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참해보는 질문 과 답변 입니다 (네이버 카페 게시글 입니다.)

반응형

우선 저는 솔리드 수정 의 솔리드이동 기능을 사용하였습니다.

 

etc-image-0



 우선 먼저 도면을 보면(꼭 시험보는 도면은 불친절하게 제시하는....) 좌우 측벽의 각도만 정확하고 45도... 위아래는 좀 심란하게 표기 하였습니다.

etc-image-1



 상하단면 (a-a)그려서 보니 수직면에서 각도가 애매하게 나옵니다... ​

etc-image-2



 우선 적당한 박스를 그린후 가운데 바닥(치수가 있는) 박스를 먼저 생성 하였습니다. (35 X 25 6Dp)

 그리고 솔리드 돌출컷으로 깊이 Z6.0 만큼 포켓을 생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솔리드 수정 - 이동 기능를 선택하고 (이때 모델링 생성 히스토리를 제거 한다는 메세지가 나오는데 제거 하여야 합니다.) 우선 상면 포켓 측벽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이미지 처럼 평면 지시침이 표시됩니다. 이때 저기에 보이는 조그만 한 박스를 축방향 형태로 전환해주세요

* 지금 상태가 평면 지시침상태(해당 면 형태 변경상태) 이고 저 박스가 축표시(XYZ) 로 변경하여야 합니다.


 그러면 지시침재배치 상태가 됩니다.


 이때 경사줄 면의 회전축이 될 와이어프레임으로 지시침을 이동하여야 하므로 같은 방향의 지시침의 화살표 부분을 클릭 합니다.

etc-image-3


 그러면 선택한 축의 형태로 지시침이 이동 가능해집니다.

그대로 경사질 면의 축부분(하단 와이어프레임) 으로 이동하여 해당 위치로 고정합니다.

etc-image-4


경사질 면의 회전축으로 이동되었으면 다시 저 작은 박스을 클릭하여 원래 모델링 형태 수정 상태로 돌려놓습니다.

그리고 회전할 축방향의 회전바를 클릭합니다. (회전방향 선택)

etc-image-5


그리고 맨처음 도면에서 산출한 각도를 회전방향에 맞게 입력 합니다.

그러면 원하는 각도로 면이 기울어집니다.

이것을 나머지 3면에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 합니다.

etc-image-6



그러면 위와 같이 원래 박스면에 접하는 경사면이 생성됩니다.

그럼 이것을 활용하여 바닥면도 같이 경사를 줍니다.

etc-image-7


이렇게 해서 경사를 주는것은 다되었구나 생각 했는데......

etc-image-8


 생각해 보니 측면을 먼저 하고 바닥을 기울이면 바닥면이 측면 따라 경사지므로 다시 되돌아가서 바닥을 먼저 기울이고 측면을 경사를 주어야 합니다.

etc-image-9

 


​그래서 다시 해서 이제 측면의 모서리 R10 필렛을 주고 바닥면의 R4 필렛을 주면 끝입니다.

 다만.. 맨처음 도면처럼 각도가 45.374.....이렇게 생성되면 정확하지 않으므로 실 가공물은 아까 단면(A-A) 의 도면을 가지고 모델링 가운데에서 양쪽 돌출컷을 한후 좌우 측면 경사 주고 필렛 주어야 합니다.

etc-image-10
etc-image-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