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 이번에는 가공정의 중 하나인 공작물 모델을 알아보겠습니다.
*잠깐 공작물 모델 특성를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알아봐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공작물 설정(소재설정)
머신정의 속성에 있는 공작물 설정(소재설정)은 해당 머신정의에 속한 모든 가공그룹(가공정의)에 적용됩니다.
*단 해당 되는 머신정의 안에 속해있는 가공정의만 적용받으며 다른 별도의 머신정의는 그해당 공작물 설정에 따릅니다.
가공정의 공작물 모델
가공정의중 하나로 취급되며 해당되는 가공그룹 내에서 정의된 공작물 모델 다음 가공정의에 적용되며 이후 다른 공작물 모델 설정인 나오기 전까지 지속 적용됩니다.
* 다만 가공그룹이 틀리는 경우 (해당 공작물 모델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용이 되지 않으며 (이경우 보통 머신정의 공작물 설정에 따릅니다.) 만일 선택 시 (다른 가공그룹이지만 같이 선택된 경우) 같이 적용됩니다.
* 주 사용용도는..
1. 현재 가공경로 와 관계없는 간단하지 않은 준가공상태 소재 형태 경우 (외부에서 소재 형태 모델링 데이터를 불러 적용한 경우)
2. 현재 머신정의 내에서 가공그룹별로 가공된 상태를 순번에 따라 가공된 소재 상태로 적용되야 할 경우
* 즉 원소재 에서 1차 황삭 한 소재를 2차 중삭 그룹에서 받아서 황삭 된 상태의 소재를 기초로 중삭가공경로를 생성하는 경우(불필요한 에어컷 미생성용)
3. 어떠한 공정별 가공상태를 확인하면서 다음 가공공정를 이어가야 하는 경우 (보통 소재 뒷면 가공 후 다시 정면을 가공해야 하는 공정 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경우
공작물 모델 설명
*공작물 모델은 가공정의(가공경로) 생성과 같이 가공경로 트리의 빈칸에 마우스를 놓고 우클릭으로 해당 공작물 모델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공작물 정의
① 공작물 기본사항
이름 : 해당 공작물 모델 대상를 구분할 수 있는 명칭을 입력합니다.
(마스터캠 버그인지 한글 입력이 잘 안됩니다. 가능한 필히 영문으로 기재해 주세요.)
*이 명칭은 가능한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왜냐하면 다음 공정등에서 해당 공작물 모델을 선별하여 선택하는 일이 있습니다.
색상 : 해당 공작물 모델의 색상를 지정합니다.
* 만일 현재 지정한 색상이 2차 공정 같이 이전 공정에 있는 공작물 모델에서 지정된 색상이 미가공된 부분(1차 공정에 남은 부분)에서 그대로 남고 가공된 부분(2차 공정)만 해당 색상으로 표시됩니다.
(이러한 점으로 만일 각공정별로 가공부분를 시각적으로 보고 싶으면 각 공정별 공작물 모델 파라미터에서 색상을 구분하면 구분되어 표시됩니다.
공작물 평면 : 현재 공작물 모델 형태(초기 또는 이전 공작물 형태)가 속해있은 작업평면 을 선택한 평면으로 대체합니다.
* 즉 가공소재로 쓸 공작물 모델(이전) 의 작업평면을 현재 지정(선택된) 평면으로 변경하여 가공소재로 적용합니다.
* 왼쪽과 같은 소재를 이전 공작물(1st stock model)로 적용 시 그 공작물 모델(작업평면:평면)을 여기서 지정한 평면(작업평면:정면)으로 변경하여 적용합니다.
그러한 방식을 사용하면 1차 후면가공 - 2차 평면가공등 다공정 가공경로 생성시 특별한 소재변동(이동/회전) 없이 적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미리 해당 작업평면을 설정하여야 합니다.)
*자세한것은 차후 실무작업 설명시 하겠습니다.
재질 : 설정된 공작물 모델의 색상과 무관하게 소재의 재질형태(느낌?)를 선택하여 표현해 줍니다.
* 다만 이러한 재질 표현이 구현될려면 리본바의 화면표시옵션에서 재질이 선택되어야 합니다.
② 초기 공작물 형태
현재 공작물 모델에 적용될 공작물(소재)의 근원형태를 설정합니다.
모델 : 현재 마스터캠 파일에 속해있는 모델링(솔리드/곡면)를 선택하여 가공소재로 적용합니다.
*화살표 아이콘을 눌러 해당 모델링를 선택하며 취소는 오른쪽 선택취소 화살표 아이콘으로 선택합니다.
* 다만 곡면의 경우 내부가 꽉찬 형태가 아닌 껍데기만 있는 소재가 되므로 가공용 소재로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공작물 모델 : 공작물 모델 소재로 이전 생성된 공작물 모델을 선택하여 적용 가능합니다.
* 즉 이전 가공그룹에서 생성된 공작물 모델의 명칭을 선택하면 그 공작물 모델을 가공 소재로 사용됩니다.
* 단 이렇게 할 경우 선택할 공작물 모델은 이미 전 가공그룹에서 가공진행된 결과가 적용된 공작물 모델이어야 합니다.(착각에 주의)
* 이러한 공정별 가공소재 적용 하는 방법은 공정별 실무작업 설명시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 이러한 이유로 공작물 모델 설정 시 공작물 모델 이름을 필히 정의하여야 합니다.
사각형 : 공작물 모델 소재형태를 머신정의 공작물 설정 파라미터와 같은 형식으로 사각형 형태의 규격을 입력하며 또한 하부 입력형태 옵션을 공통되게 적용 가능합니다.
파일 : 공작물 모델 소재형태를 STL파일형식으로 불러드려 해당 소재 형태로 적용합니다.
* 머신정의 공작물 설정의 파일과 동일한 형태의 적용이 가능합니다.
* 다만 이러한 STL 파일 적용은 별도로 위치나 크기 변동이 안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원통형 : 공작물 모델 소재형태를 원통형태 소재로 적용하여 가공소재로 사용됩니다.
* 머신정의 공작물 설정의 원통형 파라미터와 같은 형식을 적용합니다.
축 X Y Z : 선택한 원통형의 중심 관통축의 위치를 X, Y, Z 방향에서 선택합니다.
추가적인 오프셋 : 해당 공작물 모델의 현외형적 규격에서 공통된 오프셋(소재 외형을 +오프셋) 합니다.
* 입력된 수치만큼 현재 설정된 공작물 모델의 외형을 오프셋 합니다.
* +값만 적용가능하며 -값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입력된 값은 각 단위계를 따라갑니다.
③ 사각형 & 원통형 소재 규격 설정
*초기 공작물 형태에서 선택한 사각형 또는 원통형 의 소재 규격 적용 방식입니다.
* 머신정의 공작물 설정의 파라미터 형식과 동일하므로 공작물 설정 내용을 참조 바랍니다.
④ 공작물 모델 상세 설정
해당 공작물 모델의 설정 (소재 설정 / 적용 가공정의 설정 / 원 공작물 과 현 공작물 모델과의 비교)을 선택합니다.
⑤ 공작물 모델 계산 대상
현재 생성된 공작물 모델의 가공형태를 결정할 가공경로(가공정의)를 선택합니다.
즉 현재 공작물 모델이 중간 또는 최종 가공물(선택한 가공경로가 적용된) 형태로 적용하기 위하여 해당하는 가공경로(가공정의)를 해당 가공경로 선택창에서 선별 선택하면 그 선택한 가공경로에 기초하여 해당 공작물 모델을 가공(소재 가공) 작업을 진행합니다.
* 중삭 가공경로 그룹에 속해있는 공작물 모델의 계산 대상을 해당 가공경로 트리창에서 선택하여(화살표) 적용하면 중삭 가공경로 그룹에 있는 공작물 모델을 황삭 가공완료한 형태로 전환합니다.
황삭 가공경로그룹에 있는 공작물 모델(1st stock mpdel)① 를 황삭 가공경로그룹에 있는 가공경로를 중삭 가공경로 그룹의 (2nd stock model)②에 적용하여 황삭 완료 소재 형태를 뜁니다.
그러므로 가공경로 그룹 내 공작물 모델은 이러한 절차를 준수하면 해당 공정별 가공상황 (소재 가공형태)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공작물 모델 설정은 단지 가공공정상(가공정의 적용여부)에 대한 소재 변화를 좀 더 시각적으로 잘 보여주기 위한 목적 중 하나입니다.
* 다만 이러한 공작물 모델 형상이 직접으로 가공경로 연산에 개입되는 경우는 고속 곡면 가공경로 중 공작물 설정에서 공작물 모델 선택가능하여 적용됩니다.
* 이에 대한 설명은 차후 실무 적용 과정에서 다시 얘기 하겠습니다.
공작물 모델 계산 대상 파라미터
경로공차 : 공작물 모델 계산을 위하여 선택된 가공경로들의 적용공차(거르기 비슷한) 값을 입력합니다.
* 즉 현재 공작물 모델 (전가공이 끝난 형태)를 적용하기 위한 전공정의 가공경로(이때 경로들은 일종의 도형요소로 취급됩니다.)의 적용공차 값입니다.
* 경로공차값을 크게 잡으시면 그만큼 공작물 모델 생성 계산 시간이 단축되며 다소 거칠게 표현됩니다.
공구 형상 공차 : 경로공차와 마찬가지로 공작물 모델 형태 계산에 사용될 전공정 가공공구의 대한 형상 공차 값입니다.
* 즉 같은 내용으로 공구 형상 공차값이 작으면 그만큼 공작물 모델 형상 계산 시 공구형태에 가깝게 계산되며 특별한 형태 공구 사용 시 좀 더 작은 값을 적용합니다.
* 경로공차 와 같은 내용으로 공차값이 작아지면 그만큼 공작물 모델 형상 계산 시간이 소요됩니다.
* 이러한 공차값은 공작물 모델 형상 계산 시간이 전공정 가공경로 재생성시간과 거의 동일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좀 더 빨리 공작물 모델 형태를 확인하고자 할 때 적용 합니다.
밀링 밑날만 : 가공경로 적용 시 공구의 절삭 부분만 가공경로 계산에 적용합니다.
* 이 옵션 적용 시 공구의 미절삭부분 (싱크, 홀더)은 적용되지 않는다고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사실적인 변화가 없습니다.
* 이 옵션 적용시 공구 소재 충돌여부가 판별되지 않아 좀 더 빠른 공작물 모델 계산이 이루어집니다.
포스팅 전환된 작업을 처리 : 해당 가공경로가 속해있는 포스트(post)가 적용된 상태로 공작물 모델 계산을 처리합니다.
* 3축 또는 축방향 변화가 없는 머신정의에서는 의미가 없고 주로 다축 가공 시 해당 포스트에 따라 가공경로를 계산하여 공작물 모델 가공형태에 반영합니다.
⑥ 공작물 비교
공작물 비교는 모의가공의 비교 기능과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즉 지정된 모델링(솔리드)과 현재 선택된 공작물 모델과 선택된 공차범위 내에서 색상으로 비교 표시 하는 기능입니다.
* 공작물 비교는 해당 공작물 비교 체크칸을 체크해야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비교를 위한 파트모델
생성된 공작물 모델과 비교를 하기 위한 파트모델(솔리드)을 선택 설정하는 파라미터 입니다.
파트 모델 : 화살표 아이콘으로 비교대상이 될 파트모델(솔리드)를 선택합니다.
해제는 최소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파트 공차 : 비교대상이 될 파트모델(솔리드) 위 형상 공차를 입력합니다.
* 공차값이 작을수록 비교대상 파트모델 형상적용이 정확해집니다. (대신 계산시간이....)
가공여유 : 파트모델 외형 쪽으로 가공여유를 둔 상태에서 비교대상 계산이 가능합니다.
* 즉 파트모델 외형 규격에서 가공여유값만큼 오프셋 된 형상에서 비교대상 계산이 이루어집니다.
* 통상의 경우는 0.0입니다.
오프셋 및 색상
비교대상인 파트모델에서 공작물 모델(가공형태) 비교 시 오프셋(비교 차이값)의 최소, 최댓값 (+/- 적용가능)를 지정하며 이에 대한 색상별로 구분해 줍니다.
비교 오프셋값은 최소 최댓값을 지정하면 아래 색상분류바에 적용된 색상 별로 구분하여 각 배정된 차이값만큼 비교 표시합니다.
* 색상바 색상구분수(?)는 좌우측 (+/-) 버턴으로 색상 수량(그러데이션)을 조절 가능합니다.
* 색상이 많을수록 상세한 구분이 가능합니다. (대신 연산시간이...)
* 각색상별 차이값은 지정된 최소, 최댓값 범위에서 색상수만큼 등분됩니다.
다음은 경로확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마스터캠 2021 기능 교육 자료(초안) > 가공 경로 확인 , 모의 가공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캠 2021 모의가공 및 경로확인 에 관하여-6 (기능&메뉴) (0) | 2023.09.17 |
---|---|
마스터캠 2021 모의가공 및 경로확인 에 관하여-5 (모의가공) (4) | 2023.09.17 |
마스터캠 2021 모의가공 및 경로확인 에 관하여-4 (경로확인) (0) | 2023.09.09 |
마스터캠 2021 모의가공 및 경로확인 에 관하여-2 (공통파라미터-공작물) (1) | 2023.09.03 |
마스터캠 2021 모의가공 및 경로확인 에 관하여-1 (공작물 설정) (1) | 2023.09.03 |