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마스터캠 상단 리본 메뉴의 여러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마스터캠 상단 리본 메뉴은 아래와 같은 것을 말합니다.
리본메뉴의 종류는 "홈", "와이어프레임", "곡면", "솔리드", "모델수정", "도면", "이동", "아트"(선택), " 머신", "뷰", "가공경로"를 말합니다.
* "파일" 메뉴는 별도의 구분되는 메뉴로 정의합니다.
파일 메뉴의 선택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정보
마스터캠 보조기능에 대한 설명과 작업 중인 마스터캠 파일에 대한 속성정보와 마지막 수정날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프로젝트 관리자(Project File Manager)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활은 마스터캠 작업과정에서 해당파일(작업파일)의 주요 파일의 저장위치를 임의적(?)으로 지정이 가능합니다.
1. 프로젝트 파일 폴더 위치
해당 프로젝트 관련 주요 파일 저장위치입니다.
* 아래 프로젝트 폴더에 추가할 파일에 활성화(체크)된 파일 유형은 위 지정 폴더에 저장됩니다.
* 이 저장 폴더는 해당 캠파일을 열기 한 위치입니다.
* 만일 새로 만들기(NEW) 한 경우 기본 마스터캠 파일 위치(캠파일(mcam)은 기본적으로 "C:\Users\ 컴퓨터명 \Documents\My Mastercam 2021\Mastercam\Parts"에 저장됩니다.
그렇지만 사용자가 별도의 캠파일 저장 위치가 있는 경우 우선 일단 사용자 저장 폴더위치에 저장 후 이 프로젝트 관리자에서 필요한 주요 파일 유형을 지정하면 위 마스터캠 기본 폴더에 저장되지 않고 현재 프로젝트 관리자에서 지정 폴더에 저장(이라기보다 저장하기 하면 그 해당 폴더가 열립니다.)됩니다.
*또한 이러한 설정은 현재 작업 중 상태에서만 유지되고 해당 작업 파트파일을 저장하거나 마스터캠 종료 후 다시 열기 하여도 이 프로젝트 설정 내용은 유지되지 않으며 재 설정을 하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간혹 각 프로젝트(가공그룹(?))별도 폴더를 생성하고 그 안에 프로젝트별 각 유형의 파일을 각각 저장(구분하여)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 일반적으로 단품이나 임가공에서 일회성으로 작업하는 경우에는 크게 필요가 없습니다.
2. 프로젝트 폴더에 추가할 파일
체크된 유형의 파일은 위 프로젝트 파일폴더에 저장됩니다.
NC파일 : 가공데이터(가공 프로그램(G-code) (*. nc))
NCI파일 : 수치제어 중간변환(numerical control intermediate(*. nci))
공구목록 : 해당 가공정의에서 지정한 공구목록(Tool libraries(*. tooldb)
파워목록 : 와이어(EDW) 가공 시 적용되는 전류값(power settings libraries)
작업 기본값 : 해당 머신 그룹 속성의 작업 기본값(가공정의 기본적용 파라미터값(*. mcam-defaults))
작업목록 : 해당 머신 그룹 속성의 작업 목록(가공정의 작업 기본값 목록(*. mcam-operations))
재질목록 : 해당 가공정의에 적용 중인 재질목록(*. mcam-materials)
* 위 항목 중 작업 기본값은 기본 마스터캠 폴더 이외 저장위치에 저장 시 마스터캠이 인식 못하는(해당 유형파일은 마스터캠 지정 기본 폴더위치가 기본임) 경우가 있습니다.
(주의)
전체 선택은 모든 파일 유형을 선택합니다.
전체 초기화는 현재 선택된 파일 유형을 취소합니다.
3. 이 파트 파일로 새 머신그룹을 추가할 때 이러한 설정을 적용
이것을 활성화(체크)할 경우 아래④ 선택한 머신 그룹 이외 새로운 머신그룹 생성 시 이러한 적용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만일 비활성화(체크해제)할 경우 새로 생성된 머신 그룹은 다른 값(마스터캠에서 지정한 기본값)을 가집니다.
4. 그룹 설정
1,2번 설정 내용을 적용할 머신그룹을 선택합니다.
*마우스 클릭으로 선택합니다.
전체 선택은 현재 생성된 모든 머신 그룹을 선택합니다.
전체 초기화는 현재 선택된 머신 그룹 선택을 취소합니다.
5. 확인, 적용, 취소, 도움말
해당 수정 내용을 적용하는 방식을 선택합니다.
확인 : 해당 수정 사항을 적용하고 해당 기능창을 종료합니다.
적용 : 해당 수정 사항을 적용하고 해당 기능창을 유지합니다.
취소 : 해당 수정 사항을 적용하지 않고 해당 기능창을 종료합니다.
도움말 : 해당 기능에 대한 도움말을 영문 페이지로 안내합니다.
변경사항 인식(Change Recognition)
두 개의 마스터캠 파트파일(도형요소만 적용)을 서로 비교하여 차이점을 확인 가능하며 원본 파트 파일의 도형요소에 체인 선택된 가공정의에 다른 비교대상 도형요소에 선택 체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즉
1. 두개의 파트 파일의 도형 요소를 서로 비교하여 차이점을 인식합니다.
2. 만일 도형요소의 변동사항이 있는 경우 다른 도형요소(비교 대상)를 이용하여 원본 도형요소의 가공정의 체인 선택을 추가, 삭제가 가능합니다.
* 비교 대상의 가공정의는 인식되지 않습니다.
(원본 파일 가공정의 도형요소 체인만 수정 가능)
(와이어프레임, 솔리드 곡면 요소등 가능하나 와이어프레임 요소 비교대상에 최적화되어 있음)
(솔리드, 곡면의 경우 단순 교차 비교는 가능하나 별도로 공통부분에 대한 확인은 불가능합니다.)
사용 예로서.
1. 위와 같이 원본 "A" 파트 파일을 열기 한 상태에서 정보 - 변경사항 인식 기능을 실행합니다.
2. 그럼 비교 대상 "B" 파트 파일을 선택하라고 파일 폴더 선택창이 표시됩니다.
3. 비교 대상 "B" 파트 파일을 선택하면 변경사항 인식 기능창이 표시됩니다.
① 원본"A" 대상 가공정의 선택
원본"A"의 비교대상 가공정의(대비하여 수정할)를 선택합니다.
② 비교대상"B" 가공정의 표시
*비교대상"B"의 가공정의는 사실상 참고만 가능합니다.
③ 원본의 가공정의를 순차적으로 표시합니다.
* 이것은 가공경로 플레이 바가 아니고 해당하는 가공정의를 순번에 따라 차례로 표시(전체 가공경로)합니다.
④ 원본의 가공정의(체인)를 수정/ 재생성합니다.
도형 수정 : 선택된 가공정의 체인 선택을 수정, 추가, 삭제를 합니다.
* 도형수정(edit geometry)이라고 번역되어 있으나 선택된 가공정의 체인요소를 원본/비교대상 도형요소를 참조하여 수정, 삭제, 추가를 합니다.
재생성 : 선택한 가공정의 체인선택을 재생성(일반적인 가공경로 재생성과 동일합니다.) 합니다.
요약 리포터 : 현재 원본 파트파일의 가공정의 요약본(텍스트) 리포터를 출력합니다.
* 다만 한글을 지원하지 않아 글자체가 깨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원래의 파일과 나중의 파일에서 마킹될 도형을 선택 : 원래 파일(원본)에서 참조하기 위하여 나중 파일(비교대상)의 도형요소가 필요한 경우 이 기능으로 해당(비교대상에 속하는 도형요소) 요소를 선택하면 도형 표기에서 원본 파일만 선택하여도 선택한(마킹) 도형요소가 같이 표시됩니다.
가공경로 표시 색상 : 해당 원본/비교대상 도형요소 중 속성요소가 변동된 도형요소에 대한 색상표시에 대한 색상 지정 기능입니다.
* 가공경로 표시 색상(Select toolpath display colors)이라고 번역되어 있으나 원본, 비교대상 도형요소에 대한 인식 색상 지정 기능입니다.
나중파일의 재적용 : 비교대상"B" 도형요소에 대한 위치 재지정(수정) 기능으로 원본 도형 요소은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비교대상 도형요소의 이동, 회전, 대칭, 비율, 작업평면등의 기능을 지원합니다.
⑤ 선택한 작업 그리기 : 해당 선택한 가공정의 가공경로를 표시합니다.
* 해당 가공정의 경로가 표시가 된 상태에서만 적용됩니다.
업데이트된 작업무시 : 선택 가공정의 내용이 변경되어 재생성되어야 되는데 이것이 선택되어 있으면 재생성하기 전 까지는 반영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⑥ 도형 표시
현재 원본 파일과 비교 대상 파일 도형 요소의 선택적인 선택적인 도형 요소를 선택합니다.
* 단순 원본, 비교 대상 파일 도형 요소를 번갈아 표시(확인) 하는데도 사용됩니다.
기존파일 : 원본 파일의 도형 요소만 남습니다.
나중의 파일 : 비교대상 파일의 도형 요소만 남습니다.
공통 : 원본 파일 도형 요소와 비교대상 파일 도형 요소 중 공통되는(중복되는) 도형 요소만 남습니다.
원래의 파일에만 : 원본 파일 도형 요소와 비교 대상 파일 도형 요소을 비교 시 중복되지 않는 원본 도형 요소만 남습니다.
나중의 파일에만 : 원본 파일 도형 요소와 비교 대상 파일 도형 요소를 비교시 중복되지 않는 비교 대상 도형 요소만 남습니다.
양쪽 파일 : 원본 파일과 비교 대상 파일 도형 요소가 전부 남습니다.
가공경로 도형 : 원본 파일 가공정의에 체인 선택된 도형 요소만 남습니다.
⑦ 해당 기능 종료
확인 : 해당 변경사항을 반영한 후 해당 기능을 종료합니다.
취소 : 지금까지 진행된 변경 사항을 반영하지 않고 원래대로 초기화되며 종료합니다.
* 주의 사항 : 확인 기능으로 종료하는 경우 해당 도형 요소는 원본 또는 변경 사항 적용된(수정된) 해당 도형 요소만 마스터캠 작업 화면에 남게 됩니다.
변경사항 인식 적용 예.
먼저 원본 파일 "A"을 열기한 후 파일 - 정보 - 변경사항 인식 기능으로 비교 대상 파일 "B"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도형 표시 전환 등으로 각 원본과 비교 대상 도형 요소의 차이점(변경점)을 확인한 후 변경점과 연관되는 가공정의를 선택합니다.
해당 가공정의 선택 후 도형 수정 기능으로 해당 가공정의 체인요소를 변경된 도형 요소로 재 선택 합니다.
해당 가공정의 체인 요소를 재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변경사항 인식 여부를 물어봅니다.
* 재선택한 도형요소 대로 가공정의를 재생성한다면 "예"를 선택합니다.
그다음 재생성을 하여(이때 비로소 해당 가공정의가 재생성됩니다.)하여 가공경로 자체를 변경합니다.
확인 후 해당 기능창을 "확인"버턴을 클릭하여 종료합니다.
종료하면 해당 변경된 도형요소로 변경되며(되돌림 불가) 만일 변경된 도형요소에 체인 적용한 다른 가공정의가 있을 경우 해당 가공정의는 재생성 요구 상태가 되며 재생성을 진행하면 현재 변경된 도형요소에 맞추어 가공 경로가 생성됩니다.
* 경우에 따라 체인 형태(부분체인, 역방향등, 보정방향등)가 적용이 안돼서 재생성이 안 되는 경우가 있으며 다시 체인 선택을 해주면 됩니다.
* 주의 사항은 도형요소 변경이 되돌림(undo)이 안되므로 변경사항 인식 기능 적용 시 확인하고 적용하여야 합니다.
이렇게 주로 가공경로에 대한 변경사항 파악이 되겠지만 경우에 따라 도형 요소(솔리드 곡면 포함)만의 파일 비교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에는 가공정의(가공경로)가 없는 상태 이어야 합니다.
그래서 가공경로가 없는 도형요소만 열기 해보면 다음과 같이 가공경로가 없어 도형 비교만 가능하다고 메시지창이 표시됩니다.
그래서 위와 같이 상호 간 원본/비교대상 도형요소 표시 on/off나 색상으로 구분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변경사항 추적(File Tracking)
마스터캠 작업환경에서 생성된 파트 파일의 저장 단계별 과정을 추적하고 저장 시점에 따른 정렬을 지원하여 항상 최신 버전(저장 시점 기준)을 확인해 줍니다.
즉 어떠한 마스터캠 파트 파일 저장과정을 추적(이라기보다는 해당 저장 과정을 해당 파일에서 저장하여 차후 저장 과정을 식별이 가능하게 합니다.)하여 캠 작업 중 여러 번 동일명으로 저장을 반복하거나 폴더 이동 저장(마스터캠 내)등을 하여 여러 가지 버전의 파트 파일이 있는 경우 현재 버전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 가능 합니다.
* 주의사항 : 이 기능은 자동적으로 추적(?)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 파일 추적 옵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축척된 정보를 기초로 기능합니다.
* 이 기능은 변경사항 인식 기능을 지원하여 변경된 사항을 인식(식별)하게 해 줍니다.
변경사항 추적 버턴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3가지 메뉴가 표시됩니다.
현재 파일 체크 : 현재 작업 중인 파트 파일의 연관된 다른 파일이 있는지 검색을 합니다.
* 일단 파일 추적 옵션 설정에 기준하여 연관된 파일을 검색하고 상위폴더는 지원하지 않고 하위 폴더만 지원합니다.
하위 폴더 찾기 : 현재 열기 한 파트 파일이 저장된 폴더 위치만 를 기준으로 검색을 합니다.
이 옵션을 체크(활성화)하면 그 저장 폴더의 하위폴더까지 검색합니다.
파일 이름이 정확히 일치하는 파일 : 현재 열기 한 파트 파일의 명칭이 정확히 동일한 파트 파일만 찾을것 인지 유사한 명칭의 파트 파일도 같이 검색 하는지을 결정 합니다.
파일 확장자가 정확히 일치하는 파일 : 현재 열기한 파트 파일의 확장자(파일 유형)가 정확히 일치하는 파일만 찾을 것인지 아니면 파일 명칭의 일치만 검색하는지을 결정합니다.
* 만일 해당하는 파일이 없으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 만일 해당하는 파일이 있으면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표시되며 "예"를 선택하면 앞서 설명한 변경사항 인식 기능이 실행됩니다.
다시 묻지 않음 : 현재 파일 체크 실행 시 해당 파일 추적 옵션 창이 표시되지 않고 바로 해당 옵션이 실행됩니다.
전체 추적된 파일 체크 : 이 기능은 아래 추적 옵션에서 추적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이라면 그 추적된 내용을 토대로 검색 기능을 실행합니다.
만일 추적된 내용이 있으면 그 내용 중 에서 선택합니다.
추적 옵션 : 현재 열기 한 파트 파일을 기준으로 파일 추적 내용을 축척합니다.
* 변경된 사항 파일 추적은 이 기능이 활성화되고 난 이후부터 검색이 축척됩니다.
* 여기 추적 옵션을 활성화하고(특히 자동추적, 시작 시 파일 확인등 옵션이 활성화된 경우) 다시 열기 하면 변경사항 파일 체크 기능이 실행됩니다.
* 한번 저장된 추적 옵션 설정 내용은 비활성화 전까지 계속 유지됩니다.
자동 저장(AutoSave _ Backup_ System Configuration)
* 환경설정에도 동일한 자동 저장 설정이 있는데 이 설정을 변경하면 환경설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결국 전체 적용(환경 설정) 옵션입니다.)
자동 저장 : 자동 저장 활성화를 여기서 체크하므로 자동적인 저장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설정파일 이름으로 저장 : 자동 저장 시 현재 작업 중의 파트 파일 명칭으로 저장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 비활성 될 때는 우측 파일 이름 항목에서 저장 명칭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활성화될 때는 우측 파일 이름 항목이 비활성화(수정불가)되며 그 지정된 명칭으로 자동 저장 시 파일 이름으로 사용됩니다.
* 만일 작업 중 일반적인 파일 저장하기을 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그 지정된 명칭으로 변경되어 저장됩니다.
사용 중인 파일에 덮어쓰기 : 현재 작업 중인 파트가 이미 파일로 저장이 된 경우 다시 자동 저장 시 그 파일에 덮어쓰기 하는 과정에서 체크 해제 하면 덮어쓰기 결정을 물어보고, 체크하면 자동 저장 설정창이 표시됩니다.
문제 있는 솔리드 경고 해제 : 솔리드 작업 중 여러 가지 이유로 솔리드 재생성을 요구하는 경우(경고 메시지) 이러한 문제 있는 솔리드 경고를 자동 저장 시 표시 할것인가 아닌가을 결정합니다.
* 이 항목을 체크(활성화) 하면 문제 있는 솔리드 요소 저장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습니다.
자동저장 실행 전 메시지 출력 : 자동 저장 활성화 되면 일정 저장시간(저장간격 : 분)이 되어 자동저장 실행 시 경고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합니다.
* 만일 자동 저장 실행 전 메시지 출력 활성화시 "사용중인 파일에 덮어쓰기" 항목이 활성화(체크)되면 경고 메세지 표시 없이 바로 저장됩니다.
"사용중인 파일에 덮어쓰기" 항목이 비활성화(체크 해제)되면 덮어쓰기 경고 메세지 표시가 표시됩니다.
가공경로 생성 후 저장 : 자동 저장 적용 시 현재 마스터캠 작업상황에 가공경로(가공정의)가 생성되어야 비로소 자동 저장 간격이 적용됩니다.
저장 간격(분(min) 단위) : 자동 저장 시 일정한 간격으로 자동 저장을 시도합니다.
단위는 분(60초)으로 "0"은 할 수 없습니다.
* 특이사항으로 변동사항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면 자동 저장이 되지 않습니다.
* 자동 저장간격 시간 내 가공경로 연산 작업등 별도 마스터캠이 작업 중에는 해당 자동 저장간격이 보류됩니다.
mastercam 백업 파일(AutoSave _ Backup_ System Configuration)
자동 저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 옵션(mastercam 백업 파일)을 활성화하면 자동 저장이 되지 않고 별도의 백업 폴더에 별다른 메시지 없이 별도 파일로 백업됩니다.
파일에서 지정된 백업 디렉터리 사용 : 백업 파일 저장 활성화 시 백업 파일 저장되는 폴더를 현재 작업 중인 파일 저장 폴더위치와 환경설정 파일 항목에서 백업용 기본 폴더로 지정된 폴더(마스터캠 파트 파일 폴더)로 저장하는 가을 결정합니다.
체크하면 환경설정 파일항목의 백업파일 지정 폴더로 저장됩니다.
* 완전 백업용 파일 저장(비상용?)인 경우는 체크하여 마스터캠 기본폴더에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나중에 필요시 찾아서 복구할 수 있습니다.
체크 해제하면 작업 중인 파트 파일 저장 폴더위치에 순차적으로 저장 됩니다.
* 작업 중인 원본 파일과 달리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며 원본 파일은 별도 작업자가 수동으로 저장 하기 전 까지는 저장 되지 않습니다.
* 작업 중 파일 저장을 시도 하므로 작업중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백업 파일 명칭 옵션 : 자동 저장되는 백업파일의 명칭의 형식을 정의합니다.
처음 : 원본 파일 명칭뒤 순차적으로 붙는 번호 첫 단계값
증분값 : 순차적으로 증분 되는 번호 증분 간격값
구획문자 : 원본 파일 명칭과 증분되는 번호 가운데 구별 하기 위한 구획 문자를 지정합니다.
최대 제한 : 자동 증분 되는 백업 파일 수량을 제한합니다.
* 최대수량을 제한하면 제한된 숫자까지만 저장되고 이 제한된 범위 안에서 계속 순환되어 저장됩니다.
즉 최대 번호가 최근 저장이 아니고 같은 번호 범위 내 에서 순환 저장 됩니다.
예로 최대 제한을 10으로 지정 시 아래와 같이 100 ~ 109(총 10개)에서 순차적으로 반복 저장됩니다.
파일 복구(Recover file)
파일복구 라 해서 파손된 파일을 복구한다는 의미는 아니고 해당 파일에 대한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여 해당 파일의 용량을 줄이는 해당 파일의 간략화, 최적화 과정입니다.
용량이 큰 파일일수록 많은 용량 최소화가 가능하면 주로 캠작업 완료 후 정리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만일 도형 요소 중 중복 요소가 있으면 자동 삭제 됩니다.(주의)
* 만일 파일 복구 할만한 것(최적화)이 없는 경우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② 새로 만들기
현재 마스터캠의 모든 작업과 설정을 초기화 상태로 만들어서 마스터캠 기본값 상태에서 새로 작업하게 만드는 기능입니다.
* 현재 작업 중인 상태이면 현재 작업사항을 저장하기 위한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며 이 상태에서 "저장", "저장 안 함", "최소"중 선택하면 "저장", "저장 안함"은 저장 하고 또는 저장 안함 상태에서 마스터캠 작업 상태 초기화가 이루어집니다.
만일 "취소"를 선택하면 아무런 상태 변경 없이 해당 기능이 취소됩니다.
③ 열기
이 기능 실행 시 먼저 마스터캠은 열기(폴더) 창을 표시하고 그 폴더 구조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유형의 파일을 선택하여 작업화면에 표시합니다.
이때 우측 하단의 파일 유형에 따라 표시되는 파일의 종류가 정해집니다.
* 모든 Mastercam 파일 (*. mcam...)의 경우에는 현 마스터캠에서 열기가 가능한 모든 형식의 파일이 표시되고 만일 우측 하단의 파일 유형에서 특정 종류를 선택하면 해당 종류의 파일만 표시됩니다.
이 파일 유형은 마스터캠을 종료하기 전 까지는 계속 유지(모달)됩니다.
그리고 마스터캠에서 열기가 가능한 파일 유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먼저 작업 중인 요소가 있으면 이 열기창 에서 해당 파일(열기로한)을 선택한 후 다시 현재 작업 요소를 저장 할 것인지을 물어봅니다.
* 만일 작업중인 요소가 바로 전 (변경 사항이 없는) 상태에서 저장을 하였다면 위 저장할 것인가? 물어보는 메시지창이 나오지 않습니다.
* 만일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되면 현재 열려고 하는 마스터캠 파트 파일의 버전이 현 사용 중인 마스터캠 버전보다 높은 경우 표시되며 이런 경우 사실상 해당 파일은 열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 마스터캠 파트(*. mcam) 파일은 항상 하위호환만 되면 상위호환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더불어 마스터캠 파트 파일만 보고 해당 마스터캠 버전의 종류는 알 수 없습니다.
*최악의 경우 해당 파트 파일을 텍스트 에디터로 열어 최후단의 마스터캠 환경설정 내용을 보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④ 에디터에서 열기
보통의 경우 가공프로그램(NC파일)을 열려면 별도의 텍스트기반 에디터 프로그램(심코 에디터..)을 통하여 열어보는데..
마스터캠에서 부가적인 기능으로 현재 마스터캠 캠 작업 중 특정 NC파일을 열어 보고 싶은 경우에 지원되는 기능입니다.
* 특별한 기능은 없습니다...
에디터에서 열기를 실행하면 해당 파일 폴더창이 열립니다.
열기 대상 : 열기 대상 파일에 따라 같이 실행될 텍스터 에디터 프로그램을 선택(?) 합니다.
자동 : 자동으로 선택하면 일반 문장열(순수 텍스 기반) 문서로 인식하여 각 윈도의 파일확장자에 연결된 에디터 프로그램으로 선택한 파일을 열기 합니다.
텍스트 : 마스터캠에 관련된 텍스트 파일(NC파일)로 인식하여 마스터캠 환경설정에서 지정한 에디터 프로그램에 따라 선택한 파일을 열기 합니다.
* 텍스트로 선택하여야 NC파일을 심코 에디터(환경설정에서 지정한)로 열기 할 수 있습니다.
에디터 버턴
마스터캠 환경설정에서 등록된 텍스트 기반 에디터 프로그램 중 선택(텍스트 선택 시 그 에디터 프로그램으로 연결됩니다.)한 프로그램으로 연결됩니다.
⑤ 연결
현재 작업 중인 파트파일에 다른 작업파일(2가지로 구별 가능한 : 마스터캠 가공경로가 있는 파트 파일,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솔리드, 곡면등)만 있는 마스터캠에서 호환가능한(열리는) 파일)을 연결하여 현 작업 파일을 유지하면서 다른 파일을 열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의 사항
가공정의가 포함되어 있는 마스터캠 파트 파일의 경우 연결하여 열기 하면 그 파일에 있는 가공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솔리드, 곡면등)만 입력이 됩니다.
그 외 도형요소만 있는 마스터캠 파트 파일 또는 그외 도형요소가 있는 호환 유형의 파일은 그대로 도형요소만 입력이 됩니다.
다른 파일(도형요소) 연결 시 패턴 연결 설정창이 열립니다.
위치
연결되는 파일의 도형요소를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현재 위치에서 이동, 복사, 회전, 대칭, 배율 작업을 실행 가능 합니다.
레벨
연결되는 파일의 도형요소가 적용되는 레벨의 번호를 어떻게 지정할 것 인지 결정 합니다.
연결된 파일 레벨 : 연결되는 해당 파일의 도형요소에 속해 있는 레벨 번호대로 지정이 됩니다.
* 원본 파일의 중복되는 레벨 번호가 있어도 중복되어 입력이 됩니다.
활성화된 레벨 : 원본 파일의 현재 활성화된 레벨(사용 레벨) 번호를 기준으로 연결되는 도형요소의 레벨번호가 지정이 됩니다.
오프셋 : 현재 원본 파일의 활성화된 레벨(사용 레벨)번호을 기준으로 오프셋 값만큼 오프셋 된 레벨번호가 지정됩니다.
설정
메인 색상으로 설정 : 현재 원본 파일의 메인 색상으로 연결되는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솔리드, 곡면 따로 적용됩니다.)의 색상이 결정됩니다.
메인 선형태로 설정 : 현재 원본 파일의 메인 선 형태로 연결되는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만)의 선 형태가 결정됩니다.
메인 점형태로 설정 : 현재 원본 파일의 메인 점 형태으로 연결되는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만)의 점 형태가 결정됩니다.
메인 선굵기로 설정 : 현재 원본 파일의 메인 선 굵기로 연결되는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만)의 선 굵기가 결정됩니다.
작업평면으로 설정 : 현재 원본 파일의 작업평면을 기준으로 연결되는 도형요소의 작업평면이 결정됩니다.
⑥ 저장
현재 작업 중인 마스터캠 파트 파일을 저장합니다.
* 아무런 작업도 안 한 상태에서도 저장 가능합니다.
최초 저장 시 해당 파트 명칭은 환경설정의 가공그룹 명칭을 따라갑니다.
마스터캠에서 저장 가능한 호환파일은 다음과 같으며 마스터캠에서 생성한 가공정의(가공경로)는 마스터캠 파트 파일만 지원되며 나머지 호환 파일은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솔리드, 곡면)만 지원되며 호환파일의 경우는 옵션 버턴에 의하여 각 호환 파일의 버전을 틀리게 하여 저장이 가능합니다.
* 마스터캠 파트 파일은 저장 시 오직 해당 버전의 파일로만 저장이 가능하며 상위, 하위 버전으로 저장이 불가능합니다.
⑦ 다른 이름으로 저장
앞서 저장과 다르게 다른 이름으로 저장 실행 시 저장하는 폴더 위치를 지정(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 시 "저장" 기능과 동일한 폴더창이 표시되며 파일명을 수정하여 저장이 가능합니다.
* 저장과 다르게 앞서 여러 개의 지난 저장폴더(특정 폴더는 고정적으로 표시도 가능 : 압정기능)중에서 선택 또는 해당 컴퓨터 드라이브, 폴더를 선택하여 저장 폴더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⑧ 부분 저장
앞서 저장 기능은 마스터캠의 파트 파일 저장하면서 가공정의(가공경로)를 같이 저장하지만 이 "부분 저장"기능은 오직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솔리드, 곡면 등)만 따로 선택하여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 이 부분 저장 기능으로 도형요소를 선택하여 마스터캠 파트 파일로 저장하여도 원본 파일에 있는 가공정의는 같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⑨ zip2 go
이 기능의 목적은 마스터캠의 작업을 위한 기능이라기보다 현 작업자가 현재 작업 중인 캠작업에 대한 문의(인터넷 상)을 하여야 할 경우 현재 작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현재 작업중 캠 파트 파일과 그에 관련된 환경파일등을 모아서 압축파일(*. zip, *. z2g, *. mcam-content) 형식으로 압축하여 상대방(A/S)이 현재 문제점을 파악하기 좋도록 하는 보조 기능입니다.
*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해당 캠 파일에 대한 주요 환경설정을 보관이 용이하게 같이 모아 저장하는 기능도 겸합니다.
* 한 번에 압축 가능한 파일 유형은 마스터캠 캠 파트파일(작업파일), 환경설정, 포스트(post), 공구목록, 재질목록, ATP 파일이 가능합니다.
위 이미지처럼 해당 캠 파트 파일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zip2 go를 실행 후 작업 종류와 압축파일에 포함될 파일 유형을 선택한 후 "파일생성"을 선택하면 해당 압축 파일명을 지정후 압축이 이루어집니다.
* "*. mcam-content" 유형 사용 시 자동적으로 각 유형별 파일이 제자리 폴더위치로 찾아간다는(자동화) 장점이 있습니다.
⑩ 변환
변환 기능은 2가지 기능을 하는데 첫 번째 "이전 버전의 마스터캠 환경설정(작업목록, 컨트롤정의, 기본값 파일, 공구목록, 머신정의, 머신 시뮬레이션 환경설정, 재질파일, 와이어 파워 목록, 포스트 파일, 작업 지시서 파일, 프로빙 파일, 환경설정 파일, hst 공식테이터 파일, 와이어 EDM 파라미터 파일, 기타 데이터 파일, 네스팅 시트 길이 파일, 등등..)+(마스터캠 기본 파트 폴더의 파트 파일)이 이전 버전에서 넘어와서 현재 사용 중인 마스터캠에 적용됩니다.
즉 이전 버전 마스터캠의 작업환경 설정이 현재(마이그레이션 실행 중인) 마스터캠의 작업환경으로 옮겨서 적용된다는 의미입니다.
* 단 넘어올 수 있는 버전의 간격이 한정되어 있습니다.
* 마이그레이션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대략 15분 에서 25분 사이 정도)
* 만일 넘어오는 이전 버전 마스터캠의 주요 파일 중 나중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주로 버전에 맞지 않는 파일이나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한 파일 등) 파일이 존재하면 마이그레이션 작업이 별도 메시지 없이 정지됩니다.
그러므로 장시간 마이그레이션 작업이 정지(진척이 없는) 한 상태이면 강제 종료 후 다시 이전 버전 마스터캠 파일을 정리 후 다시 해보시길 바랍니다.
두 번째는 외부 호환되는 도형요소 다수의 파일들(!)을 해당 버전 마스터캠 파트 파일로 변환하는 기능과 현 마스터캠 다수의 파트 파일을 마스터캠이 지원하는 외부 유형의 도형요소(와이어프레임, 솔리드, 곡면등) 파일로 변환하는 기능입니다.
폴더 가져오기 : 지정하는 폴더 위치에 있는 마스터캠 호환 도형 요소 파일을 다수로 불러드려 현 마스터캠 버전 파트 파일로 지정한 폴더 위치로 저장합니다.
폴더 내보내기 : 지정하는 폴더 위치에 있는 마스터캠 파트 파일을 다수로 불러드려 마스터캠이 지원하는 외부 유형의 도형요소 파일로 저장합니다.
* 이 과정에서 마스터캠의 작업화면으로 불러드리기(열기) 하지 않고 현 변환 기능창에서 변환하여 저장합니다.
* 변환하고자 하는 파일(마스터캠 파트 파일)에 가공경로가 있다 해도 변환 과정에서 삭제되어(변환되지 않은 상태) 다른 호환 파일로 저장합니다.
* 다수의 파일을 일괄적으로 처리하는데 유용한 기능입니다.
⑪ 인쇄
현재 작업 중인 마스터캠 작업화면(상단 리본 메뉴 영역, 좌측 기능 관리자창, 하단 정보바는 포함되지 않습니다.)을 윈도 인쇄 기능을 사용하여 출력합니다.
⑫ 도움말
현 마스터캠의 관련된 도움말 기능과 정보 라이선스 관련 기능을 제공합니다.
새로운 기능 : 해당 버전의 마스터캠의 향상된 추가된 기능에 대한 PDF 형식의 영문 자료를 제공합니다.
내용 : 해당 마스터캠의 기능에 대한 웹페이지 형태의 자료를 제공합니다.
(일부 기능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인터넷 연결 없이 가능)
튜토리얼 : 해당 마스터캠의 특징과 기능에 대한 설명 자료를 인터넷상(인터넷 연결 필요)에서 공급합니다.
설명서 : 해당 마스터캠의 최신 수정(업데이터), 개선사항에 대한 최신자료를 PDF형식으로 제공합니다.
* 새로운 기능은 기능 소개이고 설명서는 변경된 기능에 대한 일람표입니다.
업데이터 체크 : 현 마스터캠 버전에 준하여 현재 버전과 업데이트 가능한 범위를 확인해 줍니다.
* 인터넷 연결 필수입니다.
네트위크 라이선스 : 여기 2021 버전은 아니지만 2022 버전부터는 기존의 하드웨어 USB락(동글이)이 아닌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키(번호)에 의한 라이선스에 대비한 준비 기능입니다.
⑬ 커뮤니티
해당 마스터캠 관련 부가 서비스(원격제어, 인증, 모바일앱, 포럼, 제품 사용문의, 사용자 피드백, 고객 만족도 조사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기본적으로 영어권 사용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⑭ 환경설정
마스터캠의 환경 설정창을 열어줍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십시오.
https://momoman83.tistory.com/102
마스터캠 2021 환경 설정 에 관하여 -1 (CAD , 가공경로)
이번에는 마스터캠을 처음 설치하고 사용자 환경에 맞게 또는 사용 중 이러한 것 을 변경하고 싶을 때 참고하기 위하여 설명합니다. 우선 환경 은 마스터캠 2021 기준 으로 설명합니다. 맨 먼저
momoman83.tistory.com
* 이외 다수의 설명이 더 있습니다.
⑮ 옵션
마스터캠의 기본 메뉴 정의 기능(리본 사용자 정의, 빠른 실행도구 정의, 단축키 설정, 콘텍스트 메뉴 정의)의 창을 열기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십시오.
https://momoman83.tistory.com/116
마스터캠 2021 유저-인터페이스 에 관하여 -1 (초기화면 , 빠른 실행 도구 모음 , 리본 / 컨텍스트
이번 에는 마스터캠 2021 기준 사용자 입출력 방식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유저 인터페이스 는 해당 프로그램과 사용자 간 의 조작 , 데이터 입출력 관련 사용 법 에 대한 방식입
momoman83.tistory.com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 > 마스터캠 을 처음 설치 하고 살펴보아야 할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캠 2021 상단 리본 메뉴에 관하여 -3 (홈-2) (0) | 2025.04.25 |
---|---|
마스터캠 2021 상단 리본 메뉴에 관하여 -2 (홈-1) (0) | 2025.04.23 |
마스터캠 2021 유저-인터페이스 에 관하여 -9 (쿽마스크 , 상태바 설정) (0) | 2023.01.13 |
마스터캠 2021 유저-인터페이스 에 관하여 -8 (그룹 , 선택바 설정) (1) | 2023.01.08 |
마스터캠 2021 유저-인터페이스 에 관하여 -3-2 (가공경로 관리자 창 - 파일 , 공구 설정 , 공작물 설정) (1) | 2022.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