각을 해보니 앞에 3D 툴패스 을 적용하여 툴패스 을 생성해 보니 한 가지 고려 사항을 발견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akTE/btrCNOugcw0/RYEalcj8lkjRFT4IUCeO80/img.png)
그것은 모델링 형태 가 측면에 음각의 홈 이 있어 툴패스가 여기에 영향을 받아서 곧게(똑바르게) 나오지 않는 것이라는 것이다.
실제 가공 시간에도 저 형태 툴패스로 인하여 공구 도 무리 가는 것 같고 가감속에 의 한 가공 시간의 증가 도 고려 된 것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SZpY1/btrCNNPEvWb/frcBzpHGk2CsE5vqSRMsE1/img.png)
그래서 모델링을 수정하여 황삭 , 중삭 , 정삭(?)까지 저 홈 이 없는 형태로 가공 마무리하고 저 홈 만 따로 가공하는 방법을 선택하겠습니다.
그럼 저 모델링을 어떻게 수정하냐?
(실제로 는 설계 단계에서 저 홈 부분 은 삭제 한 모델링을 따로 줄 것 을 협의했으므로 따로 받았습니다.)
만일 그러 하지 못 한 경우와 서페이스 형태(솔리드 가 아닌) 경우에 대비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솔리드로 받은 경우 (곡면 또는 서페이스로 만 된 경우는 다음에) 에는 무척 간단합니다.
우선 모델링을 불러 드린 후 상부 메뉴바에서 모델 수정 - 전체 솔리드 히스토리 작업 제거 - 솔리드 피쳐 수정 - 해당 부분 선택 - 확인 과정을 거칩니다.
* 이 방법 은 마캠에서 모델링하지 않은 (히스토리가 없는) 경우에 적용하며 만일 모델링 히스토리 가 남아 있으면 그 히스토리 을 수정하시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06m5/btrCMbKfqI7/sGGyZS47hqKlxrfi5xJ4S1/img.png)
다시 얘기 하면 모델 수정 - 전체 솔리드 히스토리 작업 제거 을 클릭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48G6V/btrCLA4yYlH/v5lAbtGHFeQedhpxQ5xsh1/img.png)
그러면 솔리드 히스토리를 삭제할 솔리드 을 선택합니다.
그럼 선택 한 솔리드의 히스트리 를 지우려면 "OK" 또는 "적용"을 누르시오 라는 메서지 가 출력되며 확인(엔터키 누름)을 실행하시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MfbF/btrCMW679MF/Cz3m7fjkkbWwXLLPT8dkR1/img.png)
그러면 모델링에 아무런 변화 가 없습니다. (정상)
그리고 모델 수정 - 솔리드 피쳐 수정을 클릭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o4I7/btrCJT4QEqF/fTPuQhRc3Jl3Zgnalk0940/img.png)
그러면 해당 기능 옵션 내용 창 이 출력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cz4F5/btrCMWTCOyT/X3TJjrVzl53VFAdf879vn0/img.png)
우선 그 부분 (홈)을 모델링에서 삭제하는 것이 목적 이므로 작업 형태는 제거 을 선택합니다.
그 후 제거할 부분을 선택해 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E4SR/btrCMaYSCwd/k1GMORPjPLI8EOXta55ev1/img.png)
전부 선택 이 완료되면 확인을 클릭하여 기능을 종료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해당 부분 이 없어집니다.
* 실제로 모델링에서 삭제 (되돌림 안됨) 되는 것이므로 실제 모델링을 하나 더 복사하여 레벨을 달리 한 후 작업하셔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R3gn/btrCLBbjIJZ/hHQtjJZy1JQMCf2ApWXKk1/img.png)
그럼 이번 에는 모델링 이 곡면으로 되거나 하위버젼 경우 곡면 으로 수정하여 할 경우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cRmN/btrCKXeCo17/nzDzwN3PazfXofjDG9p0i1/img.png)
우선 위 와 같이 해당 삭제할 곡면 부분을 선택하여 삭제합니다.
자세히 보시면 저 형태 가 일정 한 곡면에 어떠한 형태 가 트림(절단) 된 형태 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해당 마컴의 그리기 - 곡면 - 트림 곡면 외곽 삭제 기능을 이용하여 트림된 곡면을 다시 생성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ALfhp/btrCJvwpeHn/KAlcHK7NFWzJ2bOxy3fgfk/img.png)
위 트림 곡면 외곽 삭제 기능을 클릭하여 해당 곡면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해당 곡면의 트림된 부분을 빨간 화살표 을 이동하여 해당 면에 위치합니다. (어느 정도로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확인 (엔터)을 하시면 해당된 곡면의 트림된 부분 이 삭제(복원)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QDgF/btrCIGZsd4f/dtiBgaNRHaol8Rgox0pUm1/img.png)
그런데 자세히 보니 상부 원형 부분 이 살짝 트림 된 부분 이 보이네요
조금 귀찮지만 이것 도 트림 곡면 외곽 삭제 기능을 이용하여 삭제해 줍니다.
( 이 경우 한 곡면에 여러 개 의 트림 부분 이 프로 계속하여 한 곡면 선택 후 계속 하여 트림 곡면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sY13/btrCMaq0MiN/AZt8ZzYFkPg0wfMFmCTH5K/img.png)
그럼 이제 남은 가운데 길게 분리된 모서리 곡면을 복원하여야 하는 데 자세히 보시면 각 곡면 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트림된 형태 가 전부 한 곡면에 있지 않은) 형태이라 트림 곡면 제거 기능 이 먹히 않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0MfIr/btrCLAwKafe/yKXAYsJ65qZBxw0Ms5b1K0/img.png)
그래서 차선책으로 그 부분 곡면을 전부 삭제 하고 저 부분 곡면 을 새로 생성 해 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0kKR/btrCKjCfTRf/mCwxn1k28EulnzFvvYHTh0/img.png)
일단 다른 부분 곡면을 전부 정리 한 후 스웹 곡면 으로 전 부분 곡면 을 생성해 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n3FG6/btrCKj95iMO/g811ZJEKFkpeNKi0PyLueK/img.png)
우선 그리기 - 커브 - 한쪽 끝단 기능을 이용하여 스웹 곡면 생성을 위한 커브 을 생성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e3oHG/btrCJvXtNw2/mEzYwQrOO8mSydnK7phs2k/img.png)
한쪽 끝단 커브 기능으로 스웹 곡면 용 체인 을 생성 해 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5d5gE/btrCLAXN27y/ZSy7BUo5ktznlNCq9PCDlk/img.png)
그리고 스웹 곡면 기능 으로 곡면을 생성해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cUTv/btrCMbcpyZl/feqHQmsFJvvxJHyAOrydsK/img.png)
그래서 모델링을 전부 정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sMQSJ/btrCKjhUA7j/H6e8TLIz4P4f3ADFV2uqZk/img.png)
황삭 가공
이제 황삭을 들어가겠습니다.
우선 소재 상면을 0.1mm 페이커 컷으로 면삭 하여 일단 소재 상단 0.0mm을 맞춥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8wZV/btrCJSLDYwD/iwV22Qg1Jy45J4QYlllivK/img.png)
그리고 공구경 25.0 파이 R=0.8mm 볼 노즈 알루미늄 커터로 황삭 작업을 합니다.
먼저 외곽의 깊이 27.0mm 부분을 2D 윤곽 절삭 기능으로 황삭 처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AS1w8/btrCLzq6lAM/eJm1tA8e587ChDy54SeEAk/img.png)
우선 윤곽 가공을 선택한 후 윤곽 체인 작업 창에서 솔리드 을 선택하고 전체 끝단 옵션을 클릭합니다.
( 먼저 2D 도면이나 그리기로 2D 윤곽을 먼저 그리고 그것을 윤곽 체인 설정하셔도 되나 여기서는 솔리드 체인으로 설정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eOG2g/btrCKWfKHqX/jELtyk9aNGsjspECUmkqL1/img.png)
윤곽 가공할 모델링 기준 될 끝단을 클릭하시면 참고면 선택 (체인 이 생성될 면 여부) 창 이 나오면서 설정된 체인 이 화면에 나옵니다.
이 체인 이 윤곽 체인으로 사용됩니다.
(사실 먼저 모델링 형태 을 검토하여 어디 을 체인 잡 울 것 인지 생각해야 합니다.)
만일 참고면 선택 창에서 다른 면 선택을 누르면 (만일 원하는 체인 면 이 아닌 경우) 다른 쪽 면 이 선택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k64cL/btrCMXSwM6t/mqrFXWvic2AaDLika9Kf1k/img.png)
우선 이렇게 설정된 체인을 가지고 일반적인 윤곽 가공 파라미터 을 설정하여 외곽 황삭을 마무리합니다.
(깊이 가공 4.0mm에 측면 가공 2회 가공 여유 0.15mm로 마무리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kShX/btrCKkOGMHH/ilh1c9m3bKKyHfs7bYxjGk/img.png)
그리고 이제 내곽 쪽 황삭을 작업하겠습니다.
내곽 은 곡면 포겟 가공으로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7KX0t/btrCLzEAw4D/WIpSmmsQOYzK3BCGBt1KL1/img.png)
가공 경로 - 곡면 황삭 - 포켓 가공을 선택합니다.
그럼 해당되는 곡면 (솔리드)을 선택하라는 메시지 가 출력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7crbr/btrCNMQJ0ol/yjwRtK2Uzw2VNcdwZSl2KK/img.png)
우선 여기서는 전체 을 선택합니다. (곡면 황삭 포켓 가공 에는 체크 곡면 선택 이 없으므로...)
![](https://blog.kakaocdn.net/dn/cWTlXi/btrCNMXvIqy/ZfIImBAT2AvkYQVliEtun0/img.png)
이때 솔리드 선택 아이콘을 활성화 하신 분 은 다음 과 같이 솔리드 만 선택 되도록 메뉴바 의 아이콘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Bpw9/btrCMaxNhMV/Y2TCRRLkWZDD1P8I40k9kk/img.png)
선택한 후 가공 경로/곡면 선택 창에서 보기을 클릭하여 원하는 면 이 선택되었는지 확인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tdD5T/btrCJTKBqox/AJJMYarnb6zScUb3kxxxs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mf3XT/btrCLAwJ9R1/9ViNQS6wJEQgZtC5k5qYtk/img.png)
확인되었으면 다음 작업으로 넘어갑니다.
현재 전체 솔리드 부분 이 선택되었으므로 처음 가공 한 외곽 가공 부분 은 가공 범위에서 제외되어야 하므로 공구 중심 영역을 설정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4kgIs/btrCNNPEzh4/BU6WBPM5AlF5PgJDALxNz0/img.png)
1차 외곽 황삭 가공 모의 가공 상황
![](https://blog.kakaocdn.net/dn/2f1gI/btrCI3UsAWw/Q5156n9fkma2OzajMg3Lm1/img.png)
다시 가공 경로/곡면 선택 창에서 공구 중심 영역을 클릭합니다.
체인 방식 은 위에 설명 한 솔리드 체인 방식으로 같은 외곽선을 설정해 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1w2sN/btrCKWUiSgq/VZCtNNjKCOrONNVgFIqA8k/img.png)
그다음 곡면 포켓 가공 절삭 파라미터 을 설정해줍니다.
가공 경로 파라미터는 일단 공구 절삭 조건 이므로 일단 패스합니다. (각 작업 환경에 맞추어 설정하세요)
![](https://blog.kakaocdn.net/dn/bfsQ7e/btrCLzxOmDF/IvDruFn2RKJaxt6GPgp9u1/img.png)
곡면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습니다.
1. 가공 설정 높이 는 위 와 같이 안전 15.0 이송 높이 8.0 증분 진입 높이 3.0 증분으로 되어있습니다.
설명 가공되는 영역(바운더리) 내에서는 가공 후 증분 8.0 높이로 이동 후 진입 3.0 증분 높이 로 이동 후 가공 시작 다음 가공 영역(바운더리)으로 넘어갈 때는 안전 높이 15.0 절대 값으로 이동 후 이송
2. 가공 여유는 대상 곡면 기준 0.15mm
3. 공구 중심 영역 은 내측으로 설정
여기서 공구 중심 영역을 중심 이 아닌 내측으로 설정 한 이유 는 소재 외곽 부분 은 이미 황삭 가공 되었으므로 가공 할 필요 가 없으므로 내측 만 가공 하라는 의미 로 내측 으로 설정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XDFjG/btrCNNISPp0/cfL8efmscKJhBS52pCDrq1/img.png)
가운데 점선 이 공구 중신 영역입니다. (외축 경우 공구 가 살짝 안쪽으로 들어간 것 은 경로 캡처 을 살짝 잘못한 것으로 실제는 공구 중심 영역 외곽으로 진행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2CsMT/btrCNMQJ1GM/XsVDsJ3NtKH2kTxNTz7NbK/img.png)
황삭 파라미터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1. 가공 공차는 황삭 이므로 0.1로 설정하며 거르기 기능 은 50 : 50으로 설정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AtU52/btrCMXEZNKP/3TBKYu4EnzFGudJdoEjm60/img.png)
2. 최대 Z절삭 간격은 3.0mm로 설정하였습니다.
3. 공구 진입 조건 은 헬리컬로 진입하도록 (공구 진입 부하 저감 효과) 설정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kgtQ9/btrCMYjz7yX/T6x3zUkfbZqhwDO46oekNK/img.png)
4. 가공 깊이 제한을 설정하여 최소 -0.1mm 에서 최대 -77.0mm로 설정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D8Q2m/btrCJvb3ElG/MfKFzyLzn1ooK8vakux0T0/img.png)
깊이 제한 설정 방법 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Fag2g/btrCNOgJZGO/l4RmA3ydg9v8C9lukN0oDK/img.png)
깊이 선택 칸 을 클릭하면 최소와 최대 깊이 값을 리셋 ("0"로 세팅) 할 것이라는 메시지 가 뜨고 "예"을 클릭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Kckl/btrCKV8WREC/9xKroAvhJUzSEScTKAKffK/img.png)
그럼 먼저 최소 깊이 점을 선택하라고 나옵니다. 그럼 상부 최소 높이 (여기서는 Z 0.0 지점)을 클릭해 줍니다.
이후 최대 깊이 (제일 낮은 지점) 을 클릭해 줍니다.
그러면 최소 0.0과 최대 -77.0 이 입력됩니다.
실제로 여기서는 최소 -0.1과 최대 -77.0을 입력합니다.
최소 -0.1 (0.0 이 아니고)을 입력하는 이유는 만일 0.0을 입력하면 맨 처음 공구가 Z0.0 위에서 가공 시작합니다.
이미 맨 처음 Z0.0을 면삭 했으니 불필요한 가공 경로 라 Z-0.1 (맨 처음 제대로 가공되나 보기 위하여 살짝만)을 입력하여 가공을 시작합니다. (혹시 모를 불량 체크)
그다음 틈새 이송 은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mJcCa/btrCKiXEO9R/8Ozmbd4nuMkwMPOUKEVGu0/img.png)
포켓 가공 파라미터 설정 내용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cHNH/btrCJSyaH25/DjFTeFo2h99BmmDr8CoTQ1/img.png)
특이 사항 이 없으니 그냥 넘어갑니다.
이후 툴패스 연산을 실행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Er1XQ/btrCMcoP56y/gcADGN3ocRTC8dI4ChgKl0/img.png)
툴패스 연산 초기에 이러한 메시지 가 출력됩니다.
이 메시지의 의미는 가공 시 정삭 가공 이 가능할 정도로 (앞에 설정 한 가공 여유 0.15mm) 미절삭 부분 이 적게 남지 않았다는 미절삭 부분 이 많아 그대로 정삭 가공 들어가면 안 된 다는 의미입니다.
이 메시지 가 나오는 이유는 포켓 가공 깊이 등분 상 (현재 소재 Z0.0에서 3.0mm 간격으로 등분하여 가공하라고 설정된) 가공 깊이 상 등분 단계 최하 깊이 에서 멈취므로 (간단히 얘기하면 최 하 깊이 -77.0에서 가공 간격 3.0을 뺀 -74.0에서 가공 여유 (0.15)을 적용.....
실제 계산하면 0.0 ~ 77.0을 3.0을 등분하면 25.6 단계 = 27.0 단계 그럼 나오는 최종 가공 깊이 단계에서 가공 여유 빼고 하면.... 어쩌고저쩌고 하면 결론 가공 간격 3.0 보다 작은 값 이 미절삭 됩니다.
가공 여유 0.15를 지정해도 결국 바닥 은 가공 간격 3.0에 기준 한 미절삭 부분 이 남게 됩니다.
그래서 가공 경로 정보 을 확인해 보면 최대 가공 깊이가 -74.038로 나옵니다..
사실 원하는 가공 깊이는 -77.0 - 0.15 = -76.85 이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74.038 이 나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xEZa/btrCMb4xLri/EIF8GXnKeQB6nGLEXcKjy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sS8se/btrCMXrqjzC/kwJIUk95n5rb2IkFgzikX1/img.png)
일단 가공 경로 가 나왔습니다.
즐거운 마음으로 모의 가공을 실행해 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n5GsI/btrCLzLlwtS/ySqvGoxzuDKxhKriNUkvxk/img.png)
그런데 저 화살표 부분에 얇은 벽이 생겼습니다.
이유는 외곽 황삭 가공 시 같은 체인을 두고 외곽 은 외측으로 가공 여유 두고 내곽 은 내측으로 가공 영유 을 두기 때문에 저러한 형상 이 발생합니다.
실제로는 0.3mm 이내 얇은 벽 이므로 가공 중 없어지겠지만......
그러나 혹시나 하는 마음에서 경로 수정을 합니다.
곡면 파라미터에서 공구 중심 영역 설정에서 내측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서 옵셋 거리 을 0.0에서 -5.0으로 입력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mYoAf/btrCKWzZ7c7/g1VN9QgwU74VsfBLWXs8WK/img.png)
이렇게 하고 가공 경로 확인을 해보니 아래와 같이 살짝 외측으로 넘어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69Lm4/btrCKiXEPhs/1B8F9L3X7cazejOKgWkvlk/img.png)
그래서 다시 모의 가공을 실행해 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JgWug/btrCKWfKIe5/iGQgnW2cmjYPs2T1gbYu01/img.png)
음 좋아 보입니다.
그래도 한번 모의 가공 상 가공된 깊이 을 확인해 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cYeq/btrCMaEy4ai/MHaYuxcMFpOVzvEG3q5d4K/img.png)
모의 가공 상에서 단면을 출력해 보니 측면 은 상관없는데 바닥 면 이 전부 두껍게 미절삭 된 것 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중삭을 하여야 할 이유 가 발생하네요...
그럼 중삭 , 정삭 은 다음 기회에 하겠습니다.
'마스터캠 관련 한 여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가공 과정 에 대한 짧은 글 입니다. (금형 형태 가공) -4 (2) | 2022.05.21 |
---|---|
3D 가공 과정 에 대한 짧은 글 입니다. (금형 형태 가공) -3 (0) | 2022.05.21 |
3D 가공 과정 에 대한 짧은 글 입니다. (금형 형태 가공) -1 (0) | 2022.05.21 |
마스터캠 와이어프레임 가공 (쿤스 가공)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3 (0) | 2022.05.21 |
마스터캠 와이어프레임 가공 (쿤스 가공)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2 (0) | 2022.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