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캠 2021를 활용한 외줄 형태 한글 문자 각인 작업에 관련하여(한줄폰트)

반응형

 

 

이번에는 마스터캠을 활용한 한글 문자 한 줄/외줄 각인 작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일반 제품 가공을 하다보면 제품의 품명 또는 생산일자, 제품번호 등 일반적으로 알아보기만(이것이 포인트입니다.) 하면 되는 형태의 문자 각인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해당 문장을 와이어프레임탭의 문자 기능을 이용하여 생성된 문자(와이어프레임 형태)을 윤곽 가공경로의 보정 안 함 기능으로 외줄 형태 경로로 주로 볼 엔드밀 형태 공구로 살짝 알아만 볼 수 있게 얇게 가공하는 경우입니다.



 그런데 한글을 외줄 형태로 각인작업을 해야하는데 기본적인 상태에서 문자 생성 기능으로 한글을 출력해 보면 외줄폰트가 없는 관계로 한글 문자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약간 논외로 이전(마스터캠 2020버전 이전) 까지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1. 해당 한글 텍스트를 오토캐드에서 원하는 크기와 형태(폰트)로 생성한 후 이를 폭파(explode)하여 개별적인 와이어프레임으로 변경 후 이를 마스터캠에서 불러드려서 체인 작업하는 경우


* 이때 오토캐드 에서 불러오기 안되어(폭파가 안되다던가..) WMF(메타파일)로 저장하여 마스터캠에서 불러드리는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습니다.
https://youtu.be/JMTiXPjNtKI?si=Dj1ynqOFR5yYPg3K

 

2. 마스터캠 9.1 버전의 경우 해당 한글 폰트(오토캐드 기반 : shx)를 마스터캠 글꼴에서 등록하여 해당 외줄 한글 와이어프레임을 생성하여 체인 작업하는 경우
https://youtu.be/jUipx6xZZOg?si=ITg7JbEIgdeL5glT

한줄가공.zip
0.23MB

 

3. X버전 이후 최신버전(정확히 언제부터인지는 기억이...) 오토캐드 호환(shx) 폰트파일이 마스터캠에서 호환이 안됨(사용불가).....


 그래서 사용가능한 폰트(OLF SimpleSansCJK OC)를 마스터캠 폰트 폴더에 복사해 넣어서 임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단 사용가능 문자형태가 한종류뿐이고 다루기가 좀 까다로움, 이후 2020 버전부터 마스터캠에서 자체 지원)
https://youtu.be/Q-lvz7Y7wZ0?si=3CNOU2mLkMuDKhWJ

OLF_SIMPLESANSCJK_OC.zip
2.89MB

 


그 이전까지 이러저러한 방법으로 외줄 한글 각인을 진행했지만 아래 내용은 좀 다른 내용입니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아래와 같이 마스터캠에서 기본제공하는 폰트(Drafting : 드래프팅(제도)), (MCX : 마스터캠 전용 폰트) 2가지가 있는데 사실상 해당 폰트들은 한글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위와 같이 마스터캠 문자 생성 기능 사용 시 사용 글꼴(폰트)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사용하면 한글이 표시(생성)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마스터캠에서 사용하는 폰트는 사용 특성상 마스터캠에서 자체 지원합니다.


* 즉 외부 윈도에서 제공 또는 타사 프로그램제공(오토캐드 같은) 폰트가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거기다가 해당 사용할 수 있는 문자 형태가 제한적으로 제공되어서 0~9 또는 일반적인 알파벳(A~Z) 이외 문자는 생성할 수 없습니다.


* 예로서 마스터캠 프로그램 설치 폴더의 폰트저장 폴더 내용의 파일을 살펴보면 위처럼 지원되는 문자만 별도로 고정된 형태로(와이어프레임으로 생성가능한 : 즉 문자를 하나 한 그때그때 그린다는...)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특수문자 또는 별도 다른 문자가 생성되지 않는 이유가 이러한 이유입니다.


* 그래서 마스터캠 문자생성 기능 중 기호추가 기능으로 특수문자 생성이 가능합니다.
(다만 특수문자 형태가 한 가지 이므로 같이 생성되는 문자와 관계없이 다른 문자 형태로 생성됩니다.)



* 거기다가 좀 잘 사용하지 않은 특수문자 경우 생성되지 않거나 형태가 좀 이상한 형태로 출력됩니다.
(이것은 적용하는 폰트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이러한 이유는 해당하는 문자 형태의 정의가 해당 적용 폰트정의에 없기 때문입니다.



* 즉 위의 에러메시지처럼 해당하는 문자의 형태 데이터 파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생성이 안되는 것입니다.

 

 


 그럼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한글은 어떻게 하나?

 사실 마스터캠에서 아주 기본적으로 윈도 폰트를 사용 가능 하도록 준비(?)되어 있습니다.


* 그렇지만 이러한 기능이 한글을 위한(?) 기능은 아닙니다.


* 마스터캠 전체 버전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기본적으로 2020 버전 이후 기본적으로 적용되며 2017~2019 버전은 해당 OLF 폰트 파일을 복사하여 해당 마스터캠 시스템 폰트폴더에 넣어서 사용은 가능하다고 합니다.



 문자생성 기본탭의 글꼴 선택중 최하단의 OLF SimpleSansCJK OC (트루타입) 글꼴을 선택하면 외줄형태의 한글이 생성됩니다.


* 다만 이 글꼴의 폰트는 마스터캠에서 제공하는 Simplesans(다국적언어 지원 간편 형태(외줄) 글꼴..?)이라 문자 형태 변경은 불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해당 폰트를 사용하여 각인가공을 해보면 어느 정도 그럴듯한 형태의 문자 형태를 보여줍니다.


* 일반적으로 알아보기만 하면 되고 간단하게(빠르게) 각인 작업용 글꼴로 사용하기 좋습니다.


* 위 모의가공 결과처럼 한정된 용도에서는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럼 다른 형태(글꼴)의 한글 문자는 생성할 수 없는 것인가?

 일반적으로 마스터캠은 윈도 시스템상 적용된 글꼴(TTF 트루타입 폰트)은 거의 99% 적용가능합니다.

 사용법은 역시 문자 생성에서 트루타입 적용 기능을 사용하여 글꼴을 지정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트루 타입 적용 기능으로 현재 윈도에 적용되는 폰트중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 위와 같이 해당 글꼴로 지정하여 특수문자랑 같이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폰트 적용이 원도우 트루타입 글꼴로 하면 텍스트 생성이 어렵지 않게 가능합니다.)

 

 


 그럼 이제 본론입니다.

 원청(발주처)이 제공한 도면에 문자 각인이 있는데.......


 두 줄짜리 폰트(주로 트루타입 폰트 : 요즘은 오토캐드도 별도 폰트가 아닌 윈도 호환 폰트를 씁니다...ㅠㅠ)

 


 예로서 아래와 같은 문장이 있습니다.



 위와 같은 문자를 한 줄로 볼엔드밀 가공이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원청 설계팀 문의 결과 도면 변경불가 지정된 폰트 형태를 유지하랍니다....ㅠㅠ

 약간의 융통성이 있다면 문자의 크기 형태는 유지하면서 한 줄 가공이 가능하다면 그 정도는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럼 어떻게.....?

 우선 일반적인 가공의 각인이 아니고 제품특성상 문자의 형태를 유지해야 하는 형상을 가공하신 분들 은 아시겠지만, 일반적인 공구가 아니고 날 끝이 뾰족한(날끝 지름 0.1 정도) 각인공구로 포켓 가공하여야 합니다.


* 일반적인 가공 공구인 평엔드밀이나 볼엔드밀로는 저러한 가공영역(가공폭이 0.3 정도 되는..)을 포켓 가공할 수 없고(공구경이 0.3보다 작아야 하므로) 날 끝이 뾰족한 각인공구로 포켓 / 조각 가공경로를 사용하여 작업하여야 합니다.

 


 일단 가공자체는 크게 문제없이 작업됩니다.


 다만 외줄 가공보다는 좀 더 많은 가공시간(가공경로가 여러 개 겹치며 생성되므로)을 요구하게 됩니다.

 


 포켓 가공경로 사용 시 모의가공

 

 


 조각 가공경로 사용시 모의가공


* 사실 각인가공만을 위한다면 조작가공이 좀 더 경로가 단순하고 적절하게 가공이 되지만 사용법이 익숙하지 않아 일반적으로 포켓 가공경로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앞서 얘기 한 듯이 원청에서 외줄가공(볼엔드밀 가공)을 원래 문자 형태를 어느 정도 갖춘다면 허용한다고 했으니 가공시간 단축을 위하여 외줄 가공경로를 도전해 봅니다.

 어떻게....?

 기본적으로 문자 형태(폰트모양)를 안 따라가고 내용만 알아볼 수 있으면 된다면 다시 외줄형태 폰트로 다시 생성하여 윤곽 가공경로로 진행하면 간단히(?) 되지만 원청 요구사항이 지정된 폰트형태를 유지해달라고 하면 일단적으로 방법은 없습니다.


* 여기서 방법이 없다는 것은 이러한 두줄형태 폰트를 외줄형태 문자로 변환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설명입니다.

 

 


 그래서 수작업이라도 진행한다면...


* 사실 어느 방법을 진행해도 쉽고 빠른 방법은 없습니다.
마우스 클릭 막일......

 


1. 문자의 외곽선을 일일이 안쪽으로 반반 오프셋을 해서 문자의 중앙선을 생성합니다.


* 이 방법은 모든 문자의 특정방향에서 문자획 두께의 절반만큼 선택하여 오프셋 하여 외줄 형태 문자를 만듭니다.


* 다만 이 방법은 모든 문자의 획폭이 일정하다는(어느 정도) 조건하에 일일이 선택하여 중앙 외줄 요소를 만들어야 하며 문자의 획이 겹치는 부분은 나중에 일일히 찾아서 수정(트림)해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고 만일 문자획폭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그때그때 오프셋값을 조절해주어야 합니다.

 


2. 우선 해당 문자의 도형요소를 전체 선택 후 포켓가공을 적용하며 실제 가공을 하는 것이 아니고 포켓 가공경로 생성된 요소만 와이어프레임으로 받아 이를 토대로 외줄형태 가공경로를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 즉 해당 문자의 획폭에 기준한(약간 작게 : 최소폭) 공구경을 가진 공구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포켓가공정의를 생성하는데 가공여유값 또는 황삭 / 공구지름 크기 비율값 조절등을 통해서 가능한 외줄형태로 가공경로가 생성되도록 유도후 이를 다른 레벨에 도형요소로 복사한 후 이를 토대로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 다만 이 방법도 100%(폰트 따라 틀리지만 거의 50~60%선만) 외줄 도형요소를 생성하지 못하고 나중에 전부 일일이 수동적으로 생성된 도형요소를 정리하여 외줄 가공경로를 생성하여야 합니다.

 

 

예로서...

 아래 "모모맨" 문자를 윈도 영역 선택한 후 포켓 가공경로를 생성합니다.


* 가능한 문자획 가운데 외줄만 경로가 생성되도록 문자획폭 값보다 살짝 작은 공구경을 가진 공구(가상의 경로 생성용 공구)로 포켓 가공 경로를 생성합니다.


(일단 우선 생성된 가공경로를 보고 가공여유값을 (마이너스/플러스) 조절하여 최대한 외줄로 나오도록 조절합니다.)
(만일 가능한 작업자가 손을 덜 보려면 글자 하나하나(글자 획폭을 가변 하여 경로 생성 : 가능한 외줄로 생성되도록) 가공정의를 생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 다음 해당 가공정의를 경로확인 기능의 도형저장 기능으로 별도의 다른 레벨에 경로 자체를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로 저장합니다.


 그리고 해당 도형요소가 대부분 외줄이 아니거나 형태가 좀 다르게 된 부분이 있으니 수동으로 수정하여 정리합니다.


 그리고 정리된 외줄 도형요소를 체인 선택하여 윤곽 가공으로 해당 실제 가공경로를 생성한 후 모의 가공을 진행하여 원래 문자 모양과 큰 차이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 이 방법도 문제점이 일단 해당 문자가 클래식 타입(붓글씨 형태) 이거나 문자 획폭이 두껍고 획폭의 변화가 심한 경우에 해당 작업(외줄 문자형태)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재검토 후 조각 포켓 가공작업으로 전환을 검토하셔야 합니다.

 


* 위와 같은 형태 문자형태(폰트)는 외줄형태 가공으로 지정 문자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3. 해당 문자열을 솔리드 돌출기능을 사용하여 경사진(산 형태) 돌출형태를 만들어서 그 경사 접점(산 꼭대기)을 생성한 후 별도 레벨에 그 꼭대기에 해당하는 선(커브)을 생성하여 그 커브 요소를 이용하여 문자획의 중심선을 생성합니다.

* 즉 해당 문자요소(와이어프레임 상태)를 선택한 후 솔리드 돌출(돌출 높이는 문자획 폭보다 살짝 큰 높이로)하고 고급탭에서 경사항목을 활성화하면 적절한 각도(문자폭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대략 45도 이하)를 주어 경사형태 솔리드 돌출물을 생성합니다.



* 솔리드 돌출 높이값과 지정된 경사 각도값에 따라 해당 솔리드가 생성되고 안되고 가 결정되므로 여러 가지 값을 넣어서 적절한 형태를 생성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산 형태의 솔리드 요소가 생성되면 상부 꼭짓점 부분(산 꼭대기) 부분에 커브(커브 한끝단)를 생성합니다.


* 이때 생성되는 솔리드 형태상 각 코너 부분에 커브 간 연결이 잘 안 됩니다.


그러므로 커브 생성 시 좀 꼼꼼하게 넣는 것을 권장합니다.


* 이때 생성되는 커브의 확인을 위하여 꼭대기 부분에 커브 생성(3D 모드)하면 나중에 투영이동 기능으로 원래 각인 문자 가공원점 높이로 이동하여야 합니다.


 만일 2D 모드 상태에서 커브생성을 하면 자동적으로 현재 가공원점(Z높이)으로 위치합니다.
(가능한 이 방법을 권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와이어프레임 요소을 자세히 보시면 각 도형요소의 코너 부분이 연결이 끊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이런 형태가 있지만 경우에 따라(저 틈새가 무척 작습니다.) 가공 후 분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크게 문제시되지 않습니다.


* 만일 만전을 가한다면 수정 기능의 트림기능을 이용하여 코너 부을 연결 하여도 좋습니다.
(이경우 체인 수가 줄어서 가공경로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도형요 소을 체인 선택하여 윤곽가공 보정 안 함, 진입/복귀 없이 가공경로를 생성하였습니다.


 이것을 모의 가공 해본 결과 우수하게 잘 가공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다시 말씀드리지만 위 1,2,3번 방식 전부다 모든 형태에 폰트에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외줄 형태에 유사한 폰트만 가능하면 만일의 경우 단순히 텍스트 내용만 식별 가능한 경우 특정 각인공구에 위한 포켓 형식의 가공경로를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위와 같이 두줄로 된(트루타임 폰트) 문자 각인 시 한 줄로 가능한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 다시 말씀드리지만 두줄로 된 폰트 요소를 자동적으로 한줄로 변환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